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릴레이탐방(2)-질병차단 예방이 최우선

        송창선,Song, Chang-Seon 대한양계협회 2007 월간 양계 Vol.39 No.2

        우리 양계농가들은 전국에 있는 수의과대학과 어떠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까? 과연 얼마나 많은 농가들이 대학기관과 연계해서 모니터링을 하면서 질병을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을 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릴레이 탐방 두 번째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조류질병을 담당하고 있는 송창선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는 조류질병에 대하여 어떠한 연구를 해나가고 있는지, 농가들이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 항공교통 관제상황에서 조종사와의 교신이 시·청각 경고신호 반응에 미치는 영향

        송창선,이주환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논문에서는 항공교통관제업무는 항공교통관제사가 업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항공기 근접 비행, 항공기 비상상황 및 항공관제장비의 이상 등의 경고 신호를 시각 및 청각적 신호로 항공교통관제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종사와의 무선통신 교신을 위해 듣기와 말하기 그리고 항공기의 충돌 방지를 위한 항공기 위치 확인의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주의가 분산 되어 시각 및 청각적 신호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감각양상에 따른 반응시간을 확인한 결과 청각적 경고신호가 시각적 경고신호가 더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확인 하였다. 하지만, 조종사 교신상황을 부여하는 과제를 주었을 때 두 감각양상의 반응시간은 더 길어졌고 그 수행능력도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항공교통관제상황에서 항공교통관제사의 경고신호 인식을 위한 감각양상 특성을 확인하였고, 업무 수행 중에 주의 및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경고신호 개발을 위한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effect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alerts in air traffic control while air traffic controllers work. The alter signal provide them warning information about traffic conflict, emergency situation, and malfunction of equipment with visual and auditory signals. The results of reaction time on the sensory modality were that the auditory warning signal was efficient than visual warning signal.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ry during speaking and listening task, the reaction time was longer and performance was droppe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warning signal for attention and recognition to recognize the warning signs of an air traffic controller for the sensory modality in the air traffic control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항공교통관제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만족도 조사

        송창선,손영우,권혁진,Song, Chang-Sun,Sohn, Young-Woo,Kwon, Hyuk-Jin 한국항공운항학회 2014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r interface level of air traffic control system with the usability analysis and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on user satisfaction. Think aloud protocol is used to identify not only task analysis, but also the level of user-friendliness of the FIMS and ASDE system, and the user interface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by QUIS. We collected data from 6 controllers for Think aloud protocol and 15 controllers for QUIS in Incheon air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was the valuable tool for ensuring human performance with the support of memory and the facilitation of decision-making tasks. It helps air traffic controllers perform better and minimize errors in a congested time. The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design, however, was not applied,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workload. Air traffic controller participa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rovided excellent examples for applications in terms of software in FI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at the usability of system interface wa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human factors.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system was discussed in User Interface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류독감 방제전략

        송창선,권지선,이현정,이중복,박승용,최인수,이윤정,김재홍,모인필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2

        Avian influenza viruses infect humans, horses, swine, other mammals, and a wide variety of domesticated and wild birds. Modem poultry industries worldwide are at risk of infection with avian influenza.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can easily change to highly pathogenic form especially when introduced into areas of high density commercial poultry. Outbreaks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re becoming progressively more expensive to control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oultry industry worldwide. Future strategies for avian influenza control and prevention should involve a combination of earl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rus using advanced molecular biologic techniques, quarantine, selective depopulation and vaccination of flocks.

      • KCI등재

        국어 명사절의 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송창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itically some problems about the extending the range of the nominal clause in Korean. Most of Korean linguists considered that ‘-(eu)m’ and ‘-gi’ were the nominal endings, but some linguists considered that the interrogative endings and the bound noun ‘geot’ also could constitute the nominal clause. Some Korean linguists regarded ‘adnominal ending + geot’ as the nominal clause in that ‘adnominal ending + geot’ could be substituted for ‘-(eu)m’ and ‘-gi. But I insist that the structure ‘adnominal ending + geot’ is related to not the nominal clause but the adnominal clause, because ‘geot’ is not the nominal ending but the bound noun. Some Korean linguists regarded some interrogative endings could constitute the nominal clause in that the case marker could be connected to ‘-neunya, -neunga, -neunji’. But we can easily find that these interrogative ending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se cases, it is unreasonable to explain two or more endings individually.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only two endings, ‘-(eu)m’ and ‘-gi’ are the nominal endings. 지금까지 국어학계에서는 대체로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절만 명사절로 다루어 왔는데 최근에 ‘-느냐/ -(으)냐, -는지/-(으)ㄴ지/-(으)ㄹ지, -는가/-(으)ㄴ가’ 등의 의문형 어미가 쓰인 경우와,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을 명사절 논의에 포함시킨 논의도 있다.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을 명사절로 다루는 가장 중요한 근거로 제시하는 것은, ‘-(으)ㅁ’, ‘-기’가 쓰인 문장을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치가 그렇게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면, ‘것’ 대신에 ‘사실’ 등의 보문 명사가 쓰인 구성과의 차이점을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아울러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이 무척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명사절로 다루는 경우와 관형절로 다루는 경우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다. 다음으로 의문형 어미 뒤에 조사가 결합하는 경우를 명사절로 다루는 문제에 대해 깊이 살펴보았다. 그런데 ‘-느냐/-(으)냐’, ‘-는가/-(으)ㄴ가’, ‘-는지/-(으)ㄴ지/-(으)ㄹ지’ 외에도 조사가 결합할 수 있는지를 더 살펴본 결과, ‘-(으)ㄹ까’ 뒤에도 격조사가 결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느냐/-(으)냐’, ‘-는가/-(으)ㄴ가’, ‘-는지/-(으)ㄴ지’와 ‘-(으)ㄹ까’가 대등 구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의문형 어미가 여러 번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았는데, 여기서 격조사가 결합하는 마지막 어미만 명사절을 형성한다고 하고, 나머지 어미들은 의문형 어미로 다루는 것은 일관성이 없는 설명을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들 의문형 어미가 명사절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그대로의 의문형 어미로 쓰였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서 국어 문법에서 명사절을 이루는 어미는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뿐이라는 점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