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학학습장애아의 신경 심리적 특성

        송찬원,김길순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1

        This study was to find th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MLD) by comparing the cognitive factor and executive function between a group of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 and the other group of no learning disability(NLD).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was carried out on 30 children each from the group of MLD and NLD in their fourth to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K-WISC-Ⅲ Intelligence Test’,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and ‘Kim's Frontal-Executive Function Test for children’ were used as research instr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actor of MLD compared with NLD: POI, MQ, and PSI. There was the highest difference in POI. Moreover, MLD showed lower levels of EIQ, among which the quantitative score for ‘design fluency' variable was the lowest. These results imply that MLD have low levels of POI capability related to time and spatial functions of mathematics, low levels of Executive Function, and less capacity to express designs fluency what they know compared to NLD. The above results will be of important information in establishing educ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 planning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는 수학학습장애아의 신경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학습장애아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인지요인과 실행기능을 비교하였다.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수학학습장애아와 일반아동 각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K-WISC-Ⅲ 지능검사’와 ‘아동용 Rey-Kim 기억 검사’,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이다. 연구결과 수학학습장애아들은 인지요인에 있어서 일반아동들에 비해 지각조직과 기억, 처리속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지각조직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지능에서도 낮은 점수를 획득했으며, 그 중에서 ‘도안 유창성’ 기능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학습장애아가 일반 아동에 비해 수학의 시공간 기능과 관련된 지각조직 능력과 도안을 정확하고 빠르게 산출해 내는 실행 기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수학학습장애아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수립과 중재프로그램 투입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 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especially, This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to research an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its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the precedent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regarding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n carried ut the documentary analysis an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is a high-level perceptional function, and a defect of this executive function has been pointed out as a main factor in learning disorders. In other words, it is a perceptional factor which may bring about learning defect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n caus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In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of learning disability, there are obvious difference of function of attention, function of verbal, function of memorial, function of sight-space. Until now, a study and approach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has been rarely carried out.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it is required to approach a individualized 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the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행기능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근거와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실행기능의 강화를 위해 개별교수적 측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실행기능 관련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연구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행기능은 상위인지기능이며, 실행기능의 결함은 학습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실행기능은 학습결함과 행동문제를 수반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인지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은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4가지 하위요소별 특성이 각기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와 접근은 매우 초기단계이며, 향후 학습장애아의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해서 실행기능의 특성에 적합한 개별교수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정확교수의 경우 주의기능, 직접교수의 경우 언어기능과 시공간기능, 임상교수의 경우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정보처리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인지-행동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강화에 효과적인 개별교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후보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 고찰: 이론적 접근 및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ADHD의 실행기능에 대하여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하여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ADHD의 실행기능 연구의 근간이 되는 신경심리학적 관련 이론 연구들을 초기부터 현재까지 역사적으로 살펴보았고, 둘째, ADHD에 관한 우리나라의 실행기능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실행기능 관련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수집하여 문헌분석과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선,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초기에는 신경심리학자들에서 출발하였으나, 최근에는 특수교육학자들에게 의해 연구되어 오고 있다. 두 번째는 ADHD의 실행기능은 주의통제 영역, 정보처리과정 영역, 인지적 융통성 영역, 목표설정 영역의 크게 4가지 측면에서 결함을 보이며, 이 실행기능의 결함은 성인의 이르기까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능력에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우리나라에서의 ADHD에 관한 실행기능 연구 분야의 최근 동향은 2000년 이후 현재까지 12편 정도에 그칠 정도로 아직 연구초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 학문적 이해와 연구의 시도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This study looks into executive function of ADHD from three perspectives through documentary study. First, historical aspect was dealt with by looking at studies related with neuropsychology that is the basis for the study on executive function of ADHD: second, the features of executive function of ADHD were looked into through academic approach: and lastly, Korea's recent direction of study on executive function of ADHD examin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collecting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and documentary analysis and study was d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study on executive function of ADHD began by neuropsychologists, but recently it is carried out by special-educators. Secondly, executive function of ADHD shows flaws in four aspects of attention control region, and goal planning region, information processing region, cognitive flexibility region, and goal planning region. It was found that these flaws in executive function continue until one becomes an adult. Also, i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arning ability. Lastly the recent direction of study on executive function of ADHD is still at primary level, seeing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about twelve studies from 2000 to the present in Korea. From this, it shows the need for academic understanding of executive function of ADHD, and continuous effort in studies.

      • KCI등재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과제수행 태도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송찬원,변찬석,김경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4

        The Effect of Mandara-Art therapy o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and Impulsiveness of Children with ADHD 오늘날 교사들이 현장에서 다루기 힘들어하는 아동은 바로 ADHD 아동으로서 그 출현률이 매우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의 행동문제를 일으키고 교육적 갈등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그들에게 적절한 조기 중재 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회기별 과제활동 수행 태도와 이들의 문제행동을 중재하고, 나아가 그들이 겪고 있는 교육적 갈등과 심리·정서적 문제 등의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인지를 밝혀 ADHD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중재할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제수행 태도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의 문제행동 중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읽기학습장애아동 및 일반아동의 신경심리적 작업기억 특성 비교: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를 중심으로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2

        This study aimed for revealing differences in Neuropsychological Working Memory characteristics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sample consisted of 20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20 normal children. ‘Rey-Kim memorial Test for children’ was employed as an investigation tool for finding memorial characteristics traits of each group in this study. This tool is comprised of two sub-tests, which are ‘K-AVLT Test’, and ‘K-CFT Test. This study conducted MANOVA by using SPSS 14.0 program so 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findings are derived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capability of ‘The point of quantity’ and ‘The point of quality’ in the two sub-tests. Seco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apability of memorial quotient (MQ). Third, there is also difference in the simple and the complex Working Memory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e disordered children showed lower working momerial ability than normal children, therefore, reading disordered children require distinguished working memorial vitallization teaching and mediating method. 본 연구는 최근 학교현장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읽기학습장애아와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을 비교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연구대상은 읽기학습장애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에서 집단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는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이다. 이 검사도구의 2가지 소검사로는 K-AVLT와 K-CFT이다. 연구의 검증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SPSS 14.0 프로그램을 통한 다원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읽기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개의 소검사에서 집단간 기억지표별 양적점수와 질적점수의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양적점수에서는 K-AVLT의 시행1, 시행2, 시행5, 지연회상, 지연재인 그리고 K-CFT의 지연회상에서 차이가 있었고, 질적점수에서는 기억유지도와 언어기억/시각기억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기억지수(MQ)에서도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간 단순작업기억과 복합작업기억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작업기억의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서, 읽기학습장애아들에게는 일반아동과는 차별화된 기억활성화 교수 전략과 중재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