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생리학 : Tanner - Whitehouse 방법에 의한 유 . 청소년들의 연령별 골격 성숙도와 성인 신장의 추정

        송종국(JongKookSong),유승희(SeungHeeYoo),손두옥(DuOhkSon)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들의 골격성숙도를 평가하고 그들의 성인신장을 추정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6세이상 16세이하 총 124명의 남녀 어린이이었다. 골격성숙도는 TW2방법에 의하여 평가되었고, 골격성숙도를 평가하기에 앞서 평가자의 신뢰도 검사가 7세부터 16세 30명 남녀 어린이의 방사능 사진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1차와 2차 평가후 신뢰도 검사 결과 RUS system에서 0.16세, carpal systme에서 0.18세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TW2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한 남자어린이의 RUS점수는 6세에서 136점, 16세에서 768점이었고, TW2 백분율과 비교하여 본 연구 대상자들의 골격 성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남자어린이들의 40%가 RUS점수에서 3백분위 이하이었으며 56%의 여자 어린이들이 10백분위 이하로 나타났다. 남녀 어린이 70%가 carpal점수에서 10백분위 이하로 나타났다. 남자 어린이들은 생활연령과 비교하여 평균 뼈나이가 낮은 반면에 9세이상의 여자 어린이들은 생활연령과 비슷한 그들의 뼈나이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keletal maturity and the prediction of adult height in Korean boys and girls. The subjects consisted of 124 children aged 6 to 16 years. The TW2 method was used to evaluate skeletal maturation. All skeletal maturity assessments of the samples were made by one of the authors(S.J.K). The reliability of the ratings by the study assessor was tested using a random sample of radiographs from 30 boys and girls, aged 7-16 years.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fast and second assessment was 0.16 years for the RUS(SD=0.21) system and 0.18 years for carpal(SD=0.24) system. Reliability was therefore good.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boys, the RUS scores have been changed from 136 for 6 years to 768 for 16 years. When compared with the TW2 Gentiles, our samples were found to be low. 40% of boys had RUS scores below the 3rd Gentile. And 56% of girls had RUS scores below the 10th Gentile. Over 70% of boys and girls had carpal scores below the 10th Gentile. This indicates that reference data presented herein are delayed for both RUS and carpal scores. Boys were found to have lower mean bone age relative to their chronological age. However, girls over 9 years had similar mean bone age relative to their chronological age.

      • KCI등재

        여자 비만 청소년들의 골격성숙도, 골밀도와 체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송종국(JongKookSong),강효정(HyoJungKang),정현철(HyunChulJung),김현배(HyunBae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이 연구는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골격성숙도, 골밀도와 체력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2세와 13세 여자청소년들로서 비만학생 28명과 일반학생 30명을 포함한 총 58명이었다. 체중과 신장, 그리고 골격성숙도를 측정하였고, 골밀도와 신체구성요소는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력은 평형성, 민첩성, 유연성, 순발력, 악력, 근지구력, 스피드,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12세 비만학생(12.7세)과 일반학생(13.0세)의 뼈나이는 두 그룹 모두 생활나이보다 매우 빠르게 나타나 조숙하였고, 13세에서는 비만학생(14.2세)이 일반학생(13.3세)보다 골격성숙이 빨랐다. 전신골밀도의 경우 그룹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요추와 전완골밀도의 경우 비만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측정시기와 그룹에 따른 체력요인에서 평형성(p<0.01), 민첩성(p<0.001), 유연성(p<0.001), 악력(p<0.001)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p<0.001) 증가하였다. 윗몸일으키기에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지구력달리기에서는 일반학생이 비만학 생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비만 청소년들의 골격성숙도, 골밀도, 체력의 보다 정확한 추세변동에 대한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지역과 학교를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of skeletal maturity,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female adolescents for 3 years. A total of 58 female adolescents (aged 12 and 13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dy weight and body height were measured and skeletal maturity was assesse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by DXA, Physical fitness parameters were measur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ne age are more advanced than chronolgoical age in both groups at 12 years. However, obese female adolescents (14.2 yrs) were advanced than non-obese adolescents (13.3 yrs) at 13 years. Whole body bone mineral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Obese adolescents had higher femoral and lumber bone mineral density than control group at 13 years old. Physical fitness improved significantly for flamingo balance (p<0.01), plate tapping (p<0.001), sit and reach (p<0.001), grip strength (p<0.001) in both groups with age. Control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endurance run compared to obese female adolescents. In conclusion, obesity is associated with skeletal maturity,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fitness in female adolescents. However, further longitudinal study including many participants from several schools areas should be performed to be generalized for our results.

      • KCI우수등재

        운동영양학: 단·중·장거리 육상선수들의 철분과 생화학적 변인 비교

        강형숙(HyungSukKang),송종국(JongKookSong),유승희(SeungHeeYoo) 한국체육학회 2002 한국체육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잘 훈련된 남자 육상선수들의 생화학적 변인과 철분 상태를 평가하고, 종목별 육상선수 그룹간 각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평균연령 20.30.99세인 단거리 선수12명, 중거리 선수5명, 장거리 선수9명을 포함한 총 26명의 남자 대학교 육상선수들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주당 5일, 일일 5시간씩 훈련을 받았으며, 주당 달린 거리는 단거리 선수 25-30㎞, 중거리 선수 50-80㎞, 장거리 선수 150-200㎞이었다. 식이섭취량은 3일 동안 섭취한 음식섭취량을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적혈구, MCV, MCHC, MCH는 ADVIA 120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평가되었고, 혈중철분과 총 철분결합능력은 HITACHI 7159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TS는 혈중철분농도를 TICB로 나누어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세 그룹간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MCV, MCH, MCHC과 혈중 철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헤모토크릿, UIBC, TIBC는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거리 선수(48.1%)는 다른 두 그룹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헤마토크릿을 보였으나, 장거리 선수는 UIBC, TIBC에서 단거리 선수보다 유의하게(p<0.01)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장거리 선수는 평균 철분섭취, 포타시움, 비타민A, 비타민B2에서 단거리 선수보다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네랄, 비타민의 섭취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2주간 저항운동이 젊은 여성의 슬개대퇴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MiHeePark),송종국(JongKookSong),김진구(JinGuK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는 저항운동이 20-40세 여성의 슬개대퇴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mdrome: PFPS)의 통증과 기능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 25일부터 9월 30일까지 슬개대퇴증후군을 가진 서울시내 직장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통제군(n=13)과 운동군(n=18)으로 구분하여 통증(Visual Analog Scale, VAS)과 활동수준(Tegner, Lysholm), 기능동작(원심성 스텝, 전내측 런지, 한발뻗기)과 근력(60, 180°/sec)을 측정하였다. 운동군은 주 3회, 60분 정도 12주간 서울 소재 P병원 스포츠메디컬센터에서 저항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그룹 간, 측정시기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repeated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저항운동 후 VAS는 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Tegner와 기능동작은 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무릎 근력에서 우측 신전근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신전 결손율은 감소하였다. 슬개대퇴증후군은 일반군에 비해 통증, 활동수준, 기능동작에 차이를 나타내어 임상적 가치를 나타냈으나, 무릎의 굴신 동작만으로는 기능적인 무릎의 통증을 측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12주간의 저항운동은 통증, 활동수준, 기능동작과 무릎 신전근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슬개대퇴증후군의 치료와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resistance exercise on pain and functional activity for office worker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e obtained VAS, activity level, functional activity and strength from subject who were assigned to either control group(CG, n=13) or exercise group(EG, n=18) through 25th Apr. 2006 to 30th Sep. at Sports Medical Center of the P Hospital. EG attended a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60 minutes and 3 times per week. Statistical analyses were analysed repeated two way ANOVA to search effect on exercise. After 12 weeks exercise V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G and Tegner score and function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t knee strength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decreased deficit of extension streng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as clinical worth pain, activity level and functional activity compare to CG but knee pain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as not appropriately assessed by just knee flexion and extension motion. We can consider for this study that resistance exercise for 12 weeks has improve pain, activity level, functional activity and extension strength also will has valuable patients treatment and prevention.

      • KCI등재

        빈야사 요가 운동이 중년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과 CVD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SunYoungJung),정현철(HyunChulJung),송종국(JongKookSong)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는 12주간의 빈야사 요가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0-50세 건강한 중년여성 총 20명이었고, 이를 운동군 11명과 통제군 9명으로 분류하였다. 신체구성은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건강관련체력은 외발서기,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 악력, 윗몸일으키기,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으로 혈압, 혈중지질, GOT, GPT 등이 분석되었다. 요가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주 3회, 60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요가 운동군에서 체지방량(p<0.001), 체지방률(p<0.05), 복부지방률(p<0.001)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통제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혈중 지질의 경우 요가 수행군은 TC, TG, LDL-C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증가 현상을 보였다. 건강관련체력에서는 운동군이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 외발서기, 최대산소섭취량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요가수행은 중년 여성의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혈중지질을 낮추며, 유연성, 평형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추후연구에서는 중년여성들의 제지방 조직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이 포함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nyasa yoga exercise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women. 20 healthy women aged 40 and 50 yea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yoga: 12, control: 9).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s were analyzed.Exercise group performed Vinyasa Yoga for 12 weeks (3times per week, 60min per s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ecreases were found for body fat mass(p<0.001), %fat(p<0.05), and %fat in abdomen(p<0.001) in yoga exercise group. Also, blood lipids including total cholesterol(TC), trigriceride(TG),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decreased significantly in Yoga exercise group between pre and post test.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s on GOT, GPT, r-GPT and glucose between two groups. Yoga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it and reach, stork standing and VO<sub>2</sub>max during the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yoga exercise decreases body fat and lipid profiles, but increases fitness factors such as flexibility, balance and cardiorespiratory in healthy women.

      • KCI등재

        연령에 따른 고령여성의 신체구성, 기능체력 및 혈관탄성의 차이

        김성우(SungWooKim),강효정(HyoJungKang),신용석(YongSeokShin),정성우(SungWooJung),송종국(JongKookSong)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고령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혈관탄성을 비교하고 종속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고령여성으로 신체활동에 문제가 없는 107명 (65-69세; 23명, 70-74세; 25명, 75-79세; 34명, 80세≤; 25명)으로 하였다. 신체구성은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골밀도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우측 종골을 측정하였다(Sahara 3.0, Holigic, USA). 6개 요인의 기능체력을 측정하였고, 혈관탄성은 VP-1000(Colin, C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제지방량, 체수분량, 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은(p<.01) 반면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높았다(p<.05). 기능체력의 경우 고 연령 집단에서 상지유연성(p<.01), 악력(p<.0001), 하지근력(p<.0001), 상지근력(p<.0001), 전신지구력(p<.0001),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p<.0001)을 포함한 모든 기능체력검사에서 유의하게 낮은 성적을 보였다. 한편 맥파속도의 경우 고 연령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혈관탄성은 제지방량과 체수분량, 하지근력, 상지근력 및 전신지구력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나(p<.01),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p<.01). 따라서 고령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근골격계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체구성과 기능체력, 혈관탄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ge-related differences on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arterial stiffness in elderly women. 107 elderly women aged over 65 years old (65-69yrs; n=23, 70-74yrs; n=25, 75-79yrs; n=34, 80≤; n=25)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was assessed by BIA method.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with right calcaneus by Sahara(Sahara 3.0, Holigic, USA). Six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ests were measured by SFT(senior fitness test). Vascular compliance was analyzed by VP-1000(Colin, Co., Japan).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fat free mass(p<.01), total body water(p<.01), percent body fat(p<.05), and bone mineral density(p<.01) by age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upper body flexibility(p<.01), grip strength(p<.0001), lower body strength(p<.0001), upper body strength(p<.0001), agility/dynamic balance(p<.0001), aerobic endurance(p<.0001), RbaPWV(p<.05), and LbaPWV(p<.05) between age groups. PWV was negatively related with fat free mass(p<.01), total body water(p<.01), lower body strength(p<.01), upper body strength(p<.01), aerobic endurance(p<.01). However,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WV and agility/dynamic balance(p<.01) was found in elderly women. In conclusion, older age group had lower fat-free mass, bone mineral density and some of functional fitness tests compared to young age group. However, a higher PWV was found in older age group. To prevent musculoskele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elderly people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arterial compliance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