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이전 미국의 일본 점령 작전과 한반도 인식

        송정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미국이 해방 이전 동아시아 정책 구상에서 한반도를 주목한 배경과 그 진위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이 해방 이전 한반도를 구체적인 점령 계획에 포함시켰던 일본 점령 작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반도에서도 미국이 점령을 대비해 선정한 거점 지역들이 존재했음을 확인하였고 지역별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부산・군산-전주 세 곳이 거점으로 선정되었음을 밝혔고 해당 지역들이 정치적 중심지와 교통 요충지 그리고 군사시설 밀집 등 공통된 조건들이 있음을 밝혔다. 특히 미국이 한반도를 일본 본토 공격 시 발생할 수 있는 배후지원 차단과 종전 이후에 실시할 점령 등을 고려한 전략적 교두보로 인식해 이와 같은 준비를 진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일본 점령 작전이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것과 한반도에 대한 지리적・군사적 특수성이 함께 고려되었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방 이후 미국의 남한 점령을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반도라는 구도 속에서 살펴야 하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uthenticity of the US focusi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oncept of East Asian policy before liberation. During this process, the Korean Peninsula also confirmed that there were base locations selected by the US for occupation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by region. The study revealed that Seoul, Busan, Gunsan-Jeonju were all selected as bases, and that the regions had common conditions, such as political centers, transportation hubs, and concentration of military facilities. It was analyzed that the US recognized the Korean Peninsula as a strategic bridgehead considering the blocking of back support that might occur during the attack on the Japanese mainland and the occupation to be carried out after the war.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Japanese occupation operation could not be performed alone and that the geographical and military specif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sidered. It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US occupation of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US,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

        송정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7

        해방공간은 장기간 식민 통치에 노출된 특수한 환경이었다. 일제 36년간의 침탈과수탈 속에 방치된 그야말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식민 통치 후유증은 정치·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 제 문제로 나타났으며, 식민지 농업 수탈의 유산으로 생겨난 빈민문제의 확산은 부랑자 출현과 연쇄적으로 작동했다. 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부터 부랑자는 더 이상 국가의 보호 대상이 아닌 사회로부터 격리해야 하는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다. 특히, 부랑자 중에서도 가장 큰 희생자는 부랑 한센인이라 할 수 있다. 부랑 한센인 사례는 개인의 신체에 대해 국가권력이 직접적으로 개입한 것으로 강제적이면서 폭력적인 성격을 가진다. 일제강점기부터 부랑 한센인 관리 방식은 사회로부터철저히 배제하고 격리하는 방식으로 일관하였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정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센병은 해방공간에서도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되었고 정책 당국조차사회 질서의 정상적인 유지와 재생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미군정은 사회 내 공포와 혐오를 해결해 앞으로 수립할 통치 체제에 국민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군정은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던 부랑 한센인을 공공공간에서처리해줌으로써 통치 목표를 완수하려고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얻기 위한 통치 기제로써 포섭과 철저한 배제의 방식인 차별관리가 적용됐다. 국가로부터 배제된 부랑 한센인은 강제적인 격리 방침에 의해서 점차 공공공간에서 소거되었다. 결과적으로 한센인과 비한센인의 경계는 더욱 확고해졌다. 본 논문은 미군정의 남한 점령통치목표에 투영된 통치 전략과 그 안에 함의된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The liberation space was a special environment exposed to colonial rule for a long time. It was a truly poor situation that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aftermath of colonial rule appeared as a comprehensive problematic situation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the spread of poverty caused by the legacy of colonial agricultural exploitation had negative interaction in tandem with the emergence of the vagabond.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vagabond has been recognized as a hazardous risk that must be isolated from society, rather than as a subject to state protection. In particular, among the vagabonds, the biggest victim was Hansen’s disease patient.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 issue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state power directly intervened in an individual’s body, of which nature itself was also coercive and violen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s were consistently treated with thorough exclusion and isolation from society. After liberation,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not substantially different. Hansen’s disease was still recognized only as an abhorrent infectious disease, and even the policy authorities regarded it as a serious threat to the usual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According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made it a priority to secure the foundation of public support for the governing system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resolving fear, hatred, and dirt in societ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ttempted to approach the goal of governance by resummoning non-citize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reating vagabond, which was perceived as a threat, in public space. In the process, as a governing mechanism to gain trust from the people, discriminatory management, which was a thorough exclusion of non-citizens and acquisition, was maintained.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ho were stigmatized as non-citizens, were gradually eliminated from public spaces, and the boundary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became more solid as coercion was added to the quarantine policy imposed on non-citizen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historical meaning implied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uling strategy reflected in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and rule of South Korea.

      • 가전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통계분석

        송정현,정형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1990 통계상담 Vol.5 No.1

        구매행도에 대하여 관련된 각 변수들을 인자분석하여 그 차원을 축소시키고 소비자 행동에 대해 소비자들을 몇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世宗朝의 北方政策

        宋正炫 全南大學校 湖南文化硏究所 1965 호남학 Vol.3 No.-

        세종조의 북방정책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사군과 육진의 개척으로 여진과의 경계가 확실치 않은 압록강 상류지방과 두만강의 자연적 경계에까지 영토를 확장하는 것이다. 세종 이전에 있어서의 상기 지방은 소속이 확실치 못한 지방으로서 여진인의 약탈에 맡겨어졌던 곳이며, 그들이 점차 대규모의 병력으로 남하 침관하게 되어 태종시대에도 수십개의 침관을 입어 그 피해도 광대하였으나 건국이 일천하여 북방 문제의 해결을 보지 못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