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은유 활용 프로그램 개발

        송재홍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6 초등상담연구 Vol.15 No.3

        정서유능성(emotional competence)은 특정 정서를 유발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바람직한 결과 혹은 목표를 얻기 위해 자신의 정서 경험을 조절하거나 자신의 정서를 유능하게 사용하는 기술이다(Saarni, 1999, 2007). 그것은 독립적이지만 서로 연관된 여러 개의 기능(예: 정서 이해, 정서 조절, 정서 표현)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사회적 및 인지적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정서유능성의 부족으로 인한 정서 표현 및 정서 조절 어려움은 내면화 혹은 외재화 행동문제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송재홍, 2015). 따라서 정서유능성을 증진하는 일은 개인의 정서적 발달은 물론 그의 학업 및 사회적 적응과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오늘날 상담자들은 자신들이 지향하는 이론적 접근을 초월해서 공통적으로 상담 혹은 심리치료 과정에서 심리학의 맥락주의 근본은유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송재홍, 2014).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상담의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치료적 은유를 활용하여 아동의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먼저 정서유능성 발달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간략히 살펴보고,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주요 접근방법과 정서 개입에서 은유 활용의 치료적 가치와 작동 원리를 탐색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은유 활용 프로그램의 목표, 구성원리 및 전개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시안을 제시한다. 프로그램은 총 여섯 마당 1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회기는 80분 정도 소요된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일반 아동과 정서행동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모두에게 적용이 가능하며, 2박 3일 일정의 집중 프로그램 또는 16주에 걸친 회기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끝으로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후속 연구 과제를 논의한다. Emotional competence is constitutive of a variety of skills which are separate and associated with one another, and associated with individual’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lso Difficulties in th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emotions are likely to result in various types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the emotional competence is critical factor to individual's academic successes as well as his emotional and social adjustment.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the therapeutic metaphors has been rooted historically in the counseling and that major approaches to counseling have used the various types of metaphors and stories as the effective tools of interac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the metaphor-mediated program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researcher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competence to psychological adjustment, reviewed major approaches to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competences, includ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to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explored the therapeutic values of using the metaphors in intervening the individual's emotional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 introduced the goals and processes of the metaphor-mediated program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presented a specific example of the program including materials by each session. The program is composed of sixteen sessions through six section, and it takes eighty minutes to conduct a session. The program could be applied with a variety of population, including normal children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adolescents with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researcher discusses issue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apply the program effectively, and recommends some tasks for further investigations.

      • KCI등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 조사

        송재홍,김규식,김봉환,김현아,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mbers' opinions on some critical issues related to counseling specialist qualifi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accrediting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with a special focus on training programs and integrating such training into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and have invited members to respond every item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ers have invited member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findings were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rame the structure of certification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by simplifying the levels of certificat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ocial utility of counseling specialist's certificate.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ember's satisfaction of requirements for counseling specialist's qualification. 이 연구는 (사)한국상담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행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학회 회원의 의견을 조사하여 자격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주요 쟁점에 대한 학회 회원의 만족도와 전문상담사 자격증의 사회적 인지도 및 활용가치 제고를 위한 회원의 의식 수준을 조사하고,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송재홍 외, 2012)를 토대로 마련한 자격검정제도 개정 방안에 대한 회원의 의견을 파악하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본 학회 주최 통합사례발표회와 분과학회 주최 행사에 참여한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수정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주요 제안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자격체계의 단일화와 자격등급의 축소 조정을 통해 자격증의 구조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격증의 국가 공인화와 상담 법제화 등의 추진을 통해 자격증의 사회적 인지도와 유용성을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격 요건과 자격 취득 절차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응시수수료를 적정하게 조정하며 자격검정시험과 수련심사 요건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상담경력 연한제와 상담교육연수프로그램 인증제의 도입 등을 통해 지원 요건과 수련요건을 통합하여 자격 취득 및 검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자격시험 과목 및 평가방식의 조정 등을 통해 자격검정시험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등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 認知治療에 關한 理論的 考察

        宋在鴻 全北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3 學生生活硏究 Vol.20 No.-

        Cognitive therapy(CT) or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is a relatively short-term form of psychotherapy that is active, directive, and collaborative between patient and therapist. The basic premise of the cognitive therapy model is that there is an essential interaction between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feel and behave and the way in which they construe their world, themselves, and the prospects for their future. The goal of therapy is to help patients uncover their dysfunctional and irrational thinking, reality-test their thinking and behavior, and build more adaptive and functional techniques for responding both inter- and intra-personally. The goal of this review is to offer the reader an overview of the basic cognitive therapy model, with specific focus on understanding the broad cognitive-therapy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gnitive therapy, described the main conceptions(e.g., cognitive triad, cognitive distortions, dysfunctional or irrational assumptions, schema, etc.), therapeutic precesses, and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strategies and techniques, with which cognitive therapists had established their therapeutic models and had developed their clinical pratices, and finally added the evaluation of cogitive therapy model, with specific focus on improving its future.

      • KCI등재후보

        상담자 훈련과 수퍼비전에서 은유의 의미와 활용

        송재홍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4

        Metaphor has been used for decades to facilitate the change and growth of clients in counseling, and more recently to educate and supervise the counselor-in-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se of metaphors in the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Specifically, researcher have attempted to review the theoretical rationale and the hypothesized effectiveness of the use of metaphor, and to examine the research-based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in regards to using a variety of metaphors in the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and the future research. First, using metaphor in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the supervisors have expected it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 ability of supervisees and to developing their identity as a counselor, which has recognized as the key goal of the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Second, the metaphor has been used in various forms in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a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cess. Someone prefer to the stories such as myths, fables, and fairy tales, while others prefer to the non-verbal techniques such as environmental metaphors and metaphorical drawing. Also, some supervisors tend to suggest directly their own metaphors in the supervision session, but others try to use the supervisee-generated metaphor to facilitate their insights and changes of the process of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Third, a few researchers has attempted to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aphors used in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but failed to take a clea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er call the attention and research on using the various types of metaphor for the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especially regarding to counseling for children.

      • KCI등재후보

        상담에 있어서 맥락주의와 치료적 은유의 활용

        송재홍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1

        오늘날 은유는 문학이나 학문에서는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오늘날 심리학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맥락주의의 기본 전제와 치료적 은유의 적용 사례를 고찰하여 시대적 상황에서 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이 연구는 상담 과정에서 치료적 은유의 사용이 역사적으로 매우 뿌리 깊고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왔으며, 특히 표현예술치료, 인지행동치료, 이야기치료 등 현대 상담 접근의 주요 세력들 역시 상담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은유와 이야기를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고 확인한다. 이 연구는 또한 상담 과정에서 치료적 은유의 사용이 맥락주의를 근본은유로 채택하고 있는 사회구성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긍정심리학, 강점기반 접근, 인지적 지각 이론 등 현대 심리학의 주요 흐름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치료적 은유의 형태, 치료적 은유 사용의 목적과 적용 범위, 그리고 치료적 은유 개입의 절차 및 효과성 등 치료적 은유 사용에 기초한 상담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검토해야 할 몇 가지 쟁점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