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의 공존증상과 도전행동의 실태

        송재옥,전병운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hallenging behaviors and comorbid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identify differences in such behaviors and comorbidities according to a variety of sample characteristics (e.g., sex, educational placement, age, and severity of ASD). A total of 668 children with ASD, 6-18 years old and enrolle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nationwid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formation providers were homeroom teachers who had known the children for at least 6 month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sex, educational placement, age, and ASD sever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pproximately 60% of children had a coexisting comorbidity. Moreover, at least 53% had at least one type of sleep problem, and almost all patients (approximately 96%) displayed at least one challenging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llenging behaviors and comorbidities were found between groups of different sexes, educational placement, age, and ASD severity ra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hallenging behaviors and comorbidities in Korean children with AS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도전행동 및 공존증상의 출현율을 조사하고 변인의 특성에 따른 도전 행동 및 공존증상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초․중․고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6~18세의 ASD 아동․청소년 668명이었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 방법은 기술통계와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약 60%에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불안, 우울 등의 공존증상 중 한가지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의 약 53%가 한 가지 이상의 수면문제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약 96%)의 연구대상에게서 한 가지 이상의 도전행동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수면문제와 불안에서만 유의차가 발견되었고, 배치 상태에 따라서는 도전 행동과 모든 공존증상에서 특수학교 배치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에서만 유의하였다. 자폐성장애 등급에 따라서는 도전 행동과 모든 공존증상에서 유의차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ASD 아동․청소년 에게 도전행동과 공존증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대한 중재 및지원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공존증상과 도전행동의 구조적 관계 탐색

        송재옥,전병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에게 나타나는 도전행동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도전행동의 예측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특수학교와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6∼18세의 ASD 아동 668명이며, 설문은 이들을 6개월 이상 지도한 담임교사가 답하였다. 정보 제공자인 담임교사는 ASD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자폐증상심각도, 표현언어능력, 불안,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수면문제, 도전행동 등에 관련된 온라인 설문에 답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심각도와 수면문제는 ASD 아동의 모든 공존증상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폐증상심각도가 수면문제를 매개로 하여 우울, 불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예측하는 경로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현언어능력은 ASD 아동의 도전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불안,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은 ASD 아동의 도전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자폐증상심각도는 도전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않았으나 수면문제, 불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등의 공존증상을 매개로 하여 도전행동을 예측하였다. 또한 수면문제도 직접적으로 도전행동을 예측하지는 않았으나 불안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매개로 하여 도전행동을 예측하였다. 모든 특정간접효과 경로에서 우울이 포함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질소오염 감소를 위한 질소수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사례연구 For Province Chungcheongbuk-do

        송재옥,홍성규 建國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4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15 No.-

        These days, the environment has been polluted as a result of many kinds of agricultural activities, such as over-fertilization and excessively injected agricultural medicine and livestock-wastewater. Especially, superfluously used nitrogenous fertilizers have worsened both ground water and earths surface water. In Korea,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re has been an extensive use of nitrogenous fertilizer, affecting the cleanliness of ground water.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erative to study the pollution by nitrogenous fertilizer. In order to estimate the extent of potential pollution by nitrogenous fertilizer, this study establishes a nitrogen parameter by providing the balance between the inputted quantity of nitrogen element (marked as plus) and the output quantity of nitrogen element (marked as minus). For the calculation of surface nitrogen balance, nitrogen input was calculated by fertilizer consumption and cattle manure input etc., and nitrogen output was mainly harvested crop products. This balance, by indicating the extent of potential pollution, may be us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 policy making. In Province Chungcheongbuk-do(Chungbuk), a surplus of nitrogen is 15.3kg/10a. However, each region has different levels of surplus based on the amounts of nitrogenous fertilizer used, soil and climate. We observe that the policy to reduce pollution by nitrogen must be applied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conclusion, the nitrogen parameter has significance in planning environmental policy that is appropriate to each region, by helping to analyze the effect on rural household income and to solve other environment-related problems.

      • 우유 및 유제품 수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 우유 및 유제품 수입자유화의 사업연관분석

        홍성규,송재옥 建國大學校 附設 自然科學硏究所 1993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4 No.-

        국가간의 유제품 교역에 있어서 예외없는 관세화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우리나라의 유가공 부문은 직접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며 또한 유가공 부문을 제외한 여타산업은 간접적으로 더 큰 피해를 보게 된다. 예를 들어 던켈 사무총장의 제안에 따라 1997년까지 관세 상당액의 36%가 감소되는 경우 유가공부문의 생산감소액은 1988년도 가격으로 571억원에 이르고 여타산업의 피해액은 767억원에 다다르게 된다. 571억원은 유가공부문 총산출의 4.31%에 해당되며 1,338억원(571억원+767억원)은 우리나라 전체경제 총산출의 0.0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이는 유가공부문의 수입개방이 국내총산출을 0.05%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접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산업은 낙농부문으로 나타났으며, 배합사료 부문과 제당부문도 대체적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부문도 피해가 큰 편인데, 그 이유는 작물부문이 낙농부문과 배합사료에 투입물을 많이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과 같이 공급함수와 개방모형의 산업연관분석으로 계측된 피해액은 모형의 성격상 다음의 관점을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해석하여야 한다. 1) 통상적인 개방모형의 산업연관모형에서는 각 부문에서 고용되고 있는 사람들의 생산감소에 따른 소득의 감소에서 생기는 영향을 계측의 대상 밖에 두고 있다. 이 같은 소득의 흐름을 통한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폐쇄모형의 산업연관분석이 유효한데 이 경우 피해액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이다. 2) 관세상당액의 감축에 따라 국내가격이 경영비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는 실제생산이 중지될 것이므로 수입개방시 피해액은 이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 3) 본장에서는 또한 분석의 대상을 우유 전체에 대해서가 아니라 유제품에 한정하였다. 만일 저장 및 운반기술이 커다란 진보를 보여 시유의 수입이 가능해진다면 유가공 부문과 낙농부문을 포함한 여타산업의 피해액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identify effects of import liberalization of dairy products not only on dairy industry but also on national economy overal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extending influence on production under the alternative assumptions were measured using elasticity approach and input-output analysis tool. The effects on national economy were calculated using the input-output table issued by the Bank of Korea, While the dairy cattle sector and other livestock breeding sector were estimated by the MODOP-Method. This study is analys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tariff equivalent of dairy products would decrease to 30%, 36% and 75% respectively by 1997. In the case of 36% assumption(scenario Ⅱ) the direct losses of the dairy industry would be 57 billion won at the constant price of 1988, and the indirect losses of the other related industries would be 77 billion won. Consequently, the direct and indirect damage of the Korean economy would amount to 134 billion won. After all, import liberalization of dairy products would bring about larger losses to the other industries than to the dairy industry. Especially the sector of the largest indirect losses would be occurred in the dairy cattle sector.

      • 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하이-테크놀로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실험 연구 동향 분석

        송재옥(Jaeok Song),전병운(Byung-un Je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외 하이-테크놀로지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실험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여 하이-테크놀로지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를 활용한 중재와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기준에 따라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9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문헌을 검색하여 총 46편(국내 연구 23편, 국외연구 23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문헌을 (1) 중재 대상 (2) 연구 설계 (3) 중재 환경 (4) 독립변인(5) 종속변인 (6) 사용된 의사소통 기술 (7) 중재에 사용된 하이-테크 AAC 기기의 유형 (8) 사용된 소프트웨어의 종류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중재 대상은 총 126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6-11세가 가장 많았고, 장애 영역별로는 자폐성 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구 설계는 국내연구의 경우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많았고, 국외 연구에서는 중재 교대 설계가 가장 많았다. 중재 환경은 특수학교나 특수학급과 같이 분리된 학교 상황의 교실 등에서 실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의 분석 결과, 국내 연구에서는 하이-테크 AAC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고, 국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AAC 도구를 활용한 중재 비교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종속변인으로는 의사소통 기능 향상이 국내외 모두 가장 많았다. 중재에 사용된 하이-테크 AAC 도구는 태블릿 PC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소프트웨어 는 국내에서는 ‘마이토키’, 국외에서는 ‘Proloquo2Go’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대상 하이-테크놀로지 AAC 도구와 관련한 중재 연구, 현장 적용, 기기 개발 등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 of high-tech AAC intervention stud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lectronic database searches were completed to identify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6. 46 studies were identified for inclusion in this review. The studies were classified as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setting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communication skills by High-tech device, type of high-tech AAC device. Across these studies,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total of 126 participants. Most participants are aged 6-11 and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autistic spectrum disorder. Most common study designs were multiple probe design and multiple treatment design. The majority of studies implemented interventions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classroom) setting. The majority of studies implemented interventions to compare the effect of high-tech and low-tech AAC device interventions. The majority of targeted behavioral outcomes were communication skills. Tablet PC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interventio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most common softwares were ‘My talky’ in domestic studies and ‘Proloquo2Go’ in foreign studies. The synthesis of evidence describing views of users and provid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high-tech AAC device can provide valuable data to inform intervention studies and functional outcome measur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양돈농장의 동물복지 수준이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송재옥(Jae Ok Song),최승철(Seung Churl Choi)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animal welfare on pig productivity in Korea. For the normal DEA and bootstrap DEA analysis, MSY was selected as the output variable and 6 items of animal welfare was selected as the input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CCR model was 0.8613 for DEA and 0.8256 for bootstrap DEA,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BCC model was 0.9140 for DEA and 0.8845 for bootstrap DEA. And the scale efficiency showed an overall average of 0.9425 for DEA (0.9354 for bootstrap DEA). I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anmimal welfare point as an input factor had negative coefficient. In conclusion, animal welfare efforts have had little effect on MSY in hog farms in Korea yet.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개발 연구

        권회연,송재옥,전병운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ist of basic vocabulary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10 vocabulary lists develop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2,940 words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words were cross-checked with beginner level words of the existing vocabulary lists and the preliminary vocabulary list was completed. The preliminary vocabulary list was divided into six stag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duplication in the analysis vocabulary list. Next, the preliminary vocabulary list was subjected to expert review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is process, the educational vocabulary lis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categorized into six stages. Then, the vocabular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ts of speech, word type, and semantic doma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selected vocabulary was 1,000, and it was divided into 6 stag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duplication in the analysis vocabulary list. The number of vocabulary in each step was 50 in the first step, 100 in the second step, 300 in the third step, 500 in the fourth step, 800 in the fifth step, and 1,000 in the sixth step.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part of speech, the ratio of nouns and verbs is was very high.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 ratio of nouns and verbs was similar, but in the later stages, the ratio of nouns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ord type, the ratio of pure-Korean was high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but the ratio of sino-Korean gradually increased in the later stage.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emantic domain, the ratio of ‘action’ domain (about 2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u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vocabulary lis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follow-up research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목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하였다. 먼저 장애학생을 위해 개발된 어휘 목록 10가지를 바탕으로 교육용 어휘 2,940개를 추출하고, 이를 기존의 교육용 어휘 목록 중 초급 어휘 목록과 교차 검토하여 예비 어휘 목록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예비 어휘 목록은 분석 자료 어휘 목록의 중복 출현 빈도에 따라 6개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예비 어휘 목록을 특수교육 및 국어교육 전문가의 검토 의견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단계별 교육용 어휘 목록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목록을 대상으로 품사, 어종, 의미 영역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용 어휘로 1,000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목록을 분석 자료 중복 빈도에 따라 여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Ⅰ단계는 50개, Ⅱ단계는 100개, Ⅲ단계는 300개, Ⅳ단계는 500개, Ⅴ단계는 800개, Ⅵ단계는 1,000개로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어휘는 품사별로는 전체적으로 명사와 동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고, 어종별로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Ⅰ-Ⅱ단계에서는 명사와 동사의 비중이 유사한 편이었으나 뒷단계로 갈수록 점차 명사의 비중이 높아졌다. 어종에서도 Ⅰ-Ⅱ단계에서는 고유어의 비중이 매우 높았으나 뒷단계로 갈수록 점차 한자어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었다. 셋째, 최종 어휘 목록의 의미 영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동작 영역의 어휘가 전체 어휘 중 약 2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육 영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목록의 활용 및 개선 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