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계약 규제 방향성 검토

        송인방(Song, In-Bang),양영식(Yang, Young-Sik)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4 No.-

        블록체인기술이 가져올 미래의 세상에서는 지금까지의 기술에 익숙한 규제방식에도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특정 분야에 도입하기 위하여 어떠한 제도 개혁이 필요한지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스마트계약의 사용은 상용화를 위한 시범단계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현행법이 이에 대한 법적 정의를 규정하지 못한 가운데 앞으로 스마트계약에 대한 규제 방향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이며, 기존 계약법 이론과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인바, 본 연구는 스마트계약 표준화 모델 도출의 일환으로 현재 미디어와 연구문헌에 노출되고 있는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분석은 향후 스마트계약이 어떠한 산업 영역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예측해 보고 또한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관련 국내 연구물에 나타난 연관 키워드분석을 통해 스마트계약에 관한 입법 혹은 표준 약관을 제정하는 방향 정립에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계약에 관한 소셜미디어 매체와 학술연구문헌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Crawling)하여 가치 있는 정보만을 추출·정제하는 데이터 분석과정을 거친 후 데이터간의 패턴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계약의 상용화 수준을 파악하였는데, 여기에는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기법으로 ①관계성 분석, ②키워드 트렌드분석, ③연관성 분석, ④키워드 빈도수 분석을 수행하고, 스마트계약의 키워드 상관관계와 연결성을 파악하는 토픽(Topic)분석을 수행하여 신성장분야인 스마트계약의 표준거래준칙을 수립하기 위한 기술규제적 접근방식 및 규제의 방향성에 관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In the future world brought by the blockchain technology, it would be unavoidable to have some changes in the regulations familiar with the existing technologies. Thus, there have been various analyses on which institutional reform would be required for introducing the blockchain to a specific field. Currently in Korea, the smart contract is used in the level of trial stage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current laws do not prescribe its legal defin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how to set up the direction of regulations on smart contract in the future, and how to solve its relation with the existing theories of contract law. Thus, as a part of drawing a smart contract standard model,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smart contract in the industrial field by conducting the big data analysis on the blockchain-related keywords currently exposed to the media based on the mining technology, and also to find a clue to enact a law related to smart contract or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by analyzing the relevant keywords shown in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blockchain smart contract. This study conducted the ①relationship analysis, ②keyword trend analysis, ③ correlation analysis, and ④keyword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mercialization degree of smart contract target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media, and also performed the additional data analysis in the method of giving the significant weight of academic literary data based on the results(meta-file information) of extracting the information of smart contract.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government regulations on smart contract should be in the form of standard transaction regulations, and the concrete regulatory authority would be proper to be delegated to the blockchain business association.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상호에 있어서 외관보호기능의 확대에 관한 연구

        송인방 ( In Bang So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4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reasonable solutions to achieve the two conflicting goals of not only being overly restrictive in using trade names but also of protecting consumer trust in external appearance about trade names. As recently shown in the case of new multi-type companies, there are various store names and trade marks, as well as trade names, to express themselves. In some cases, these companies may lend their trade names or store names to third parties. Under these special situations, consumers may be mistaken for the sameness of business owners. Thus this Article proposes two solutions as follows, which are designed to enhance legal stability in commercial transac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ability of a nominal lender to protect consumer trust in external appearance of a trade name. Second, the meaning of a trade n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roadly as possible, so as to extend the responsibilities of a transferee as in the case of a creditor of the transferor under Art. 42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in order to prevent the misconception of an innocent third party and to protect his or her trust in store names.

      • KCI등재

        벤처중소기업과 상법개정

        송인방(Song, In Ba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8 No.-

        2011년 4월 개정상법은 새로운 기업유형으로 유한책임회사제도와 합자조합을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기업유형이 지식기반기업에 적합하지 않았던 점을 시정하려고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유형에 대한 선택지가 넓어짐으로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려는 자로서는 보다 자유롭게 자신이 영위하려는 사업유형에 적합한 기업형태를 선택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유한책임회사의 경우 정관에 의한 자유로운 내부조직 설계가 가능하고, 업무집행에 있어서도 주식회사와 같은 외부의 간섭이 없으므로 소신 있는 업무집행이 가능하게 되어 인적자산이 중시되는 벤처기업 등에 의해 활용되기에 적합한 제도이다. 이에 본고는 우리에 앞서 LLC를 도입한 일본에서의 동 제도의 이용례를 기초로 벤처 중소기업이 LLC를 이용할 경우의 이점과 우리나라에서 벤처중소기업이 LLC제도를 이용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소를 검토하여 그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mended commercial law, which was amended in April, 2011, endeavored to rectify the point that traditional types of enterprises were not suitable for knowledge-based businesses by introducing the system of limited liability company and limited partnership as new categories of enterprises. For this reason, it became possible for persons trying to start new businesses to choose the type of enterprises that is suitable for the type of business they intend to manage with more freedom and to conduct their business efficiently and expeditiously as the range of choice in the types of enterprises expanded. Especially, in limited liability companies, internal organization can be designed freely according to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nd the business can be conducted with one’s own beliefs because there is no outside interference as in the case of incorporated companies; consequently the system of limited liability company is an appropriate one to be utilized for venture businesses, in which human assets are greatly valued. Hence, this piece of writing proposes to present the merits of the system of limited liability company when it is used by small venture businesses on the basis of instances of using the system in Japan, in which the system was introduced earlier than in Korea. It also proposes to present elements that hinder small venture businesses in Korea from using the system of limited liability company, as well as remedial measures against the hindrance.

      • KCI등재

        가맹사업법 제15조의3 공제조합의 존치 여부에 관한 검토

        송인방(In-Bang Song),류석희(Seok-Hee Ryu)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4

        2007. 8. 3.에 공제조합 설립에 관한 규정이 가맹사업법 제15조의3을 통해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가맹사업관련 공제조합이 설립된 사례가 없어서 동 조항이 현실적으로 무의미한 규정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현행 가맹사업법은 가맹본부에 의한 가맹희망자 또는 가맹점사업자에 대한 사기 또는 금전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로 ① 가맹금 예치제도(Escrow), ② 가맹점사업자 피해보상보험계약, ③ 공제조합 설립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처럼 가맹사업법이 공제조합 설립에 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가맹사업 관련 공제조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서 문제이다. 공제조합의 설립에 관하여 보면 대부분 공제조합에 관한 근거 규정이 입법되자마자 소관부처가 나서서 공제조합의 유치를 적극 지원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유독 가맹사업에 있어서만큼은 공제조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소관부서인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제조합의 유치를 위한 노력에 적극성을 보이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가맹사업법상 가맹금 예치제도나 가맹점사업자 피해보상보험계약만으로도 가맹희망자 또는 가맹점사업자의 가맹금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가맹사업법 제15조의3 규정의 존치여부를 검토하여, 만일 공제조합에 관한 규정을 삭제한다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은 없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regul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mutual aid associations - the Act of 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Paragraph 3 of Article 15 - was newly enacted in 2007. However, there haven"t been found any cases that the association related to franchise businesses was established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revised law. As a result, that regulation has been proved to be a dead letter. Most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in general cases, try to attract them actively once there exists the regulation relevant to the association. Nevertheless, the mutual aid for franchise deposit has not been yet established in our country. Might it be that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which handles the works on the franchise businesses is too passive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mutual aid associations? Or else does our government believe that just the current escrow system and the contract on damage compensation insurances of franchise business owners can fully protect the deposit of prospective franchisees? Under this circumstance, we need to reexamine whether the act of 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Art. 15, Clause 3 should be maintained hoping they will be established someday or rather abolished. Therefore, I intend to review in this paper whether the regulation should remain or not and, if unnecessary, suggest more realistic alternatives such as an insurance system.

      • KCI등재

        지식기반기업에 있어서의 자금조달에 관한 연구

        송인방(In-Bang Song) 한국기업법학회 2008 企業法硏究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form proposal on the revitalization of funding in the knowledge-based businesses, especially regarding the venture companies. In the 21st century, our industrial paradigm is changing into that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which are based on invisible human assets, unlike traditional industries. But many knowledge-based corporations have been placed in a difficult situation related to financing problems. It is because they cannot receive loans from banks as they can not have tangible assets such as real estate. For example, venture companies have plen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ut they will not acquire success in financing, because it is not easy to finance by u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ity systems. Thus, we must take actions as follows for revitalization of funding in knowledge-based businesses. First, collateral evaluation systems that evaluate the value of companies' security systems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ust be established in Korea. Second, the government must install an organization that will establish the valuate of companies' techniques. Third, we have to reform legal systems concer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ity systems so that banks will have faith that invisible assets are as important and safe as tangible capital assets in the future. Futhermore, we have three approaches(cot approach, market approach, income approach) in valua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ut these methods cannot be suitable for valua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ecurity systems. Therefore we must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real options valuating system prudently.

      • KCI등재

        스마트계약 법제화를 위한 시론(試論)적 검토

        송인방(Song, In-Bang),양영식(Yang, Young-Sik)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1 No.-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지고 있는 탈중앙성을 기반으로 경제적 효율성, 거래의 투명성, 익명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자동집행성(self-enforcing)의 특성이 있어 거래비용 및 분쟁 해결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스마트계약이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종래 계약을 대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아직까지 그 법적 지위는 여전히 불확실하여 전통적인 계약법과의 관계 정립도 아직 미완성 상태이다. 특히 스마트계약상 합의된 의무가 프로그램 코드에 담겨있고 미리 코딩된 조건이 성취되면 자동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로그램의 오작동이나 프로그램 파괴 및 해킹에 따른 책임의 소재 및 손실을 분배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계약상 증명력을 법적으로 어떻게 취급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충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계약의 법적 지위 및 구조적 특성 분석을 통해 계약 실행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할 선결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다음으로 기술적 개념인 스마트계약을 전통적인 계약법 관념에서 포섭하는데 필요한 스마트계약의 법적 규범력 확보를 위한 증명력 및 계약의 실행과정에서 대두될 수 있는 계약의 유효성 및 프로그램 오류에 대한 책임과 손실의 범위 그리고 책임 분배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해 검토하였다. 또한, 스마트계약의 자동실행에 따른 프로그램 오류에 대한 책임 배분 및 거래관계에서의 분쟁해결에 관하여는 스마트계약의 기술 중립적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계약의 코드 유효성 및 법적 효력 및 증명력 확보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Smart contract is anticipated to save the costs of transa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in terms of self-enforcing. Although the smart contract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contracts in combination with new technologies, its legal position is still uncertain. In particula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agreements how to treat probative power in the contracts legally that is essential to assign the liability and losses from program errors, program disability, or hacking occurred in the automatic execution process if the liability agreed in the smart contract is coded and the pre-coded conditions are satisfied. Hence,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the priority of prerequisites that should be resolved in the contract execution stage by the analyses of legal status and structure of the smart contrac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n to review how to deal with probative power to secure the legal binding of smart contract required for the combination of smart contracts with traditional contract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act, liability and scope of losses from program errors, and sharing liability which can be raised in the course of contract execution. Lastly, alternatives to legalize the smart contract in Korea were proposed referring to the foreign legislative cases.

      • KCI등재

        개정상법상 유한책임회사의 법적 성질에 관한 연구

        송인방(In-Bang Song) 한국기업법학회 2012 企業法硏究 Vol.26 No.3

        In the amended commercial law of 2011, it is introduced, as a new addition to the already existing four types of companies, a new type of legal company, based upon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United States. In the past, the Korean corporate law categorized two companies out of four as Personengesellschaft [a company category where members’ credit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sset of the company itself which is similar to the United States’ General Partnership(GP)], and the other two companies as Kapitalgesellschaft [a company category where the company’s credit is more emphasized than that of the members’], both of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German legal system. However, in the Anglo-American law, such concept did not exist, and thus efforts to include limited liability company into either Personengesellschaft or Kapitalgesellschaft was not only impossible but fruitless. One of the reasons that the amendment introduced limited liability company was due to the fact that a new and appropriate type of company was needed in the information based industry, which could not be easily absorbed in the existing company forms.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se new hybrid company types in defining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limited liability company. Moreover,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sion of limited liability companies, rather than categorizing them into already existing company forms, and to independently search for directions to develop each provision.

      • KCI등재

        분쟁사례를 통해 살펴본 개정 가맹사업법의 의미

        송인방(In-Bang Song),홍미미(Mi-Mi Hong)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1

        국내에 가맹사업이 도입된 이래 그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으나 가맹사업을 둘러싼 분쟁 또한 끊이질 않고 있다. 가맹사업거래는 가맹본부가 가맹점사업자에게 상표 등 영업표지를 사용하여 영업할 것을 허락함과 동시에 가맹점사업자의 영업 전반에 대하여 지원하는 사업구조라는 점에서 특별한 기술이나 사업경험이 없는 가맹희망자들이 쉽게 창업이 가능한 사업구조이다. 그러나 가맹사업거래는 형식상으로 대등한 사업자 간의 거래관계이나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 사이의 정보 비대칭성으로 말미암아 실질적으로는 대등하지 못한 거래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거래의 불공정성 논란이 자주 일고 이것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본고는 국내 가맹사업거래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분쟁 사례 가운데 실무상 자주 논란이 되는 사례들 예컨대, 가맹계약의 해지와 가맹금 반환문제, 가맹계약에서의 부당한 위약금 약정 문제,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 보호 문제, 그리고 가맹계약의 갱신요구권 등과 관련하여 금년 2월 14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 가맹사업법에서 얼마만큼 개선이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금번 개정법은 가맹본부에 의한 허위?과장의 정보제공을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고, 과중한 위약금 약정에 대해서는 이를 불공정행위로 보아 규제할 수 있게 하였다. 또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 보호 문제에 대하여도 근거규정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실무에서 보면 많은 가맹점사업자들이 계약기간 종료 후에 가맹계약의 갱신을 바라고 있는 상황에서 가맹본부가 계약갱신거절권을 남용하여 부당하게 가맹점사업자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개정이 없었던 것은 안타깝다. 향후 이에 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Though franchise business has been being developed very rapidly since it was introduced in the country, legal disputes surrounding the franchise business have been increasing as a side effect of such development. Many disputes are from the unfairness of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s and franchisees. This paper analyzed the revised fair franchise transaction act that is to be in force from February 14th this year in relation with the representative dispute cases in domestic franchise business practices such as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the problem in franchise deposit refund, the problem in the unfair stipulation of penalty fee, the protection of franchisee"s business area and the right of request for renewal of the contract. As a result, it is understood that this revised fair franchise transaction act has prepared methods to regulate franchisor"s false or exaggerated information, and that it has paved a way to regulate excessive penalty fee stipulation seeing it as an unfair act, and that franchisee"s business area can be protected.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revision of franchisee"s right of request for renewal of the contract is not sufficient in the situation that many franchisees wish to renew the contracts at the time of contract termination. On this point additional discussions must be made in future.

      • KCI등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을 위한 몇 가지 법적 검토

        송인방(In-Bang So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5 No.3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으면서 세계적으로 사회적경제가 부쩍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조직들이 지속가능한 대안경제 모델로서 국내에 정착하기까지는 많은 제약들이 존재한다. 정부에서는 종래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 정책을 펼쳐왔으나, 그러한 전략들이 오히려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율적 성장을 방해하여 조직의 지속가능발전에 마이너스적 요소로 작용해왔다. 본고는 국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대안경제 모델로 지속가능발전을 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법적 검토를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지속가능을 위해서는 민간으로부터의 자금조달이 가능하도록 법적 환경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특히 사회적 금융시장 및 사회적 거래소의 설치가 필요하다. 또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입법단계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의 특수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논의 중인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입법 방향과 관련하여 그 적용대상이 되는 사회적경제 조직을 단순 열거주의에 따라 한정할 것이 아니라 진정한 사회적경제 주체가 포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혼합적 정의방식에 따라 입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공공기관의 우선구매와 관해 논의되고 있는 입법(안)에서는 사회적기업과 사회적협동조합을 다른 사회적경제 조직과 구별하여 우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나머지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도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기본법에서 우대조항을 두기보다는 각 개별법에 맡겨두는 편이 타당하다고 본다. As social economy draws the global attention after 2008 financial crisis, local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augmenting rapidly with the execution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as a momentum on 1st December 2012. However, some legal base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hat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could be the sustainable model in our society. This study consists the kind of legal action as shown below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to become a true counterproposal economy model. First, legal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for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enable the financing from private sector. Legisla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social financial market and social stock exchange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distinct characteristic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egislation of crowd funding. Second, the legislative directions of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embrace variou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y applying mixed method of definition, rather than restricting the subjects by simple positive system. Third, regarding the legislation which is discussed about the priority purchase of public institutions,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cooperatives should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than other social economy organization. Furthermore, it seems to be right that those role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law rather than leave them in the basic law.

      • KCI등재

        공공데이터 거래에서 위탁매매업의 활용 가능성

        송인방(Song, In-Ba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1

        현대사회는 정보와 데이터가 매우 중요한 사회로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들, 기업을 운영하는 경영자들, 그리고 일반인들 모두 다양한 정보를 통해서 자신에게 필요한 맞춤형 데이터로 가공하거나 정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CRM(고객관계관리)을 통해서 고객의 구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시기에 문자 또는 연락 등을 통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마케팅 등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서 기업의 부가이익을 창출한다. 최근에는 공공기관에서도 기업과 같이 민원인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통해 민원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적극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공공데이터 기반의 교통, 날씨, 관광, 식품 등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 3.0 서비스 알리미’ APP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제4차 산업과 제6차 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최근 ‘SMART FARM’을 비롯한 ICT, IOT, O2O 등 IT관련 스마트 산업을 선도할 핵심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국민으로부터 수집한 공공데이터를 제3자에게 아무런 통제 없이 제공할 경우 공공기관이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저작권법 등의 저촉에 따른 법적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 때문에 공공데이터의 제공을 꺼리게 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위험 없이 공공데이터가 거래될 수 있는 시스템의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데이터 거래소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방안 및 미국식 데이터 브로커(data broker)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나 금융거래소형 데이터거래소는 현행 자본시장법과의 관계에서 한계가 있고, 데이터 브로커제도는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저작권법 등의 저촉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위탁매매업 형태의 거래소를 설치함으로써 공공데이터의 안정적 제공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n modern society, information and data is very important, and entrepreneur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executives who run a business, and the general public are processing and organizing data into customized data that they ne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Recently, following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Government 3.0 Service notification’ App service based on public data is being run that provides information citizens need such as traffic, weather, travel, and food. This has a great impact on the 4th and 6th industries, which are continuously developing, and recently, it has emerged as a key resource to lead IT related smart industries such as ICT, IOT, O2O and ‘SMART FARM’. However, if public data collected from the public is provided to third parties without any control, public institutions will be reluctant to provide public data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ngaging in legal disputes related to privacy laws or copyright law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public data can be traded without risk. Currently, there are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data exchange and the introduction of US type data brokers, but financial exchange type data exchange has limitation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Capital Market law, and because a data broker system may cause conflicts of privacy laws and copyright laws in Korea, there is need to install a brokerage type exchange fit for the situation in Korea to establish a reliable measure to provide public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