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高等學校卒業者의 學校集團弗素溶液漱口意識에 關한 調査硏究

        송윤신,백대일,김종배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교집단불소용액수구지식의 수준을 확인하고,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집단불소용액수구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확인할 목적으로 2002년도 경복대학 신입생 586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영구치아의 사용기간 인지율이 59.2% 이었다. 2. 영구치아를 발거하는 제1원인상병 인지율이 48.3% 이었다. 3. 학교집단불소용액수구사업의 치아우식예방효과 인지율 36.7% 이었다. 4. 치아우식증을 예방함으로서, 진료받을 필요를 감소시켜, 국민건강보험료를 인하시키면서도, 치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3분의 1에 불과하였다 5.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학교집단불소용액수구사업에 관하여 교육하여야한다. 6. 농어촌 주민들에게도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학교집단불소용액수구사업에 관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To make confirm the knowledge level, educational goal and teaching contents of gargling with fluoride solution of school,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and analysed, targeting in 586 college freshme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The results show as follows.) 1. Acknowledgement rate of retaining period of permanant teeth was 59.2%. 2. Acknowledgement rate of primaly etiology that causes extraction of permanant teeth was 48.3%. 3. Acknowledgement rate of preventive effect to dental caries through the plan of fluoride gargle in group was 36.7%. 4. 33.3% of people acknowledge the fact that prevention from dental caries car1 result in prolonging the life span of permanant teeth as well as reduc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paymen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ducate this plan to all the student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and as a social education by extension to educate this plan to all the resi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 구강보건교육과 치위생과 홍보에 관한 조사연구

        송윤신,최은미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과 치위생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학과홍보의 방향을 모색하여 경쟁력 있는 학과를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북부 지역의 5개 여자고등학교의 3학년에 재학중인 48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2001년 11월20일부터 12월3일까지 14일간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PC+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Pearson X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면 1. 조사대상자의 62.3%가 치위생과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37.7%가 금번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알게 되었다. 2. 치위생과를 알게 된 경로는 '오늘 교육으로'(33.6%)와 '친구'(19.9%)가 가장 많았다. 3. 조사대상자의 43.7%가 치위생과에 지원의사를 나타냈으며, 지원이유는 ‘취업이 잘됨’(45.2%)과 ‘전문직업’(22.8%)이 가장 많았으며, ‘오늘 교육으로’도 20.8%를 나타냈다. 4.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간호사보다 좋거나 비슷하다가 91.2%이었으며, 회사원보다는 78%, 공무원보다는 63.3%, 교사보다는 56%가 좋거나 비슷하다로 나타났다. 둘째,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면 1. 교육자가 대학생인 것에 대해서 99.8%, 교육자료에 대해서는 98%, 교육시간에 대해서는 91%, 교육자의 태도에 대해서는 99%가 긍정적인 의사를 나타냈다. 2. 가장 기억에 남는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스케일링(20.8%), 잇솔질법(20.6%), 치아미백(17.8%), 치위생과 소개(12.3%) 순으로 나타났다(P<.001). 3. 후배들에게도 구강보건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서 79.4%가 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치위생과와 구강보건교육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구강보건교육이 치위생과 홍보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을 넓혀가며 계속적으로 대학생들이 직접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학과 선택 후 만족도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find out what ordinary people know abou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the education for the oral health.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nd through the oral health seminar, the school can also find a way to introduce the oral health department, and it will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run the department effectively with students who will become competitve suppliers. The research was made by four hundred and eighty two girls who are third graders in high school in northern portion of Seoul and Kyung-Ki. Five girls high schools joined the research for fourteen days from November 20th to December 3rd, 2001. The data was obtained using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 found out the actual number, the percentage, and Pearson x by using SPSS/PC+.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how much do people know about the Dep. of Dental Hygiene. 1. 62.3% of the students knew about the study of Dental Hygiene, and 37.7% of the students got to know about it through the oral health seminar. 2. 33.6%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ot to know about the study of Dental Hygiene through the oral health seminar. 3. 43.7% of the students wanted to pick the dep. of Dental Hygiene for their college major, and 68% of their reason was because they could get a job easily and become professional. 22.8% of 45.2%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apply for it because of the knowledge they gained about the department through the seminar. 4. The students thought that being a oral hygienist is 91.2% better than or equal to being a nurse and 78% better than being a company employee. They also thought that it is 63.3% better than a public servant and 56% better than or equal to a teacher. Second, how much do people know about the oral health seminar? 1. 99.8%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it is good to have the college students as their educators, and 98% of them had positive reaction toward the education materials. 91% of them thought that the length of seminar was appropriate, and 99% of them thought that the educators' attitude was passionate. 2. In the investigation on the most interesting contents of oral hygiene instruction, 20.8% of the subjects responded the instruction on scaling and 20.6% answered the toothbrushing method. The education the tooth whitening and the instruction of dep. of dental hygiene is 17.8% and 12.3% respectively. 3. 79.4% of the students approved that the younger students also have get the education about the oral health. As discussed above, the students considered the oral hygiene and the oral health seminar very positively. It also seems that the seminar was effective to introduce the department of oral hygiene. So it is essential for the college students to keep educating more and more high school students. Further on,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much the students satisfy after they choose to major the oral hygiene.

      • K대학 치위생과 재학생의 학과만족도 조사 연구

        송윤신,권순복,안금선,김영남,김수화,차민주 경복대학 2003 京福論叢 Vol.7 No.-

        경기 K대학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대학 진학시 학과선택 요인을 알아보고, 학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치위생과 학과 경쟁력을 높이고 학생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치위생과 입학 결정시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전반적으로 본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로는 2학년이 77.5%로 가장 높았으며, 치위생과 선택이유로는 취업보장, 주위권유, 적성·흥미 순으로 조사되었다. 치위생과 학과만족도에서 강의실환경에 대해서는 전체 조사대상자 중 9.4%가 만족하다고 응답했고, 실험·실습기자재는 36.0%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학우관계에서는 74.0%, 학과지도방침 38.9%, 치과위생사 직업만족도는 79.4%가 만족하고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 중 다른 학년보다 2학년 학생들에게서 직업만족도를 제외한 다른 항목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직업만족도는 1학년이 85.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휴학·자퇴를 고려한 경험유무에 대한 질문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47.8%이었으며, 그 이유로 1학년은 경제적이유를, 2, 3학년은 적성이라고 응답하였다. 입학결정요인과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본인이 입학을 결정했을 때 재학만족도, 직업만족도, 학과지도방침, 전임교수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진로계획에서는 취업이 가장 높았다. 학우관계와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학우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경우 재학만족도, 직업만족도, 학과지도방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강보건교육이 치위생과 선택에 미친 영향력에 대한 조사에서는 학년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조사대상 중 89.5%가 영향력이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election of a major and the department satisfaction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providing the data for students guidance. The most influential person and factor in selecting a major is the person oneself(77.5% of the second-year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 and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e reaction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room and practice facility indicates 9.4% and 36.0% in favor. 74.0% of surveyees is satisfied with classmates. In satisfaction with a course of department and profession, 38.9% and 79.4% of respondents answer in the affirmative. The second-year students of the respondents shows higher rate than other grades in .satisfaction with items above, except the satisfaction with profession. It appears that the freshman answered the most in that question. From the surve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thinking over temporary absence from school or voluntary resignation, 47.8% of surveyees responded they had experienced thinking about that. The freshman answered the reason is financial difficulty and the second- and third-year students selected an aptitude.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determinants for selection of college with the department satisfaction, when the determinant is oneself, the satisfaction with being at college, profession, a course of department, and teaching staff is high.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lassmates with department satisfaction, the students responding in the affirmative on classmate satisfaction ha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being at college, profession, and a course of department.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is not statically significant by grades to select the major, but 89.5% of the students majoring dental hygiene at K-college responded over average.

      • KCI등재
      • KCI등재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송윤신 ( Yun Shin Song ),장우성 ( Woo Sung Cha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is study of oral health problems was conducted to 311 students in Special Schools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state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to find out the main obstacles against dental services, to secure dental reasonable basis for oral health promotion.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pecial School of the 311 students in the area of the metropolitan Seoul. By means of Chi-squared test and Fisher`s exact test, oral hygiene habits for each type of the subjects, the contents of dental care services, the prerequisites to improve oral health, were inquired. To evaluate the effects to the current oral health status of types of disability, 2-way ANOVA was practiced. Results : The handicapped with Visual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multiplicity with disabilities, answered negatively in their own oral health status. 47.4% of the deaf can do brush for theirselves without the inconvenience, but in other types of disability they showed that they were helped by others. Subjects did not use the secondary oral hygiene necessaries because, except brain damage, almost of types of disability impeded the convenient use. 60 to 88.2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the recent visitors to dental clinique within 1 year, and the most common motives of the visiting dentist, is a routine medical examination, their movements to the dentist in all types of disabilities, needed helps of others. Most of them received medical treatment at a private dentist, the handicapped preferred the private care and place(49.8%). Only in the case of the brain disorders, extremely much of the disabled answered that they were needed the preventive treatment, and the another cases of disability were largely needed the treatment of the decayed teeth.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opening of the clinics and hospitals over a certain size, the mandatory medical facilities for the care of the disabled should be preceded and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dental insurance system so as to reduce the burdens of the cost of dental care. Conclusions :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policy for the disabled are needed inevitably: Development of secondary oral hygienic easy to use for the disabled, the building systems of medical dental hospital with the disabled facilities, by the improvement of the insurance system, the reduction of the burden of payments.

      • 서울·경기지역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 조사연구

        최은미,송윤신,이선희 경복대학 2004 京福論叢 Vol.8 No.-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2004년 5월 11일부터 25일까지 15일간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 62%가 치과위생사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업무활동 범위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 치과의사보조 업무가 53.3%로 가장 많았고, 스켈링 및 방사선촬영업무 41.5%, 예방업무 24.0%, 구강보건교육 업무 20.0%, 접수 및 수납에 대한 업무 17.0%, 치료에 대한 상담 업무 12.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관에 대한 지식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치과진료실이 51.5%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 43.5%, 학교구강보건실 35.5%, 치과관련기자재 생산회사 28.0%, 제약회사 14.0%, 연구소 13.5%, 치과기공소 10.5%순으로 나타났다. 4. 치과위생사의 교육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전문대학 3년 학력에 47.0%, 전문대학 2년 학력에 27.5%, 대학교 졸업 학력에는 15.5%, 고졸학력에 4.5% 순으로 나타났다. 5. 치과위생사의 복장에 대한 선호를 조사한 결과 유니폼은 치마투피스 40.5%로 가장 많았고, 유니폼의 색상은 흰색이 33.5%로 가장 선호되었다. 또한 신발은 샌들이 48.0%로 가장 많았으며, 머리스타일은 뒤로 묶은 머리 44.0%를 가장 선호하였다. 6. 치과위생사 전문 직업 이미지 선호 조사결과 밝은 표정 62.0%, 단정함 24.5%, 세련됨과 지적임은 각각 4.5%로 나타났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주관성 중 내·외적 자질로서 중요시 되어야 할 항목은 친절성 34.5%, 성실성과 책임감 32.5%, 전문적 지식인 21.5%, 인격과 소양 8.0%로 나타났다. 7.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바 전문분야에 대한 업무를 실행하는 것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상호협조적인 관계형성 22.0%, 업무의 전문화 21.5%, 치과위생사 스스로의 태도변화 13.5%, 높은 교육수준 6.5%, 기타가 6.5%로 나타났다. 8. 치과위생사의 상징에는 명찰이 44.0%로 가장 많았고, 직종명칭에 있어서는 치과위생사가 53.3%로 가장 선호되었으며, 치과간호사 35.0%, 구강보건사 6.5%, 구강관리사 1.0%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홍보방법에서는 대중매체 35.5%, 인터넷 20,5%, 구강보건교육 19%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높이고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전문분야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에 대한 홍보방법은 대중매체와 인터넷 등을 통해 다각적인 치과위생사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dental hygienist.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are 200 inhabitants in Seoul and Kyunggi-do and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by direct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62% of the surveyees recognize dental hygienists. 2.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a dental hygienist's duty, 53.3% of the subjects answered the assistance of dentists, 41.5% picked out scaling and taking a radiograph, and 24% recognized preventive treatment as the duty. The lowest answer is consultation with a patient on treatment, 12.5%. 3. In case of the working places of a dental hygienist, 51.5% selected dental clinic, 43.5% chose a public health center, and oral health center in school is 35.5%. 4. In an academic background of dental hygienists, 47% of the surveyees responded a dental hygienist have schooling of 3 year-course in college, 27.5% picked out 2 year-course schooling in college, and 15.5% selected college graduate. 5. The uniform of dental hygienists shows a two-piece suit(skirt) is selected by 40.5%, 33.5% answered white as the color of the uniform. Sandal shoes had the highest rate, 48% and the subjects prefer to binding hair at back. 6. 62%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a dental hygienist have to be a pleasant-face as extrinsic characteristics, kindness and responsibility was selected by 34.5% and 32.5% respectively. 7. In the factors of affecting a dental hygienist's image, the performance of specialized job showed the highest rate, 30.3%, a cooperative relation with dentists and the specialization of a job showed 22% and 21.5% respectively. 8. 44% recognized name card as a symbol of dental hygienists and a dental hygienist was selected as a proper title. Dental nurse and oral health aid showed 35% and 6.5%. In the publicity method of a dental hygienist, mass communications have 35.5%, internet have 20.5%, and the education of oral health have 19%

      • 初等學校 兒童의 잇솔질敎育後 口腔保健認識度에 關한 調査硏究

        최은미,송윤신,권순복,안금선,김영남,한경순 경복대학 1997 京福論叢 Vol.1 No.-

        본 연구는 잇솔질에 관힌 구강보건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과 적절한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운영방법을 계획하는데 다소나마 도움이 되고자,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J초등학교 Y초등학교 C초등학교 B초등학교의 4개 초등학교 2학년 남자아동 225명과 여자아동 206명 합계 43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잇솔질교육후 아동의 구강보건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등학교 아동의 잇솔질 시기는 조식전이 45% 이었고, 조식후가 61%이었으며, 간식후가 25%이었고, 점심후가 51%이었으며, 석식후가 65%이었고, 취침전이 53%이어서 조식전에 이를 닦는 아동의 비율이 적지 않는 것으로 보아 올바른 잇솔질 시기에 대한 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초등학교 아동 본인이 판단한 현재 사용중인 잇솔머리의 크기는 큰 잇솔머리가 6%, 적당한 잇솔머리가 88%, 작은 잇솔머리가 6%이었고, 현재 사용중인 잇솔머리 크기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3. 교습받은 회전식 잇솔질에 대한 의견은 쉽다라는 응답이 58%이었고, 적당하다라는 응답이 36%이었으며, 어렵다는 응답이 6%이어서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잇솔질교육시 회전식 잇솔질 방법으로 교육함이 적당하다고 사료되었고, 교습받은 회전식 잇솔질에 대한 의견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4. 2달에 1번씩하는 잇솔질 교육에 대한 의견은 계속했으면 좋겠다라는 응답이 80%이었고, 해도 좋고 안해도 좋다라는 응답이 17%이었으며,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3%이어서 잇솔질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고, 잇솔질 교육에 대한 의견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2달에 1번씩하는 잇솔질 교육후 구강검사에 대한 의견은 계속했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68%이었고, 해도 좋고 안해도 좋다라는 응답이 26%이었으며,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5%이어서 잇솔질 교육후 구강검사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고, 잇솔질 교육후 구강정사에 대한 의견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K대학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치아우식활성검사 비교조사 연구

        최은미,송윤신,장희경,최정이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발생요인 중 타액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타액분비율, 타액점조도, 타액완충능, 스나이더, 구강내 포도당잔류검사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20내 남성의 치아우식증 발생요인에 대한 연구자료와 타액분비율과 타액내 pH 변화에 대한 조사 및 스나이더검사 간의 임상적 비교 조사 등의 연구를 통하여 자료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구강내 포도당잔류검사를 조사한 결과 등 수종의 실험연구의 경험적 연구 결과를 가지고, 한국의 여대생들과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여대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우식치아 수는 평균 3.23개로 조사되었고, 발거치아는 0.22개로 조사되었으며, 충전치아는 5.06개로 나타났다. 2.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영구치 우식경험치아는 8.52개로 조사되었고, 평균 완충능력은 10.54로 나타났다. 3. 구강내 포도당잔류시간을 측정한 결과 평균 12.36 분으로 조사되었다. 4. 스나이더 검사방법 결과 조사대상자의 평균 치아우식활성 정도는 35.43 시간으로 판정기준에 의하여 중등도 활성으로 나타났다. 5. 자극성 타액분비량 및 타액점조도와 진행중인 치아우식증 보유집단과 집단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P<0.01). 6. 비자극성 타액분비량, 자극성 타액분비량 및 구강내 포도당잔류시간 측정검사와 치아우식활성집단간에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P<0.01). 7. 타액점조도에서도 치아우식활성집단간에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절과를 볼 때, 향후 연구논제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기초조사로 조사되는 연령군인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과 치아우식활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면 치아우식증 발생요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aliva flow rate, saliva buffer capacity, snyder test, glucose residuum test in the oral cavity in order to analyze 'saliva factor' intensively among the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Especially through study data on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in male twenties, examination on pH changing rate in the saliva and saliva flow rate, clinical comparative study between Snyder tests, we hav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lso, based on many kinds of exparimental study results from examination on glucose residuum test in the oral cavity, etc, we have intention to analyze comparatively interactive relationship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6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we verified the confidence of our study data by the frequency, centesim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total subjects, the average of caries teeth were 3.23, extracted teeth 0.22, filling teeth 5.06. 2. Among the total subjects, the average of permanent teeth with experience of dental caries were 8.52, average buffering capacity 10.54. 3. The average minutes of glucose residual time in the oral cavity were examined 12.36 minutes. 4. On the result of Snyder examination method, the average activative degrees of dental caries were 35.43 hours rated medium level by the standard of decision. 5. There are some differencies between stimulative saliva flow, saliva adherence degree and the group of dental caries in progress. 6.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non-stimulative saliva secretion, stimulative saliva flow, glucose remaining time test in the oral cavity and the group of dental caries in activation. 7.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groups of dental caries in activation about saliva adherence degree. According to the results, if there is any effort in the future study them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2 year-old children's dental caries whose age WHO has made a basic surveying subject and activation of dental canes, we can present the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concr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