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otal Scalp의 방사선 치료 시 Helmet Bolus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송용민,김종식,홍채선,주상규,박주영,박수연,Song, Yong-Min,Kim, Jong-Sik,Hong, Chae-Seon,Ju, Sang-Gyu,Park, Ju-Young,Park, Su-Ye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1

        목 적: Total Scalp의 방사선 치료 시 표면선량(surface dose)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직보상체(bolus)를 사용한다. 이에 본 저자는 두피(scalp) 전체를 덮는 조직보상체로서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물질을 각각 적용한 Helmet bolus를 제작하여 유용성을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Rando 팬톰을 이용하여 두피 고정용구(mask)를 만든 후 전체 두피에 Bolx-II (Action Products, USA), paraffin wax (Densply, USA), solid thermoplastic 물질(Med-Tec, USA)을 0.5 cm 두께로 동일하게 적용한 Helmet bolus를 각각 제작 하였다. 각 Helmet bolus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GE, Ultra Light Speed16)을 시행 후 방사선치료계획시스템(radiation therapy planning system) (Philips, Pinnacle)을 이용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radiationtherapy plan)을 세웠으며, 각 조직 보상체(bolus)에 대한 밀도 변화(density variation)화를 분석하였다. 선량 분포(dose distribution)평가(evaluation)를 위해 선량체적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을 이용해 임상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에 대한 Dose-homogeneity index (DHI, $D_{90}/D_{10}$), Conformity index (CI, $V_{95}/TV$)를, 정상 뇌 조직(Normal brain tissue)에 있어$V_{20}$, $V_{30}$을 각각 구하여 비교 하였다. 또한 총 제작시간을 측정하여 제작과정에서의 효율성을 평가하였고, 열형광선량계 (Thermoluminescent Dosimeter)를 사용하여 실제 치료 시 각 두피의 표면선량을 확인 하였다. 결 과: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 물질에 대한 밀도측정(density measurement) 결과 $0.952{\pm}0.13g/cm^3$, $0.842{\pm}0.17g/cm^3$, $0.908{\pm}0.24g/cm^3$로 Bolx-II의 밀도변화(density variation)가 가장 작았다.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 물질을 적용한 각 Helmet bolus DHI는 0.89, 0.85, 0.77, CI는 0.86, 0.78, 0.74로 Bolx-II가 가장 우수 하였으며, 정상조직에 있어 뇌(braintissue)의 $V_{20}$은 11.50%, 10.80%, 10.07%, $V_{30}$은 7.62%, 7.40%, 7.31%로 나타났다. 제작 시 총 소요 시간은 30분, 120분, 90분 이였으며, Bolx-II를 적용한 Helmet bolus 제작과정이 가장 간단하였다. 열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t Dosimeter) 측정 결과세 Helmet bolus 모두 ${\pm}7%$ 이내의 선량오차를 보였다. 결 론: Total Scalp의 방사선치료 시 Bolx-II를 사용한 Helmet bolus의 적용은 CTV (Clinical Target Volume)에 대한 Homogeneity와 Conformity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 및 제작방법이 간단하여 임상 적용 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Helmet bolus device using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 material in total scalp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Using Rando phantom, we applied Bolx-II (Action Products, USA), paraffin wax (Densply, USA), solid thermoplastic material (Med-Tec, USA) on the whole scalp to make helmet bolus device. Computed tomography (GE, Ultra Light Speed16) images were acquired at 5 mm thickness. Then, we set up the optimum treatment plan and analyzed the variation in density of each bolus (Philips, Pinnacle). To evaluate the dose distribution, Dose-homogeneity index (DHI, $D_{90}/D_{10}$) and Conformity index (CI, $V_{95}/TV$) of Clinical Target Volume (CTV) using Dose-Volume Histogram (DVH) and $V_{20}$, $V_{30}$ of normal brain tissues. we assessed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process by measuring total time taken to produce. Thermoluminescent dosimeters (TLD) were used to verify the accuracy. Results: Density variation value of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 material turned out to be $0.952{\pm}0.13g/cm^3$, $0.842{\pm}0.17g/cm^3$, $0.908{\pm}0.24g/cm^3$, respectively. The DHI and CI of each helmet bolus device which used Bolx-II, paraffin wax, solid thermoplastic material were 0.89, 0.85, 0.77 and 0.86, 0.78, 0.74, respectively. The result of Bolx-II was the best. $V_{20}$ and $V_{30}$ of brain tissues were 11.50%, 10.80%, 10.07% and 7.62%, 7.40%, 7.31%, respectively. It took 30, 120, 90 minutes to produce. The measured TLD results were within ${\pm}7%$ of the planned value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helmet bolus which used Bolx-II during total scalp irradiation not only improves homogeneity and conformity of Clinical Target Volume but also takes short time and the production method is simple. Thus, the helmet bolus which used Bolx-II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clinical trials.

      • KCI등재후보

        신앙 행위(fides qua)에 있어서 ‘감각(sensus)’의 역할

        송용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0 No.15

        신앙은 하나의 인식이자 행위이다. 신앙행위는 인식 주체인 인간이 지닌 실존적 자기 이해와 인식 대상과 맺는 주체적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감각의 독특한 역할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인간이 마주하는 피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명시적으로 주제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신의 전 존재를 감싸고 있는 ‘거룩한 신비’를 직관하는 인간의 원초적 감각 능력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인식행위에 있어서 지각능력으로서 감각의 역할은 지각 대상을 향한 감각의 개방성과 수용성을 토대로 이루어진 주체적 감성으로 작용한다. 주체가 지각한 대상이 명료하게 인식되어지기 위해서는 지각대상의 전달을 위한 이해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은 ‘합목적성’을 이루려는 인간의 ‘의미기획’ 혹은 ‘의미체험’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지각된 표징들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공통의 이해 지평이 요구되며, ‘이론지(Sophia)’와는 다른 ‘실천지((Phronesis)’를 토대로 공동성을 만들어내는 ‘공통감각(sensus communis)’이라는 독특한 인식 원리를 필요로 한다. 공통감각은 인격적인 관계를 맺게 하는 “실천적 진리의 감지력이며, 영혼의 올바름으로부터 생기는 판단의 올바름”과도 같고, 삶을 기초로 일정한 예감과 애착을 통해 인식 대상들에 대한 생동적이며 통찰력 있는 지각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직관적 통찰은 타자들과의 공동의 합의(consensus)를 통해 개별 인간의 의미 기획이 내면적 자유를 보장해주는 원리로 작용한다. 또한 이 공동합의는 인식 주체가 복종이 아닌 인식적 동의를 일으킬 수 있는 권위를 필요로 하며, 이 권위는 삶을 통해 내면적 동의를 이끌어내는 증거된 생생한 권위이어야 한다. 신앙행위는 이러한 인간학적 인식 작용의 토대 위에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추론과는 다른 삶과 체험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독특한 추론과정을 필요로 한다. 헨리 뉴먼(J. H. Newman)이 관심을 가진 동의의 과정이 ‘개념적인 파악’ 이외에 구체적인 경험 혹은 정보를 통하여 인간의 정서와 열정을 자극하는 ‘실제적인 파악’을 통해 분명한 ‘실제적인 동의(real assent)’에 도달할 수 있다는 ‘추론 감각’의 원리를 소개했다. 뉴먼이 강조하는 추론 감각은 인간의 영혼 깊은 곳에 내재된 본능적 감각(phronema)이자, 인간 내면에 내재된 직관적 명확성으로서, 명증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의식 밖으로 나타나는 독특한 감각능력을 말한다. 추론감각이 종교적 신앙의 합리성을 정당화하는 데 중요한 인식적인 기관인 이유는 신앙행위가 실존적 의미에 대한 물음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우연성의 체험들 속에서 발견한 경험들, 확신을 갖고 성실하게 살아가면서 내리는 자유로운 인생의 결정들이 자신의 인식 속에서 하나로 통합하는 독특한 직관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신앙 행위에 있어서 감각의 역할은 구체적인 삶의 현실 속에서 표징을 읽고 해석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하느님 체험에 중대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톨릭 교회는 이러한 신앙적 감수성이 하느님의 백성인 교회의 모든 이들에게 선사된 예언자적 소명이라고 밝히고, 이는 진리의 성령께서 선사하신 ‘초자연적 신앙감각’(교회헌장 12항)임을 밝히고 있다. 신앙행위는 이러한 신앙감각을 통한 하느님을 향한 주체적인 인식과정과 신앙인의 실존적 의미로서 하느님의 신비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업적을 통해 나타 ... Der Glaube gehört zu Erkenntnis und Akt einer Person, die in der realen Existenz des Lebens einen Lebenssinn zu finden versucht. Der Akt des Menschen, der nach dem Sinn des Lebens sucht, hängt mit der Erkenntnis der Gegenstände des Glaubens eng zusammen. Zu dieser Erkenntnis gelangt der Mensch dadurch, dass er sich bewusst steht in der Präzens des heiligen Geheimnisses, das nicht deutlich thematisiert ist, aber die Existenz des Menschenseins umfasst und erleuchtet. Diese subjektive Erkenntnis findet sich durch das instinktive Wahrnehmungsvermögen, das jedem Menschen zugegeben ist. Das Wahrnehmungsvermögen spielt im Erkenntnisakt des Menschen. beonders für den Vorgang der Sinnwahrnehmung des Subjekts, eine grosse Rolle. Die Auffassungsfähigkeit und Emfänglichkeit sind dem erkennenen Subjekt zukommt. Um die Deutlichkeit des wahrgenommenen Sinnes zu gewinnen, braucht der Mensch ein Verständnis, das eine Zweckdienlichkeit benötigt. Denn ein möglicher Verständnisakt hängt von Sinnentwürften und Sinnerfahrungen des Menschen ab, die zugleich eine gemeinsamene Basis zu bilden vermögen. Der Gemeinsinn ermöglicht eine Bildung des gemeinsamen Verständnishorizontes, der sich nicht auf ‘Sophia’, sondern 'Phronesis' begründet. Daher ist der Geminsinn ein Wahrnehmungsprinzip, das die lebendige Wahrheit erkennt, und im Verhältnis der Menschen ein richtiges Urteil findet. Diese Wahrnehmungskraft, die dem Menschen zukommt, ermöglicht ein Prozess des Konsensus. Konsens gründet sich auf die Überlegenheit der Erkenntnis einer Person, der die Autorität anerkannt wird. Diese Autorität bezieht sich nicht auf die Gehorsamkeit des Menschen, sondern eine Erkenntnis, die der eigenen Erkenntnis überlegt, daher eine Erweiterung und Vertiefung des Menschseins ermöglicht. Der Glaubensakt befindet sich in der anthropologischen Basis eines solchen Erkenntnisprozesses. Aber das ist insofern möglich, wenn man die Lebenserfahrungen nach dem Folgerungssinn(illative sense) zur Sprache bringt. J. H. Newman fragt, wie ein Konsens ohne rationale, logische und begrifflich exakte Erfassung einer Sache möglich ist, Er begründet ein Prinzip des Folgerungssinnes, der dem Inneren des Mensch innewohnt, sodass es als ein intuitives Sinnvermögen(phronema) genannt wird. Dieses Vermögen ermöglicht jeweiligen Glaubensakt, die in der Erfahrung des Kontingenz nach dem Lebenssinn fragt, und eine existentielle Entscheidung trifft, die die Folgerungen seiner Erkenntnisse durchsichtlich zu machen. In diesem Hintergund spielt die Sinnwahrnehmung und Sinnerfahrungen des Menschen im Glaubensakt und -handeln eine wichtige Rolle. Nach dem 2. Vatikanischen Konzil erkennt die katholische Kirche, dass das Wahrnehmungsvermögen des Glaubens dem heiligen Volk Gottes, der Kirche zukommt. Jedem Glaubenden wird ein Glaubenssinn(sensus fide) geschenkt durch den Heiligen Geist, der die lebendige Wahrheit zu erkennen gibt. Durch dem Glaubenssinn kommt jeder Glaubende zum Geheimnis Gottes, das die Wahrheit des Menschsein erleuchtet und zur neuen Erkenntnis von Wort und Tat Jesu Christi führt, der ein Gipfelpunkt der Glaubenswahnehmung des Glaubenden ist. In diesem Sinne ist der Glaubenssinn eine wichtige Mittelpunkt der Glaubensaktes, in dem jede Glaubende mit den anderen in die Wahrheit Gottes zusammenkommt, und seinen Lebenssinn in der Gemeinschaft der Glaubenden im dem Sinne der Koinonia verdeutlichen kann.

      •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치료기법에 따른 피부선량 평가

        송용민,최지민,김진만,권동열,김종식,조현상,송기원,Song, Yong Min,Choi, Ji Min,Kim, Jin Man,Kwon, Dong Yeol,Kim, Jong Sik,Cho, Hyun Sang,Song, Ki W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2

        목 적 : 방사선 치료 시 치료기법에 따라 피부에 흡수되는 선량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치료 기법에 따른 표면선량 및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조직등가물질로 구성된 팬톰(I'mRT, IBA)을 이용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한 후 치료계획시스템에 의해 인체의 흉벽과 같이 가상의 표적과 정상조직을 설정하였다. 총 5가지의 치료계획(Wedged Tangential technique, 4-field IMRT, 7-field IMRT, TOMO DIRECT, TOMO HELICAL)에 대해 6MV 광자선을 이용해 최적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흉벽의 표면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Gafchromic EBT3필름 이용하여 팬톰의 표면에 밀착 시킨 후 내측(0~4 cm), 중심측(4~12 cm), 외측(12~16 cm)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고,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팬톰 단면 사이에 필름을 삽입 후 측정하여 흉벽의 내측(3지점), 중심측(4지점), 외측(3지점)에 대해서 1~6 mm 깊이 별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흉벽의 표면선량 측정결과 처방선량 기준으로 TOMO DIRECT에서 47~70%로 가장 높게 측정 되었으며, 7-field IMRT의 경우 35~46%로 가장 낮은 선량을 보였다.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 측정결과 TOMO DIRECT와 TOMO HELICAL에서 다른 치료기법에 비해 1 mm, 2 mm, 5 mm깊이에서 처방선량의 75%, 80%, 90% 이상으로 모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선량이 측정 되었으며, 특히 TOMO DIRECT의 경우 접선인자 영향에 의해 중심 측의 1 mm, 2 mm깊이에서 처방선량의 80%, 90%이상의 선량이 측정 되었다. 결 론 :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치료 기법에 비해 TOMO DIRECT와 TOMO HELICAL에서 표면 및 피부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표면으로부터 1 mm깊이의 피부영역에서 75% 이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 할 수 있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for patients requiring postmastectomy radiation therapy(PMRT) with different treatment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acquired for the phantom(I'mRT, IBA) consisting of tissue equivalent material. Hypothetical chestwall and lung were outlined and modified. Five treatment techniques(Wedged Tangential; WT, 4-field IMRT, 7-field IMRT, TOMO DIRECT, TOMO HELICAL) were evaluated using only 6MV photon beam. GafChromic EBT3 film was used for dose measurements at the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Surface dose profiles around the phantom were obtained for each treatment technique. For superficial dose measurements, film were used inside the phantom and analyzed superficial region for depth from 1-6mm. Results : TOMO DIRECT showed the highest surface dose by 47~70% of prescribed dose, while 7-field IMRT showed the lowest by 35~46% of prescribed dose. For the WT, 4-field IMRT and 7-field IMRT, superficial dose were measured over 60%, 70%, and 80% for 1mm, 2mm, and 5mm depth, respectively. In case of TOMO DIRECT and TOMO HELICAL, over 75%, 80%, and 90% of prescribed dose was measured, respectively.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range were uniform in overall chestwall for the 7-field IMRT and TOMO HELICAL. In contrast, Because of the dose enhancement effect with oblique incidence, The dose wa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obliquely tangential angle for the WT and TOMO DIRECT. Conclusion : For PMRT, TOMO DIRECT and TOMO HELICAL deliver the higher surface and superficial doses than treatment techniques based linear accelerator. It showed adequate dose(over 75% of prescribed dose) at 1mm depth in skin region.

      • KCI등재후보

        5G NR mmWave 대역에서의 측위 기술의 원리 및 동향

        송용민,김선우 조선대학교 IT연구소 2018 정보기술융합공학논문지 Vol.8 No.2

        As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roaches, various technologies using mmWave are attracting attention. Among these,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mmWave is a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future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and is a technology that many companies and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now. Positioning technology refers to technology that grasps the position, speed, and path of a moving object. Positioning technology not only estimates the location of users but also is an important ground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countless future technologies such a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location informati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types and principles of positioning technology,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다가옴에 따라 5세대 이동통신에 사용될 mmWave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각광받고 있다. 이들 중 mmWave를 이용한 측위 기술은 미래 자율 주행 시스템에 필요한핵심 기술로 현재 많은 기업과 연구진들이 주목하고 있는 기술이다. 측위 기술이란 이동체의 위치, 속도, 경로 등을 파악하는 위치 결정 기술을 일컫는 말이다. 측위 기술은 단순히 이용자의 위치를추정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통신 기술, 자율 주행 기술, 위치 정보들을 기반으로 한 공간정보 구축 기술 등 무수한 미래 기술들에 응용이 가능한 중요 지반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위 기술의 종류와 원리 및 각 방법의 장단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신앙 행위(fides qua)에 있어서 ‘감각(sensus)’의 역할

        송용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15 No.-

        신앙은 하나의 인식이자 행위이다. 신앙행위는 인식 주체인 인간이 지닌 실존적 자기 이해와 인식 대상과 맺는 주체적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감각의 독특한 역할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인간이 마주하는 피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명시적으로 주제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신의 전 존재를 감싸고 있는 ‘거룩한 신비’를 직관하는 인간의 원초적 감각 능력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인식행위에 있어서 지각능력으로서 감각의 역할은 지각 대상을 향한 감각의 개방성과 수용성을 토대로 이루어진 주체적 감성으로 작용한다. 주체가 지각한 대상이 명료하게 인식되어지기 위해서는 지각대상의 전달을 위한 이해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은 ‘합목적성’을 이루려는 인간의 ‘의미기획’ 혹은 ‘의미체험’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지각된 표징들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공통의 이해 지평이 요구되며, ‘이론지(Sophia)’와는 다른 ‘실천지((Phronesis)’를 토대로 공동성을 만들어내는 ‘공통감각(sensus communis)’이라는 독특한 인식 원리를 필요로 한다. 공통감각은 인격적인 관계를 맺게 하는 “실천적 진리의 감지력이며, 영혼의 올바름으로부터 생기는 판단의 올바름”과도 같고, 삶을 기초로 일정한 예감과 애착을 통해 인식 대상들에 대한 생동적이며 통찰력 있는 지각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직관적 통찰은 타자들과의 공동의 합의(consensus)를 통해 개별 인간의 의미 기획이 내면적 자유를 보장해주는 원리로 작용한다. 또한 이 공동합의는 인식 주체가 복종이 아닌 인식적 동의를 일으킬 수 있는 권위를 필요로 하며, 이 권위는 삶을 통해 내면적 동의를 이끌어내는 증거된 생생한 권위이어야 한다. 신앙행위는 이러한 인간학적 인식 작용의 토대 위에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추론과는 다른 삶과 체험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독특한 추론과정을 필요로 한다. 헨리 뉴먼(J. H. Newman)이 관심을 가진 동의의 과정이 ‘개념적인 파악’ 이외에 구체적인 경험 혹은 정보를 통하여 인간의 정서와 열정을 자극하는 ‘실제적인 파악’을 통해 분명한 ‘실제적인 동의(real assent)’에 도달할 수 있다는 ‘추론 감각’의 원리를 소개했다. 뉴먼이 강조하는 추론 감각은 인간의 영혼 깊은 곳에 내재된 본능적 감각(phronema)이자, 인간 내면에 내재된 직관적 명확성으로서, 명증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의식 밖으로 나타나는 독특한 감각능력을 말한다. 추론감각이 종교적 신앙의 합리성을 정당화하는 데 중요한 인식적인 기관인 이유는 신앙행위가 실존적 의미에 대한 물음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우연성의 체험들 속에서 발견한 경험들, 확신을 갖고 성실하게 살아가면서 내리는 자유로운 인생의 결정들이 자신의 인식 속에서 하나로 통합하는 독특한 직관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신앙 행위에 있어서 감각의 역할은 구체적인 삶의 현실 속에서 표징을 읽고 해석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하느님 체험에 중대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톨릭 교회는 이러한 신앙적 감수성이 하느님의 백성인 교회의 모든 이들에게 선사된 예언자적 소명이라고 밝히고, 이는 진리의 성령께서 선사하신 ‘초자연적 신앙감각’(교회헌장 12항)임을 밝히고 있다. 신앙행위는 이러한 신앙감각을 통한 하느님을 향한 주체적인 인식과정과 신앙인의 실존적 의미로서 하느님의 신비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업적을 통해 나타난 의미기획을 수용하고, 기획하는 것이다. 동시에 신앙 감각을 통하여 교회에 선사된 공동체적 은사에 동참하고, 자신의 삶을 더욱 진리의 하느님께 향하는 동시에 친교적 공동체인 교회를 형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원리를 발견하게 된다. Der Glaube geh?rt zu Erkenntnis und Akt einer Person, die in der realen Existenz des Lebens einen Lebenssinn zu finden versucht. Der Akt des Menschen, der nach dem Sinn des Lebens sucht, h?ngt mit der Erkenntnis der Gegenst?nde des Glaubens eng zusammen. Zu dieser Erkenntnis gelangt der Mensch dadurch, dass er sich bewusst steht in der Pr?zens des heiligen Geheimnisses, das nicht deutlich thematisiert ist, aber die Existenz des Menschenseins umfasst und erleuchtet. Diese subjektive Erkenntnis findet sich durch das instinktive Wahrnehmungsverm?gen, das jedem Menschen zugegeben ist. Das Wahrnehmungsverm?gen spielt im Erkenntnisakt des Menschen. beonders f?r den Vorgang der Sinnwahrnehmung des Subjekts, eine grosse Rolle. Die Auffassungsf?higkeit und Emf?nglichkeit sind dem erkennenen Subjekt zukommt. Um die Deutlichkeit des wahrgenommenen Sinnes zu gewinnen, braucht der Mensch ein Verst?ndnis, das eine Zweckdienlichkeit ben?tigt. Denn ein m?glicher Verst?ndnisakt h?ngt von Sinnentw?rften und Sinnerfahrungen des Menschen ab, die zugleich eine gemeinsamene Basis zu bilden verm?gen. Der Gemeinsinn erm?glicht eine Bildung des gemeinsamen Verst?ndnishorizontes, der sich nicht auf ‘Sophia’, sondern 'Phronesis' begr?ndet. Daher ist der Geminsinn ein Wahrnehmungsprinzip, das die lebendige Wahrheit erkennt, und im Verh?ltnis der Menschen ein richtiges Urteil findet. Diese Wahrnehmungskraft, die dem Menschen zukommt, erm?glicht ein Prozess des Konsensus. Konsens gr?ndet sich auf die ?berlegenheit der Erkenntnis einer Person, der die Autorit?t anerkannt wird. Diese Autorit?t bezieht sich nicht auf die Gehorsamkeit des Menschen, sondern eine Erkenntnis, die der eigenen Erkenntnis ?berlegt, daher eine Erweiterung und Vertiefung des Menschseins erm?glicht. Der Glaubensakt befindet sich in der anthropologischen Basis eines solchen Erkenntnisprozesses. Aber das ist insofern m?glich, wenn man die Lebenserfahrungen nach dem Folgerungssinn(illative sense) zur Sprache bringt. J. H. Newman fragt, wie ein Konsens ohne rationale, logische und begrifflich exakte Erfassung einer Sache m?glich ist, Er begr?ndet ein Prinzip des Folgerungssinnes, der dem Inneren des Mensch innewohnt, sodass es als ein intuitives Sinnverm?gen(phronema) genannt wird. Dieses Verm?gen erm?glicht jeweiligen Glaubensakt, die in der Erfahrung des Kontingenz nach dem Lebenssinn fragt, und eine existentielle Entscheidung trifft, die die Folgerungen seiner Erkenntnisse durchsichtlich zu machen. In diesem Hintergund spielt die Sinnwahrnehmung und Sinnerfahrungen des Menschen im Glaubensakt und -handeln eine wichtige Rolle. Nach dem 2. Vatikanischen Konzil erkennt die katholische Kirche, dass das Wahrnehmungsverm?gen des Glaubens dem heiligen Volk Gottes, der Kirche zukommt. Jedem Glaubenden wird ein Glaubenssinn(sensus fide) geschenkt durch den Heiligen Geist, der die lebendige Wahrheit zu erkennen gibt. Durch dem Glaubenssinn kommt jeder Glaubende zum Geheimnis Gottes, das die Wahrheit des Menschsein erleuchtet und zur neuen Erkenntnis von Wort und Tat Jesu Christi f?hrt, der ein Gipfelpunkt der Glaubenswahnehmung des Glaubenden ist. In diesem Sinne ist der Glaubenssinn eine wichtige Mittelpunkt der Glaubensaktes, in dem jede Glaubende mit den anderen in die Wahrheit Gottes zusammenkommt, und seinen Lebenssinn in der Gemeinschaft der Glaubenden im dem Sinne der Koinonia verdeutlichen ka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