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 참여척도 타당화 검증: 현장적용 및 활용방안

        송용관(SongYongGwan),천승현(CheonSungHyeon),김보람(KimBo-ram),존마샬리브(JohnmarshallReev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Reeve, 2013)에서 활용된 수업참여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수업참여척도를 국내 체육상황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 체육수업 참여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참여의 구성요인은 정서참여, 행동참여, 인지참여, 그리고 주체적 참여로 학습자의 수업참여의 질을 측정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및 고등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n=488)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새롭게 적용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의 초기 신뢰도와 타당도는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수업참여의 4요인에 대한 구인과 모형의 적합도 역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구인이 검증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와 관련변인들과의 상관에 기초하여 예측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체육수업 참여는 기술발달과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방과 후 신체활동 의도)를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설명력 역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 참여척도는 체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개념적으로 이해 및 파악하고, 실제적으로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들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sychometrically evaluate and validate a measure of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PE)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lassroom Engagement Model by Reeve (2013). Ultimately, our goal is to offer newly-developed classroom engagement scale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engagement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factors-namely, emotional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which measure the quality/degree of student classroom engagement. For this study, 4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Kyounggido in South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cale (CEPES). Each of four classroom engagement scales on the CEPE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cale as a whole demonstrated good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In conclusion, CEPES will be usefu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E teachers) to understand PE classroom engagement conceptually and to observe students‘ in-class engagement practically as well as to develop better motivationa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engagement in PE learning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체육교사의 상호소통 방식과 학습자의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천승현(CheonSungHyeon),김승재(KimSeungJae),송용관(SongYongGwan),이철(LeeChul)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는 체육교사의 상호소통 방식(자율성을 지지하는 소통 방식과 통제적인 방식)과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인 친사회적·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횡단설계를 기반으로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남녀 중학생 419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체육교사의 상호소통 방식과 학생들의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체육교사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소통 방식은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 상관 및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체육교사의 통제적인 소통 방식은 학생들의 반사회적 행동과정적 상관 및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사회적 발달에 있어 체육교사의 상호소통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체육교육 상황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인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향상시키고 반사회적 행동을 감소·예방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친·반사회적행동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나아가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자율성지지 소통 방식의 교수전략 및 동기부여전략들을 교사연수와 교사교육을 통해 수립·개발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yles (autonomy-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and students’ prosocial-and-antisocial behaviors in PE context. In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419 middle-school P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 correlational and regression analyses, teachers’ autonomy-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social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antisocial behavior, whereas teachers’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tisocial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prosocial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autonomy-supportive communication style was a stronger predictor of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than their antisocial behaviors, while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was a stronger predictor of students’antisocial behavior than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PE context.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yles play important role to promote/facilitate their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and diminish/prevent their students’antisocial behaviors.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is findings will help practitioners (both researchers and PE teachers) design teacher education programs or teacher-focused interventions in order to develop PE teachers’better motivational strategies or instructional behaviors in terms of increasing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and of decreasing their antisocial behaviors.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학습동기가 교사의 교수방식에 미치는 영향

        유경은(YooKyoungEun),천승현(CheonSungHyeon),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체육수업 내 교사의 교수방식(자율성지지 교수방식 vs. 통제적인 교수방식)과 학생들의 학습동기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시된 학습동기 유형(내적동기, 확인규제, 의무감규제, 외적규제, 무동기)이 교수방식(자율성지지 교수방식과 통제적인 교수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생(N=489)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동기와 확인규제를 구성하고 있는 자기결정동기는 자율성지지 교수방식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적인 교수방식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반면, 의무감 규제와 외적규제를 구성하고 있는 통제동기와 무동기는 통제적인 교수방식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율성지지 교수방식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학생들의 자기결정동기는 자율성지지 교수방식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무동기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선상에서 통제동기와 무동기는 통제적인 방식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기결정동기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자기결정동기는 통제동기 및 무동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교수방식인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더욱더 강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동기와 무동기는 자기결정동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교수방식인 통제적인 방식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수환경으로 여겨지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는 교사의 교수방식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Deci & Ryan, 2000),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eaching styles (autonomy-supportive teaching versus controlling teaching) and academic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PE). Regard to this concern, we explored influences of student academic motivation-i.e., self-determined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on teacher teaching styles-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Students (N=489)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un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student self-determin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teacher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 and negatively the teacher controlling teaching style, while student controlled motiv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predicted teacher controlling teaching style and negatively teacher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tudent self-determined motivation are a stronger predictor of teacher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 than did student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whereas student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are stronger predictors of teacher controlling teaching style than did student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PE context. In conclusion, student academic motiv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toward teacher teaching styles that teacher adopts in his or her P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