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상황에서의 코칭방식이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만족, 정신력, 그리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송용관(SongYong-gwan),천승현(CheonSungHyeon),황승현(HwangSeunghy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코치의 코칭방식(coaching styles; Ntoumanis, Quested, Reeve, & Cheon, in press)이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만족, 정신력, 그리고 소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들(n=139)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치의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생선수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적 코칭방식은 심리적 욕구만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율성지지 방식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심리적 욕구만족은 정신력과 정적 관련성을 보였으며, 통제적 코칭행동은 학생선수들의 소진과 정적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ootstrap을 이용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에서도 자율성지지 방식은 정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은 코치의 자율성지지 방식으로부터 충족될 수 있으며, 심리적 욕구만족은 통제적 코칭방식에 의해서 감소(불만족)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포츠 상황에서 운동선수의 심리적 욕구만족은 정신력을 강화시키고, 정신력은 소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심리적 욕구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코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i. e., autonomy support and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on athletes’psychological needs, mental toughness and burnout in s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139 collegiate student-athletes, which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ach’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BPN) than controlled coaching style. BPN also positively predicted the mental toughness, whereas,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positively predicted burnout of the athlet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ental toughness are possibly dependent on coach motivating styles and BP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BPN facilitated by autonomy supporting behavior of coa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toughness, and positive outcomes in sport.

      • KCI우수등재

        체육교사의 관계성 지지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여가시간 신체활동 동기에 미치는 영향

        천승현(CheonSungHyeon),송용관(SongYong-gwan),존마샬리브(JohnmarshallReeve),김보람(KimBoram)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는 체육교사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여가시간 신체활동 동기―자기결정동기, 통제동기, 그리고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관계동기이론에 기초하여 심리적 욕구와 동기 유형간의 직접관계에서 관계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체육교사의 관계성지지, 심리적 욕구만족과 욕구좌절, 그리고 방과 후 여가시간 신체활동 동기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해 관계검증에 필요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관계성지지는 심리적 욕구 만족경험과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결정동기는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욕구만족은 관계성지지와 자기결정동기 및 무동기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났다. 하지만, 심리적 욕구만족은 통제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관계성지지는 심리적 욕구좌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심리적 욕구좌절은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대한 통제동기와 무동기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대한 결과에서는 관계성지지는 심리적 욕구만족과 자기결정동기 간에 직접적인 관계를 포함한 심리적 욕구좌절과 통제동기 및 무동기 간의 직접관계를 설명하는 매우 중요한 조절변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체육교사의 관계성지지는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에 대한 경험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여가시간 신체활동 동기를 촉진·강화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needs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relatedness support and three type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LTPA) motivation―namely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PE) setting. Guided by theoretical principles, we also tested the moderated effect of relatedness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motivation. A sample of 22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ge 13-17 years, reported their perception of teacher relatedness support, psychological need experiences in PE, and LTPA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relatedness support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but not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and LTPA motivation. Specifically, relatedness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LTPA autonomous motivation and negatively predicated LTPA amotivation mediated by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Even though need frustration was not predicted directly by relatedness support, it positively predicted LTPA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For moderating analyses, relatedness support was moderated in the relation between need satisfac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need frustr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toward LTPA. In conclusion, PE teacher relatedness support plays important role in terms of enhancing students’ LTPA motivation by increasing students’ need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에서의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척도 타당화

        천승현(CheonSungHyeon),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사회인지이론에서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성취감, 지속적인 운동참여와 수행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소이다. 이 연구는 체육수업 상황에서 Jackson et al. (2012)이 제시하고 개발한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국내의 체육수업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능력 인식에 대한 자기효능감 요인(9문항), 주요타자의 능력에 대한 효능감 요인(9문항), 그리고 학생 능력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 정도를 진단하는 관계추론 자기효능감 요인(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는 권고된 번역과 검토 절차에 따라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척도 번역이 완성되었으며, 내적타당도 검증이 확보된 척도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중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통계적 검증철차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27문항에 대한 요인부하량과 요인구조 그리고 모형적합도 지수가 타당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준거변인들과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공인타당도 및 예측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결론적으로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척도가 국내체육수업 상황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향후 이 척도는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 간에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을 삼분법적으로 면밀히 진단·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rounded in Social Cognitive Theory (S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Korean version of Tripartite Efficacy Scale (K-TES) that measures students’confidence in their own capabilities (i.e., self-efficacy), their confidence in their teacher’s ability (i.e., other-efficacy) and their estimation of their teacher’s confidence in their ability as a student (i.e.,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in physical education (PE) setting. TES consists of three factors with 27 items― namely, self-efficacy (9-item), other-efficacy (9-item) and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9-item). 491 secondary physical eduction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in assess the Korean version of Tripartite Efficacy Scale, which was internally validated via the process of scale validation. Based on results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TES demonstrated a good model fit of measurement as well as good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Overall, the initial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TES in Korean secondary PE setting will be a good opportunity precisely to assess students’ efficacy in the natur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that is,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occurred in PE learning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심리기술훈련이 중학교 양궁선수의 심리기술전략과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최상협(ChoiSang-hyup),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는 양궁 경기에서 심리기술훈련의 실제적인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학교 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기적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집단(n=4)과 비교집단인 통제집단(n=4)을 선정하여 심리기술훈련 적용 여부에 따른 심리기술전략과 수행력에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중학교 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10개월간(2월~11월) 주 3회 15~30분씩 연습 전후에 실시하였다. 부가적으로 심리상담 전문가에게 월 1회씩 심층면담을 받았다. 연구결과,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심리기술 능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력 결과에서는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기가 거듭될수록 실험집단의 선수들의 수행력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기술훈련이 중학교 양궁선수들이 지닌 심리적 특성을 강화시켜 주고, 경기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아가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심리기술훈련이 어린선수들에게 이점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skill strategy in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ST) on the archery player in middle school. To this way, we divided experimental group (n=4) and control group (n=4) for archery player in middle school. In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from 15 to 30 min in 3 trial per week during 10 months. Repeated-measure ANOVA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T on player’s psychological skill and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ayers who received the PST showed greater overall psychological skill and performance than did players who did not receive any programs. However, results of the performance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ST is a important factor for the performance and enhancement of the psychological skill on the archery player.

      • KCI우수등재

        한국형 스포츠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성 검증

        권오정(Oh-jungKwon),천승현(CheonSungHyeon),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최근 스포츠 현장에서 마음챙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Thienot et al. (2014) 이 개발한 스포츠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불안과 정신력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스포츠 마음챙김 척도는 자각(5문항), 비판단(5문항), 재집중(5문항) 등 3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권고된 척도번안절차 과정에 따라 내용을 번안하여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운동선수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 검증은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요인분석 결과, 3요인 14문항이 타당한 요인부하량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 역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척도 요인에 대한 신뢰도도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 하위요인과 불안 하위요인(인지불안 및 신체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력 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면서 이론적 근거에 부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스포츠 마음챙김 척도의 개념타당도와 예측타당도 결과도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국형 스포츠 마음챙김 척도는 향후 선수들의 마음챙김을 측정 및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그 기전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현장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 questionnaire (KMQ) developed by Thienot et al’s in the sport setting. And then, it was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mindfulness of athletes-students and anxiety and mental toughness. The mindfulness included 15 items of three factors which are awareness (5 items), non-judgmental (5 items), and refocusing (5 item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KMQ was revised by the recommended test development and revision procedure. To test the validation of mindfulness, we recruited the high school and college athletes-students (N=297).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mindfulness, anxiety and mental toughne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FA) to test the fit of measurement models were employed to explore three higher-order three-factor measurement model. As results, first, based on results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 demonstrated a good model fit of measurement as well as good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lso was resonable. Third, the mindfulness had a meaningful negative direct relation with anxiety, whereas mindfulness had a meaningful positive direct relation with mental toughness. Finally, construc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KMQ showed valid. Overall, the initial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mindfulness in Korean sport setting will be a good opportunity precisely to assess athletes-students’for mindfulness.

      • KCI우수등재

        야구 동호인 참가자들의 사회적지지, 응집력과 여가신체활동 의도 간의 관계

        천승현(CheonSungHyeon),강성훈(KangSung-Hoon),정주혁(JungJoo-Hyug),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4

        이 연구는 야구 동호인 참가자들의 상호간의 사회적지지가 팀 응집력과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와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횡단설계 접근을 통해 서울 및 경기권에 속한 12개 동호인 야구에 참가하는 26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팀 응집력과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동료들 간의 사회적지지는 팀 응집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응집력 하위 변인인 개인사회응집력과 집단사회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에도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팀 응집력은 사회적지지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들 간의 사회적지지가 팀 응집력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사회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나아가 높은 팀 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를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팀 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를 위해서 중요하며, 팀 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요인으로 동료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나아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을 위해서 동료들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peer’s social interpersonal support,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the baseball club participants. Baseball club participants (n=268)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eers social support,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team cohesiveness at the 12 clubs. The following preliminary analyses were performed in SPSS and Amos programs. As results, peers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eam cohesiveness, it positively predicted the team cohesiveness. And team cohesiveness had meaningful direct relation with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dditional,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peer social support and team cohesiveness. In conclusion, this results indicate a beneficial role of peer in maintaining or increasing future physical activity in the baseball club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