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상과 치유에 기반한 포교 활성화

        송영숙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The popularity of spiritual healing in today's society originated from America. Its driving force is two fold: the meeting between Buddhist meditation and Western psychotherapy and the convergence of Buddhist meditation and brain science. Throughout the recent history of Western psychology Buddhist meditation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and meditative techniques have been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Also, Western psychology has relied upon the Buddhist ideals of wisdom, compassion, and enlightenment to help people cope with the problems of daily life in order to overcome common afflictions. Furthermore, Buddhist meditation has played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modern psychotherapy research by demonstrating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meditation using scientific, rational, and objective methods. The integration of Buddhist meditation and Western psychology has gone beyond the boundaries of personal health and psychotherapy and has expanded to include society as a whole as an object of healing; towards the ultimate solution of human problems,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Buddhist meditation and Western psychology has included various scientific fields including education, environment, economy, military, and ecology, etc.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meditation and Western psychology by researching the history and impact that Buddhist meditation has had within the field of Western psychotherapy and brain science.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es the social engagements and roles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actively involved as sources of spiritual healing in America. Finally, this 명상과 치유에 기반한 포교 활성화 / 송영숙(서광) 639 paper will discuss the emerging world view of spiritual healing and how it applies to Korean Buddhism. 현재 우리 사회에서 불고 있는 힐링 바람의 진원지는 미국이며, 그 원동력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정신치료와 불교명상의 만남이고, 그 다음은 뇌과학과 불교명상의 만남이다. 전자는 과학의 한 분야로 성장해 온 서양심리학이 불교의 명상수행을 심리학의 연구주제에 포함시키고, 명상기법을 치료과정에 도입함으로써 불교의 지혜와 자비, 깨달음을 일상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현실에 맞게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후자는 주관적인 명상체험을 과학적, 합리적, 객관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고 입증함으로써 불교명상이 심리치료에서 하나의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나아가서 이들의 만남은 단순한 개인적 건강, 치료의 차원을 넘어서서 인간문제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서 다양한 학문, 과학분야들과 연대하면서 사회조직, 교육, 환경, 경제, 군사, 생태 등 사회 전반을치유의 대상으로 확대하고, 지속적으로 힐링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에서 불고 있는 힐링 바람을 현재 한국불교가직면하고 있는 시대에 맞는 변화와 성장, 포교의 활성화와 대중화, 그리고 수행방법의 체계화 등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할 방법을 탐색해 보는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불교명상과 심리치료, 뇌과학이 만나온 과정을통해서 힐링의 진정한 의미와 궁극의 목적, 가치를 살펴볼 것이다. 또 현재 힐링의 진원지인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단체들의 사회참여와 역할을 살펴보고, 이들이 일으키고 있는 세계적인 힐링 바람이 한국불교에 던져주는 메시지를 논의해 볼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힐링의 바람은 20세기에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래된불교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명상치료와 뇌과학이라는 최첨단의 옷을 입고한층 젊어진 모습으로 동양으로 되돌아오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비록 1700 년의 역사와 전통의 눈에는 이들이 다소 낯설고 깊이가 없어 보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의 연구조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명상수행을 하는 인구는 기독교와천주교인들이 불자보다 압도적으로 많다고 한다.1) 이는 지금의 힐링 바람이한국불교를 위해서는 기회인 동시에 위기가 될 수도 있기에 어떻게 힐링 바람을 수용하고 포용해서 불교 안에 뿌리를 내리게 하고, 잃어버린 리더십을회복하는 기회로 삼고, 나아가서 한국불교의 세계화 국제화의 계기로 삼을 것인가를 고민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아닌가 여겨진다. 1) 최호승, 「한국불교 재가자들, 신행활동 안 한다」, ≪법보신문≫, 2014.10.8, 1면.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송영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2

        This paper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according to behavioral types for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ign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employed. A total of 165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reported that the percentage of behavioral types were 43.6% (influence), 29.7% (steadiness), 15.8% (conscientiousness), and 10.9% (dominance). Conscientiousness of behavioral types had the highest scores in depression and dominance in anxiety and stress. However, influence had the lowest scores i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ehavioral types for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F=5.07, p=.002; F=3.18, p=.026; F=3.83, p=.011). The study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dependent upon behavioral types. This study may help to use the optimal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according to behavioral typ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행동유형,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행동유형에 따른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행동유형에 맞는 적절한 중재프로그램(우울, 불안, 스트레스 감소)을 도입 및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DiSC 개인 프로파일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21(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21; DASS-21)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행동유형을 분석한 결과로는 사교형이 43.6%로 가장 많았고, 안정형 29.7%, 신중형 15.8%, 주도형 10.9%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평균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는 7.66점, 6.51점, 13.5점으로 정상범위에 있었다. 행동유형에 따른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신중형이 우울 점수가 가장 높았고, 불안과 스트레스 정도는 주도형이 가장 높았으며, 사교형은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행동유형에 따른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5.07, p=.002; F=3.18, p=.026; F=3.83, p=.011). 따라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는 행동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행동유형에 맞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도입 및 적용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마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영숙,김도희,김유진,김유빈,이은진,이윤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4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9 No.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epression, self-esteem, and attitude toward drugs in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atti- tude toward drug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 total of 267 colle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in Korea were analyz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nline survey using DASS-21, self-esteem scale, and attitude toward drugs scale to quantify participants’ responses. Results: Our results revealed that self-esteem (β = 0.15, p = 0.011) and curiosity about drug (β = -0.20, p = 0.003) significant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drugs in college students, and explained 8% of attitude toward drug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depres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drugs. Conclusion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self-esteem and curiosity coping program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critical attitude toward drugs amo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Mindful Self-Compassion(MSC):불교상담기법 모색

        송영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8 불교문예연구 Vol.0 No.10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hods of Buddhist counseling through Mindful Self-Compassion (MSC) developed by Christopher Germer and Kristin Neff.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object and structure of the MSC in detail. It then discusses the usefulness and feasibility of MSC highlighting which aspects can be applied to Buddhist counseling and how this can be done. The reasons tha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MSC are: first, MSC, which has been recently developed, is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rapy based on wisdom and compassion, which is an aim of Mahayana Buddhism. For both MSC and Mahayana Buddhism, wisdom is cultivated through one’s capacity for mindfulness,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Second, MSC integrates a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because its program consists of both intellectual and bodily exercises. Third, the main goal of MSC is to apply wisdom and compassion in critical moments of daily lif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MSC contains ample methods and skills that are important to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ounseling. That is, Buddhist counseling can apply core teachings and traditional practices of Buddhism into daily life by utilizing the methodology of MSC. Furthermore, this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a more practical set of skills that serve as means for modern people to cultivate well-being. 본 연구는 리스토퍼 거머(Christopher Germer)와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가 공동으로 개발한 Mindful Self-Compassion(MSC) 프로그램을 통해서 불교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법들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MSC 프로그램의 목적과 구조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고 MSC의 어느 측면들을 어떤 방식으로 불교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그 유용성과 타당성을 논의해 보았다. 본 연구가 특별히 MSC 프로그램에 주목한 이유는 첫째, MSC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명상 프로그램으로 마음챙김과 자애, 자비의 역량을 함께 배양한다는 점에서 대승불교가 지향하는 지혜와 자비수행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MSC 프로그램은 주제와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론과 실습을 균형 있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MSC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이 지혜와 자비의 역량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순간에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 MSC 프로그램은 불교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적에 맞는 기법들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중요하고 풍부한 기법들과 방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불교상담이 MSC가 가지고 있는 방법론을 활용한다면 불교의 핵심교리와 전통적인 수행방편들을 현대인들의 필요에 맞게 보다 실용적이고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기법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일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사회문화적 함의 비교

        송영숙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5 No.-

        The comparison of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Korean-Japanese a farting daughter-in-law folktale is as follows. First, in the common types of Korean-Japanese folktales, <Recovery Type> and <Conflict Type>, the mythical motif of daughter-in-law farts and the independent will of women exist in common. In <Recovery Type> the daughter-in-law’s eccentric fart created economic value in common and was able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her in-laws. Second, in <Conflict Type>, the conflict with the in-laws caused by the strong fart of the daughter-in-law is not seal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width of variation are very differen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Japanese folktales is Korea’s <Ridicule Type> and Japan’s <Tragedy Type>, and in <Ridicule Type>, the a farting daughter-in-law has escaped from the harsh marriage, but the independent will of the a daughter-in-law has been reduced. Japan’s <Tragedy Type> contains a stern warning message about the in-laws surrounding the a farting daughter-in-law and the suppressed evils of society. 한일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민담에는 공통적으로 <회복형>과 <대립형>이 존재하며, 며느리 방귀의 신화적 모티브와 여성의 자주적인 의지가 내포되어 있다. <회복형>에서 며느리의 별난 방귀는 공통적으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여 시댁과의 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었다. 둘째 <대립형>에는 공통적으로 며느리의 힘센 방귀로 야기된 시댁과의 갈등은 봉합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 민담의 서사구조의 전개와 변이의 폭은 매우 다양한 반면, 일본 민담의 대립 양상은 극히 단순한 차이점이 있다. 셋째 한일 민담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한국의 <소학형>과 일본의 <비극형>이다. <소학형>에는 방귀쟁이 며느리가 가부장권 중심의 혹독한 시집살이에서 벗어난 측면은 있지만, 며느리의 자주적인 의지가 결락된 것이 특징적이다. <비극형>에는 방귀쟁이 며느리를 둘러싼 시댁과 사회의 요메이지메와 같은 폐습에 대한 엄중한 경고성의 메시지가 내포되어 있다.

      • KCI등재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송영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2

        Purpose: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meditation program on stressful life events and the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editation program in a 2 hour/session/week for 5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stressful life events scale by Cheon, Kim and WHOQOL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o nursing students in 2012.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 test, ANCOVA. Results: A total of 30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15, control group 1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stressful life events (F=11.17, p=.002).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quality of life. Conclusion: Meditation program was useful for decreasing stressful life events. This study may help nursing students manage stressful life events. 본 연구는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감소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교의 간호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임의표출 하였다. 실험군은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2시간/세션/주 씩 5주 동안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았다. 연구도구 중 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였고,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의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한글버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PASW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생활스트레스, 삶의 질)의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t-test를, 프로그램의 효과는 종속변수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ANC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생활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삶의 질에 있어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심리치유적 관점에서 간화선의 응용모델 - 육도의 핵심감정 치유기제로서의 “화두”의 응용 -

        송영숙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이 연구의 목적은 간화선의 현대화 또는 대중화를 위한 시도로서 간화선의 “화두” 개념과 육도윤 회의 개념을 심리치유에 적용한 심리치유모델인, 인간마인드 회복(RHM: Recovering Human Mind)을 소개하는데 있다. RHM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세친의 유식 30송을 근간으로 개발한 자 아초월 집단치유/교육 프로그램인, “진아만나기”에서 전체 8회기 가운데 6회기에 해당하는 정서불 균형을 조율하는 기법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세친(320-400CE)은 인도선 전통에서 21대 조 사로서 유식 30송을 통해서 유식의 체계를 완성했다. RHM 프로그램은 언어와 논리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언어적 사유와 논리의 초월을 강조하는 전통 적인 선(禪)적 방법대신에, 그들의 언어와 논리를 활용함으로서 불교적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와 친 근감을 향상시키려는 의도에서 고안된 것이다. 또한 ‘화두’를 현대인들이 실제 현실에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 즉 전생과 현생, 내생을 걸쳐서 윤회하는 육도윤회를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심지 어는 순간순간 윤회하는 심리적 상태에 적용하고, 일상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직면하는 경험의 내 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물음의 형태’로 제시함으로서 ‘화두’의 실용성과 현실성을 보 완했다. RHM 프로그램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윤회의 가르침과 화두의 치유적 기제를 응용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 갈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 간단한 수행 과 훈련으로도 삶과 인간관계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계발되었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RHM (Recovering Human Mind) as a healing model,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concept of ‘whadu’ in the gwanhwaseon and the concept of ‘the wheel of six realms’, in order to attempt for the gwanhwaseon's modernization and practicality. The RHM has been used as a method for the emotional imbalance tuning that is the sixth session among the eight sessions-program called Meeting Your True Self. The MYTS was orig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30 verses written by Vasubandhu (320-400CE) who is considered to be the 21st patriarch of the Indian Lineage of Mahayana Seon, completed the Yogacara doctrine through the 30 verses. RHM is designed to improve moderns’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of Buddhist practice by using their language and thought, instead of the traditional seon style transcending language and thought. Also, the RHM complements the practicality and reality of hwadu by applying the wheel of six realms to the problems people are dealing with in their life from the view of psycho -healing and to the psychological states changing moment by moment, instead of applying it to the previous life, present life, and next life, and by showing a hwadu as ‘a form of question’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s and concerns in the daily life. The RHM has been developed aiming not only for people to be more approachable by integrating teachings of the wheel of life and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hwadu, but also to have a more effective help for the interrelationship in daily life by a simple practice for a shor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