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시공간 구성에 대한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VISD) 연구 : 국립충주대학교 박물관의 중원문화 특별전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송연호(Song Younh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국립충주대학교의 박물관은 개관 30주년을 맞아 전시공간을 새로이 구축하였다. 이 전시공간의 재구축 과정에서 전시공간의 외형뿐만 아니라 전시 공간 내의 시각정보화 프로젝트 작업이 동시 진행하였다. 박물관 전시공간에서 전시 유물을 설명해주는 시각 콘텐츠들은 전시유물 못지않게 전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국립충주대학교 박물관의 기획전시실의 중원문화 특별전의 전시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시각 정보시스템디자인(Visual Information System Design VISD)를 제안한다.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VISD)란 전시의 목적에 부합하는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시물이 갖고 있는 정보와 의미를 관람자들과 서로 소통할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전시디자인 개념을 시각정보디자인에 적용해 다양한 전시 연출 방법과 새로운 시각 표현매체들을 활용한 시각정보시스템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한다. The most of universities have exhibition space such as university museum multipurpose hall and small gallery etc. The university museum repres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role as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public share. But university's exhibition spaces are focused on their histories collections and also mainly uses as a promotional material for university without exhibition design's uniqu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graphic design system especially museum environment. So this paper shows various visual examples about the new conceptual exhibition space design. And also do research about meaning ofmuseum design in various types of studies as well as new visual information system design (VISD). The main concentration of visual information system design is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n exhibition environment. VISD is confirmed that visual expression with essential factor in displaying and taking the important roles. This study is processing and progressing based on Jungwon culture and practical case of Chung 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 한방 샴푸패키지 브랜드에 나타난 봉황ㆍ당초문양 선호도의 상관성 분석

        송연호(Song, Younho),이영화(Lee, Younghwa)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각 나라마다 색다른 고유문화가 있는 만큼 고유한 문양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독특한 자연환경과 풍토에 따른 우리민족 특유의 문양을 만들어 왔다. 아주 단순한 문양 속에 오묘한 우주의 섭리가 들어있기도 하고, 화려한 문양이라도 단순히 장식만을 위해 만들어진 경우도 있고, 용도에 따라 문양의 성격을 달리하기도 한다. 소비자들의 정신적, 물질적인 생활이 향상됨으로서 소비 욕구도 다양해지고 강해진 현대 사회에서는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이 강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전통 문양의 의미와 패키지 디자인의 의미 및 역할을 살펴보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3개의 한방 샴푸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통하여 전통 문양을 이용한 디자인의 개발 및 한방 샴푸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전통 문양을 한방 샴푸 패키지와 어떻게 접목시켰는지. 소비자들은 전통 문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 문양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라도, 전통 문양에 대한 소비자들의 새로운 인식과 기업들의 전통 문양에 대한 전문적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전통 문양을 이용하기 앞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전통 문양의 성향을 제품의 성향과 적절히 결합시켜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전통 문양 가치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데에 연구의 의미를 둔다. As each country has its unique culture, there are unique patterns in every different country and its unique culture. Korea also has its unique pattern with special natural features and its environment. Very simple pattern may contain the provision of universe and fancy pattern may have been created for sale purpose of decoration. In modem society where the desire for the consumption has diversified and strengthened with the enhancement in quality of spiritual and materialistic life of consumers. The emphasis is put on the role of package design that stimulates the desire for the consump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and the meaning of package design will be looked into in this study Through the case study of three “Han bang” shampoos currently stock in the market,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using traditional pattern and the package design of “Han bang” shampoo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survey, how the consumers get know about traditional patterns on package design of “Hanbang” shampoo.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e future, academic study and research for new perception of consumers on traditional pattern shall be carried out by companies.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spreading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pattern, it can be created by accurately grasping the desire of consumers before the use of traditional pattern. And properly combining the trait of traditional pattern with the trait of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