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전시장 사인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송연호(Song, Youn H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는 1999년도부터 2013년 현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변화를 모색해 왔다. 청주국제공예 비엔날레는 공예의 전 분야를 망라하는 종합공예 비엔날레로서 전 세계 공예인들의 참여와 관심 속에 예술적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타 비엔날레들과는 다르게 전용 전시장을 마련하지 못해 청주예술의 전당과 청주문화산업단지, 그리고 국립청주박물관 일대에서 치러져 오다가 2011년부터는 옛 연초 제조창 자리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이용 횟수가 증가하고 양질의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공간의 환경요소 중 하나인 사인시스템은 정보 전달을 위한 역할로서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비 상설 전시의 시각 안내 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을 관찰하고 심층 분석해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과 여정 맵(Journey Map)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리서치 자료들을 바탕으로 향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뿐만 아니라 비 상설 전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인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has explored various changes from 1999 to 2013 so far. As a total craft biennale that covers all the fields of craft,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has been recognized for its artistic and practical values while attracting participations and interest by craftsmen from all over the world. However, differently from other biennales, it was held at Cheongju Art Hall, Cheongju Cultural Industry Complex, and Cheongju National Musuem due to lack of its exclusive exhibition, but since 2011, it has undergone novel changes with the old site of a tobacco factory as its place. Therefore the use of the exhibition rapidly increases and qualitied service also increases. The role of the sign system, one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space, for the delivery of informa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Given this background, systematic work on visional signs for non-regular exhibitions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observed and carried out an in-depth analysis of audiences visiting the exhibitions of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to work on positioning map and journey map. Also, based on research dat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basic data for a sign system that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but also for other non-regular exhibitions.

      • KCI등재후보

        박물관 사인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송연호(Song Youn H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박물관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방문 목적도 다양해졌다. 또한 주 5일제 근무로 인해 일반인들의 박물관 이용횟수가 급증하고 양질의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공간의 환경 요소 중 하나인 사인시스템은 정보 전달을 위한 역할로서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사인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박물관 내부의 사인을 살펴보면 다양한 시각요소들이 있다. 아무리 이러한 시각요소 들이 잘 디자인되었다고 하더라도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사인시스템을 인지하고 이해하는바에 따라 정보 전달의 유용성 여부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단법인 박물관협회 등록 박물관들 중 충청북도 소재 박물관들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사인의 기능별 분류 중에 유도사인, 안내사인을 중심으로 레이아웃, 문자, 픽토그램, 색채, 조명방식, 설치방법, 다중언어사용 등 시각요소를 각각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사인시스템 대상 박물관들의 사인시스템을 재정리하고 세분화시켜 분석한다. 셋째, 사인시스템에 대한 관람자 만족도 조사에 따른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박물관 사인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한 사인시스템 개발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 개발에 있다. At the turn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people"s awareness of the museum has changed and the purpose of the visit to the museum has been diversified. Also, due to working weekdays only, the use of the museum rapidly increases and qualitied service also increases. The role of the sign system, one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space, for the delivery of informa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When examining the signs constituting a sign system inside the museum, its diverse visual elements include functional classification, how to install, layout, text, pictogram, color, lightings and the use of multi-language. I have research about the museum sign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relating to museum sign systems and the precedent studies. Also, I explo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the present state about how the museum sign system has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precedent studies. In addition, The research and analyzing inn this paper based on the site survey and study about classical function and visual element of museum sign system. In addition, I intend to united the result of each experiment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in ccordance with the survey about the level of visitors" satisfaction for the sign system. And I discuss about its implications and use them as the data of the precedent studie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후보

        전통시장의 기능성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한 방문객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

        이경아(LEE, Kyung ah),송연호(Song, Youn Ho),장효민(Jang, Hyom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전통시장은 지역경제의 근원이면서 지역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적인 측면에서 그 정체성이 제고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과제인 ‘전통시장의 기능성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한 방문객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전통시장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기능적 변화에 대해 논의 하였다. 그리고 감성-경험 개념 모델(FEEM)의 개념을 근거로 한 전통시장 사용자(방문객) 경험 소비 개념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전통시장 방문객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논의하였다. 전통시장 이해관계자 개념도(stockholdrs concept map)을 구축하였다. 또한 전통시장에 대한 경험 여정 맵 구축을 위한 방문객의 모먼트 맵핑(moment mapping)과 그에 따른 원인과 결과(Cause & Effect) 개념도를 탐구하였다. 그럼으로써 전통시장에 대한 물리적 관점을 넘어서 사용자의 감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인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개념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전통시장지도 디자인에 확대 적용하였다. Traditional markets which represent alley business district are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 and roles because of decrease of users (visito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riginality and uniqueness of traditional markets because of monotonous modernization excluding locality and placeness. Traditional markets are the source of local economy and the identity needs to be improved from the perspective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place. Discourses of ‘User-centered service design process model to increas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raditional market, which is the major theme of this study were made as the following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unctional changes of traditional markets were discussed. Traditional market users’ (visitors) experience in consumption concept diagram was researched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Experience Concept Model. Based on this, visitor-centered service design processes in traditional markets were discussed. Traditional market stock holders’ concept map was constructed. Additionally, moment mapping of visitors for experience travel map and cause and effect concept diagram were reviewed to construct experience travel map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this, we proposed an innovative traditional market service design process concept model based on the emotion and experiences of users using sensual experiences of users beyond physical perspectives on traditional markets and expanded its application to traditional market map desig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