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럽연합(EU)의 디지털 문화유산 정책: 정책의 내용과 함의

        송병준 ( Song¸ Byungjoon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20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61

        In the European Union, cultural industry or cultural creative industry is the field that receives the most benefits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platform, commercial utilization through digitaliag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goods using broadband. In particular, the digitaliz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a strong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that presuppose technological support, unlike traditional cultural policies such as Capital of Cultural. Therefore, the digitaliz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recognized as a new creative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encompasses digital technology standardiz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building clusters and network platforms in the cultural sector, and strengthe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ince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program is a policy that embraces rapidly changing digital technologies, it is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veral new technologies through the European Un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like a Horizon 2020. As such,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program has a complex character as a group of programs in Creative Europe, which is a cultural policy conduc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institutional and technical support through a digital single market and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KCI등재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기원과 전개: 정체성과 지정학적 이해의 충돌

        송병준 ( Song Byungj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4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가공된 당위성과 과도한 민족주의를 정치적 기반으로 하는 국가간 대립이다. 그리고 비대칭적인 권력자원을 갖는 국가간 현실주의적 힘의 논리와 정치적 전략 역시 분쟁의 내재적 요인이다. 또한 유라시아주의 (Eurasianism)를 내건 전통적인 패권국인 러시아와 아제르바이잔과 유착한 터키의 지정학적 이해 역시 분쟁의 동인이다. 이에 대응한 미국과 유럽연합의 정책 역시 분쟁의 외재적 요인을 형성한다. 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민주주의 국가와 정치, 군사적으로 견고한 입지를 다진 권위주의 국가간 권력자원 확보를 위한 충돌이다. 전쟁에서 승리한 아제르바이잔의 권위주의 정부는 더욱 확고한 정치적 정당성과 경제성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반면,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지배권을 상실한 아르메니아는 정정불안과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다. 본 전쟁을 통해 남코카서스 지역에서 러시아의 정치, 군사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되었고, 터키는 아제르바이잔과 경제, 군사적 유대가 더욱 공고해졌다. 반면 유럽연합과 미국은 러시아와 터키를 견제하면서 경제적 이해를 보존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에도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간 대립과 긴장은 지속될 전망이다.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between Armenia and Azerbaijan is an inter-state confrontation based on fabricated justification and excessive nationalism. And the logic and political strategy of realistic power between countries with asymmetric power resources are also inherent factors in the conflict. Also, Russia, a traditional hegemon with Eurasianism and Turkey's geopolitical interests with Azerbaijan are also a source of conflict. The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in response to this also form an external factor in the conflict. The Second Nagorno-Karabakh War is a conflict for securing power resources between a politically unstable and economically weak democratic country and an authoritarian state with a strong political and military position. On the other hand, Armenia, which lost control in Nagorno-Karabakh, is experiencing political instability and economic crisis. Also, through this war, Russia's political and military influence in the South Caucasus region was further expanded. Turkey has further strengthened economic and military ties with Azerbaija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are trying to preserve their economic interests by keeping Russia and Turkey in check. Due to these factors, the confrontation and tension between Armenia and Azerbaijan is expected to continue even after the Second Nagorno-Karabakh War.

      • KCI등재

        발틱 3국의 독립과 체제전환 : 동인, 과정 및 함의

        손동기(Dongki Son),송병준(Byungjoon So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1

        발틱 3국에서 체제전환은 곧 주권회복을 의미하며 이점에서 여타 중동유럽 국가들에서 공산주의의 붕괴에 따른 제체전환과는 성격과 경로를 달리한다. 발틱 3국의 독립과 체제전환 과정은 각 국의 고유한 정치적 상황으로 여러 차이점을 갖는다.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는 독립과정에서 노골적인 반소련 노선을 취하여 러시아계와 타협을 거부한 체 독자적인 독립추진과 체제이행을 단행하였다. 반면 라트비아에서는 러시아계 인구비중이 높아 이들의 저항을 우려하여 보다 온건한 노선을 선택하였다. 독립 이후 발틱 3국은 제도, 가치, 사회 및 생산 시스템의 변화에 있어서도 유사점과 함께 차별화된 양상도 갖는다. 이와 같이 발틱 3국 각국의 고유한 정치적 상황으로 독립과 제제전환 과정은 상이하지만 이들 국가는 공통적으로 유연한 전략과 비폭력적인 저항과 함께 국제사회에 독립의 당위성을 알리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발틱 3국은 1989년부터 1991년 독립 시까지 1917년 1차 독립의 경험을 되살려 독단적인 저항운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3국간 조직적인 협력을 진행하였다. In the Baltic States, the transition to regime means recovery of sovereignty. In this regard, the Baltic States differ in nature and path from the rest of the regime following the collapse of communism in other Central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process of independence and transition of the Baltic countries is a unique political situation in each country,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Lithuania and Estonia took an explicit anti-Soviet route i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and carried out independent independence and system implementation, refusing to compromise with the Russians. On the other hand, in Latvia, the proportion of the Russian population is high, so they feared their resistance and chose a more moderate route. Since independence, the Baltic States have differentiated aspects with similarities in changes in institutions, values, society and production systems. As such, the process of independence and transition to the formulation is different due to the unique political situation of each of the three Baltic countries. Nonetheless, the Baltic States were focused on promoting the independence of independenc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a common, flexible and nonviolent resistance. In addition, the Three Baltic States recalled the experience of the 1st independence in 1917 and suppressed the dogmatic resistance movement as much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