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安樂集』에 나타난 계율에 관한 고찰

        송법엽(보운)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5 No.-

        일반적인 정토에 관한 인식은 염불삼매를 통한 왕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으나 초기정토의 도작을 중심으로 당나라 초기에 활동하였던 정토행자들은 왕생의 결과보다는 현세에서 계율에 기초를 바탕으로 한 수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계(戒)의 특성은 삼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이고, 출가한 수행자와 재가자(在家者)들이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신행(信行)의 첫걸음이며, 열반에 이르는 과정이며, 신심을 일으키는 근간이다.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바라밀행과 서원이 완성되어 그 결과로써 계(戒)․정(定)․혜(彗)의 삼학의 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그 중에서도 계율은 수행자가 추구하는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적인 규범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삼학의 상호작용에 의한 끊임없는 정진을 위한 실천의 방법으로서 올바른 보살도는 계율에 의지하여야 하고 또한 계율은 보살도의 실천에 의지하여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정토에서 지향하는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왕생(往生)에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토에 계율을 기초로 삼고 과위(果位)를 이루어 보살도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하나의 통일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물론 정토에서는 여러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정진을 통한 끊임없는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작은 일체의 중생들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대중적인 불교를 개창(開倉)하면서 『불설무량수경』의 십념왕생사상과 『불설관무량수경』의 하품하생을 일체의 중생들에게 적용하여 염불수행을 통하여 성불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현실적인 왕생의 수행법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의 방법으로 중국에서 최초로 모감주 열매로서 염주를 만들어 나누어 주면서 칭명염불을 강조하였고 콩과 염주를 사용하여 아미타불의 명호를 숫자를 헤아리면서 아미타불을 부르는 정토수행을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상의 수행과 더불어 자신의 교학적인 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도작은 『안락집』을 찬술하였는데 소의경전으로는 『정토삼부경』을 논거로 삼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불설무량수경』을 중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많은 대승경론을 인용하여 『안락집』을 찬집하였으므로 어느 한 사상에 치우치지 않은 여러 불교사상을 섭렵한 학자임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 『열반경』 및 중국 찬술로 여겨지는 위․의경(僞疑經)까지도 동등하게 인용하면서 자신의 교학적 이론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교학적 체계와 정토수행의 실천적 방법으로 팔정도(八正道)를 유지하면서 중생계에 부처님의 가르침인 6바라밀을 실천하는 것으로서 집약하였고, 신심과 회향 및 계율을 수행의 기초로써 인식하고 있었다. 즉 수행과 계율은 보살의 서원인 ‘상구보리 하화중생’이라는 자각이 명확히 『안락집』에 내재되어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Previously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law shown in the armchair at home. The jonghyo of the Southern Song has written early in the 13th century “rakbangmunryu” There Doan, Hyeon, Cheontae, Dojak, Seondo, Hoikam, Jamin, Jaeun, seven minutes to Jinkwan etc. followed the Pure Land of wangsaeng of Maitreya with Sechin the technology has been called the master. Therefore,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Dojak Until this era forms the backbone to replace chemical with the leader at the center of the Jodo performed Dojak this as a first step in sinhaeng for the performance of the Pure Land by chanjip the “Anrakjib”, causing confidence as essence, it reveals the silcheonhaeng rely on the law as a means for the door of the yuan perform. The law points to the good work you need to practice an active party to look after the flight of victory, ethics and practice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it is ess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performance. Basic norms for the ideal in order to draft the new birth as a Bodhisattva is completed pāramitā and wishes, and the result by law to be established are three of the system's efforts and wisdom, and the law in its center of Mahayana Buddhism is to realize Nirvana which priests pursue to be. Further actions of the Bodhisattva as the right way of practice for the unremitting efforts by the interaction of the three teaching must rely on the law and the law must also be complemented by relying on the correct behavior of the Bodhisattva. But the premise that law is to have all three cleric as a fundamental teaching are also most likely to commit errors that can not be separated act also as a basis for performing the process and substance of the law of effort. Since the law is already equipped with the efforts of the law and the importance of hard work and effort fitted the purpose of the law is also a complementary harmony with each other not only revealed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effort is directed at the Jodo wangsaeng. Wangsaeng can be from early Buddhism throughout the process leading to Mahayana Buddhism understand that the Buddha of the world, it embodies the world of this nirvana is a world of Pure Land is represented in paradise. Concrete action that causes the mind in the process of wangsaeng of such Jodo It leads to action, and leads to the end. Borisim is yet to begin completion of performing a different view of faith, is the sublimation of a solid silcheonhaeng attendant makes it as fennel bosaldo yoik and regeneration. By the end edge of one of the conditions of the law of effort trying happening bond the effort, because that checks the purity of the law of any efforts if you rely on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laws of the Buddha deliberately get themselves enlightened, even if you do not accept the other way can. Dojak is such hard work and wangsaeng through their own efforts and “Anrakjib” the Pure Land teaching was recognized as one present as well two have a law book, teaching the people who do not have the wisdom disseminate the teachings of many Scriptures widely lot of regeneration and to enlighten the clergy who would argue that the true figure shows that the work of the bodhisattva practice.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장엄과 의례에 수용된 정토사상

        송법엽(보운)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불교의 장엄은 세존의 가르침인 사상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절차를 통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알리는 구체적인 행위이며, 정토사상에서는 대승불교의 이념을 실천하는 보살사상을 논장 등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의례는 종지(宗旨)가 지닌 의미를 현실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재해석되고 고유한 형식으로 정형화되는 것이고, 이러한 의례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의식으로 체계화되면서 공덕, 설법, 공양, 계율, 지혜, 감응, 청정 등으로 여러 측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토삼부경』에 나타나는 정토장엄은 초기경전인 『장아함경』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율장에서도 회화와 건축 등의 요소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데, 밀교경전에서는 국토장엄과, 법장엄이 정진으로 승화되는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후기 불교의 장엄이 여러 시각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은 당시에 사상적 기반이 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까닭으로 일반 백성들을 위하여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현상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 제약이었다. 따라서 불교문화는 건축과 탱화, 의례의 형태로 발전하였던 현상은 조선후기의 시대적인 특징이었다. 불교건축은 미학적인 측면과 사상적 측면을 사상적 측면을 조화롭게 생각하여 사찰의 여러 요소들의 조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단순한 의례의 공간적인 형식에서 벗어나서 기능이 확대되었다. 불상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한 조각의 부류인 불감은 조각과 회화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불교미술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회화는 신행을 위한 공간을 이용하려는 목적에서 수용되었다. 사찰의 장엄과 불보살에게 예경하려는 목적과 대중에게 불교의 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나, 사상적인 부분에서는 정토신앙을 중심으로 밀교, 지장신앙과 화엄신앙과 습합이 일어났던 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토사상이 수용된 의례로는 수륙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의례의 전체적인 구성은 정토신앙을 현실화하는 성격을 잃지 않고 일정한 신앙체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형적 불교문화와 무형적인 불교의례에서는 여러 사상을 수용한 조선후기의 정토사상은 큰 범주에서 여러 전통적인 신앙과 당시의 민간신앙까지 융화시켜 신앙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이런 정토사상과 민간의 관습적인 내용과 유교와 도교의 내용까지 융합시키는 장엄사상과 정토사상은 단순한 융합이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반영이면서 불교의 중도적인 관점에서 사상적 조화와 현재하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졌으며 오늘에 전해지고 있는 주목할 역사적 불교의 변용이었다. The decoration of Buddhism is a specific act that informs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dea of the Bhagavat's teachings. In the idea of pure-Land, the idea of Bodhisattva practicing the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was extended to disputes. In addition, rituals are reinterpreted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religion, and they are formalized in a unique form. Such rituals have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s consciousness as a way to be practiced, and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such as virtue, sermon, food, godliness, wisdom, response, and cleanliness. The ornaments of the Pure-Land appearing in “Sutra of the Amitabha group” are also found in the early scriptures, “long of the Agamas”, and the element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can be examined in detail.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decoration of the land and the grandeur of the dharma are expanding into a process of sublimation. However, the majest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emphasized various aspects because the ideological foundation was based on Confucianism at the time, and the phenomenon that was actively developed for the general people was a reality that could accommodate visual and auditory effects It was a constraint. Therefore, Buddhist culture developed in the form of architecture, painting, and consciousness was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e of Buddhism pursues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s of temple and harmony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function is expanded by deviating from the spatial form of simple ritual. The Buddhist sculpture, which is a kind of sculpture develop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Buddhist statue, shows the form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cluding sculpture and painting elements. Buddhist paintings were accepted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the space for new activities. It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worshiping the majesty o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and the purpose of conveying the Buddhist doctrine to the public easily. However, in the ideological part, the image of the esoteric thought and guardian ideology, and the combination of Huayan and the idea of Pure-land are also centered on the idea of Pure-land. Also the ceremony of accept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ritual of water and fire. The whole composition of the ceremony has a certain belief system without losing the character of realizing the faith of the Pure-Land. Therefore, the ideology of the clean earth in the later Joseon period, which accommodated various ideas in tangible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Buddhist rituals, aimed at harmonizing the faith by integrating various traditional beliefs and the private beliefs of the time in a large category. The ideas of this clean earth, the customary contents of the civilization, and the ideas of decorating Confucianism and Taoism are not merely a fusion but a reflection of the history and the time, and the ideological harmony and the present environment And it is a remarkable historical Buddhist transformation that is being conveyed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