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항 로짓 회귀모형에서의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적합도 검정 방법 비교

        송미경,정인경,Song, Mi Kyung,Jung, Inkyung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Several goodness-of-fit test statistics have been proposed for a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model;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proposed tests were not adequately studied. This paper evaluates three different goodness-of-fit tests using grouping strategies, proposed by Fagerland et al. (2008), Bull (1994), and Pigeon and Heyse (1999). In addition, Pearson (1900)'s method is also examined as a reference. Simulation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our methods in terms of null distribution and power. A real data example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methods.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다항 로짓 회귀모형의 적합도 검정 방법들에 대하여 저자들이 제안한 방법들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러 검정 통계량들 중 그룹화 전략을 이용한 통계량들 (Fagerland 등, 2008; Bull, 1994; Pigeon과 Heyse, 1999)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통계량의 기반이 되는 피어슨 ${\chi}^2$ 통계량 또한 같이 비교하였다. 제안된 분포가 모의실험의 상황 하에 얻어지는 귀무분포와 유사한지, 그리고 부적절한 모형의 판별을 적절히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실제 자료에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두상분석에 의한 보정 헤어커트 연구

        송미경 국제보건미용학회 2017 국제보건미용학회 학술컨퍼런스 Vol.2017 No.05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커트기법 및 섹션에 관한 자료를 검토하고, 두상의 다양한 형태를 조 사, 측정함으로서 보정되어야 할 두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획일적 형태의 교육용 마네킹과 모델의 다양한 두상형태를 비교 분석하고, 전문가의 진단 및 조사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3D 입체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두상에 대한 미용기술학적 개념 재정립에 따라 시술기준을 마련하고 자 한다. 셋째, 두상분석에 의한 보정 헤어커트의 새로운 커트시술 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커트 를 연구할 후학들에게 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용성 있는 헤어커트시술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오늘날 미용관련 기술자 및 후학들이 획일적인 형태의 두상과 모발 만을 이용하여 헤어커트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두상의 다양한 형태 및 모발에 관한 과학적이 고 체계적인 분석에 의해 정립된 데이터가 헤어커트 교육 및 실무에 활용하고자 한다. 마네킹을 이용하여 제작된 작품에서 생겨나는 작업의 오류를 개선하고, 헤어디자인의 기술성 을 촉진하며, 더 나아가 헤어에 관한 학문적인 관점에서 기술적 완성도가 진일보함으로서 미용 학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상에 관한 연구와 두상분석 결과에기반한 두상보정을 위한 보정 헤어 커트 방법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자 한다. 커트교육에 사용되어지는 마네킹과 실제 모델과의 두 상형태의 차이를 분석하고 헤어커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인 모질, 모류, 모량의 성질에 대하여 조사한 후 두상의 보정을 위한 섹션과 볼륨증진을 위한 커트 테크닉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네킹과 임상모델에게 커트시술을 하여 볼륨증진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두상분석은 두상에 대한 측정, 즉 두상형태 측정과 모발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두상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1차 조사로 500명 대상으로 두상의 함몰부위를 체크하여 볼륨감 있는 커트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1차 조사를 바탕으로 해서 두 상형태에 대한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실시한 2차 조사에서는 계측훈련을 받은 미용전공자가 해 당 인원 113명을 직접 측정하였고 설문을 통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상 및 모발 분석에 대한 자료 분석방법은 통계 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였다.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 고, 결과를 통해 모량과 모류, 모질의 다양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첫째, 두상의 형태분석을 토대로 두상의 결함을 보정하기 위하여 피 시술자가 원하는 두상의 파트에 볼륨감을 부여한다. 둘째, 모질, 모류, 모량에 관한 모발의 성질을 먼저 확인한 후, 모발의 조건에 따른 커트를 수 행한다. 셋째, 두상형태 및 모발성질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마네킹과 임상두상에 대해 올바른 이해 를 정립한 후 커트시술을 한다. 넷째, 모델별 다양한 성질을 가진 모류, 모량, 모질의 특성이 반영된 보정 커트에 대한 후속연 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결과 함몰과 굴곡이 없는 마네킹의 특정파트를 보정 헤어커트 기법을 이용하여 시술한 결과 해당 파트에서 돌출의 형태가 생겨났다. 반대로 두상의 특정 파트에 함몰 부위가 있는 모델을 대상으 로 보정 헤어커트 기법에 의한 시술을 한 결과는 함몰 부위의 플랫(Flat)한 헤어 형태선에서 볼 륨감이 증진된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두상함몰 부위에 보정 헤어커트 기법을 사용했을 시 헤어 볼륨감이 효과적으로 증진되면서 고객 만족감이 상승하였다.

      • KCI등재

        사령형(使令型) 인물의 형상화 양상 및 전형성

        송미경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2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aspect of Saryeong(使令) character's imagery in Korean classical works and its typicality. Saryeong who transports a prisoner is an extra but highly individual character seen widely in various Korean classical narration like novel, fable, pansori, shaman song, shaman play, prose-poetry, etc. This character group is composed of the Gunnosaryeong (軍奴使令), the lower serva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Jeoseungchasa(-差使), the messenger of death. The three types of Saryeong charact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type who serves faithfully, second, the type who is shaken with bribe, third, the type who is in two extremes of sacred and profane. The first type in Janghwa Hongnyeon-jeon, Lee Chunpoong-jeon, and Hoesimgok is characterized as violent and cold hearted person transports a prisoner in a hurry. This temperament stems from his position need to obey the order of the superior. And, this type has little personality because his own narration is too short to express his personality. Next, the second type in Pansori Chunhyang-jeon, Fable Seodongji-jeon, Hwaraengi’s shaman song about The Record of a Journey Gunung-nojeonggi, shaman song in epic about the life extension Maenggam-bonpuri·Hwangcheonhonsi ·Jangja-puri, folktale about same theme The Grandfather Saved His Grandchild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Dongbangsak Extended His Life Span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 and shaman play about sending on the spirits Sajaesamseong·Saja-gut features a shake-up with bribe and a disloyal. This type can show his tendency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criminal-detective by money or food makes new scenes. Most of Saryeong characters are included in this second type and they have their own colors by their genres or works. The third type in comedy song Gullosaryeong Suljujeong and shaman song in epic Chasa-bonpuri place the extremes sacred and profane respectively. One is too ridiculous and funny character and the other is deified man with his sacred myth. The most typical Saryeong character among three types is the second has the majority. They have a military spirit and are wild. Because of poor conditions, they get an undue desire for bribe and is easy to fall into temptation of money or food. And, they are capricious, expecially if they are just people not gods. Saryeong characters as gods have faith that offers reword bribes. 본고에서는 고전 서사에 두루 포착되는 개성적인 군소 인물형으로서의 사령형 인물이 개별 작품에 형상화된 양상을 고찰하고 그 전형성을 규정하여 보았다. 우선 사령이라는 인물 유형이 성립될 수 있었던 근거에 대해서는 군로사령과 저승차사의 두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역사문헌으로부터는 군로사령의 성격과 복색, 그리고 포권 악용의 행태 및 불안정한 경제적 처지 등을 확인하였다. 종교경전에는 저승차사가 망자를 저승으로 데려가기 전에 반드시 생전의 공덕을 살펴 저승행의 방식을 정하였고, 그를 융숭하게 잘 대접하면 죽음에 문턱에서도 생사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사령형 인물은 첫째, 직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유형, 둘째,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는 유형, 셋째, 통속과 신성 양극단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에는 <장화홍련전>, <이춘풍전>, <선심가(회심곡)>의 사령이 포함되며, 이들은 사납고 몰인정한 태도로 주어진 직무를 급히 서둘러 수행한다. 이러한 성향은 하급 관졸이라는 현실적인 처지에 기인하는 측면이 크다. 또한 첫째 유형은 여타 유형에 비해 등장인물로서의 개성 표출이 상당히 제한적인데, 이것은 죄인의 호송 이후에는 사령의 역할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다음 서사로 장면이 급전환되기 때문이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의 특징은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여, 죄인을 즉시 호송하라는 상관의 명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 중에 뇌물을 매개로 한 죄인-사령 간의 관계가 새로운 이야기 대목을 파생시키면서 사령형 인물의 개성이 보다 확실히 부각된다. 판소리·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우화소설 <서동지전>, 노정기형 화랭이 무가 <군웅노정기>, 연명설화형 서사무가 <맹감본풀이>·<황천혼시(혼쉬굿)>·<장자풀이>, 연명형 민담 <저승사자 대접하여 손자 구한 조부>·<저승차사 대접하여 명 이은 동방삭>, 망자천도형 무극 <사재삼성>·<사자굿> 등 대부분의 사령형 인물이 이 둘째 유형에 포함되며, 이들은 장르적 성격 및 작품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색을 드러낸다. 마지막 셋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형 인물은 통속성과 신성성의 양극단에 위치하는 만곡 <군로사령 술주정>의 김번수·박번수, 그리고 서사무가 <차사본풀이>의 강림이다. 전자의 인물 형상화는 지나치게 희극적이고 해학적인 데로 치우친 통속성의 극단에 해당하며, 후자의 사례에서는 독립적인 신격의 좌정담에 내재하는 신성성의 극치를 엿볼 수 있다. 이중 이른바 ‘전형적인’ 사령형 인물에 해당하는 것은 가장 많은 인물군이 포착되는 둘째 유형이다. 호기롭고 우악스러우며, 평소의 열악한 처지 때문에 뇌물에 대한 탐심이 크고 그 유혹도 쉽게 이기지 못한다. 또 환대와 뇌물에 태도가 급변하는 다소 변덕스러운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인간격의 사령일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신격의 사령은 받은 뇌물에 대한 보상을 확실히 하여주는, 신의 두터운 인물인 경우가 많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