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rough Bibo Feng Shui

        송두진,김용성,송석재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19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5 No.1

        Although Korea has grown rapidly and developed cities based on advanced Western culture and material civilization,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for qualitative growth is now emerging due to the problems caused by development focused on quantitative growth. As each country has different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the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with model plans and ac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country’s climat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entiment. Like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Western urban development in the past, however, urban regeneration is also following Western success ca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Bibo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spatial thinking system of Feng Shui, to analyze the energy flow of heaven, earth, and man in the city with the concept of Qi (氣) of the Yin-Yang and Wu Xing (the Five Elements) and theoretically examine whether the energies influence each other, in order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at can be applied to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Korea. Based on this, we intend to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the basic data for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methods using Feng Shui in the future.

      • 근적외선 분광기술 이용 과일의 당도 측정 성능 향상을 위한 과일 크기 별 광원과 센서의 최적 거리 구명

        송두진 ( Doo-jin Song ),천승우 ( Seung-woo Chun ),박수환 ( Soo-hwan Park ),김민지 ( Min-jee Kim ),양하은 ( Ha-eun Yang ),안치국 ( Chi-kook Ahn ),김영태 ( Young Tae Kim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최근 소비자의 과일 품질 요구사항은 외부 품질보다 내부 품질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는 내부 품질의 규격화를 위해 투과식 분광 분석법을 활용한 비파괴 선별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하지만, 투과식 방법은 과일 크기에 따라 투과광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내부 품질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일 품질 측정 고도화를 위해 과일의 크기 별 광원과 센서의 최적 거리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지 품종의 사과(충주 APC 산) 354개를 사용하였고 사과의 무게에 따라 5수준(Level Ⅰ~Ⅴ)으로 구분하였다. 근적외선 분광분석기(USB4000, ocean optics Inc., USA)를 이용하여 470~1150 nm 파장 범위의 투과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광원은 100W 텅스텐-할로겐 광원을 사용하였다. 광원과 센서의 거리는 사전 실험을 통해 도출한 사과 크기에 영향이 적은 최적의 거리 3수준(광원 125 mm와 센서 75 mm, 광원 135 mm와 센서 75 mm, 광원 135 mm와 센서 80 mm)으로 설정했다. 3수준의 각 거리마다 과일의 투과 스펙트럼과 당도를 측정한 후 분석 프로그램(Unscrambler® X)을 사용하여 PLSR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훈련 세트와 검증 세트는 7:3의 비율로 구분하였고 R2와 RMSE를 이용하여 당도 예측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Level Ⅰ, Ⅱ는 광원 135 mm와 센서 75 mm, Level Ⅲ, Ⅳ, Ⅴ은 광원 125 mm와 센서 75 mm에서 높은 당도 예측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사과 크기에 따라 분광 센싱거리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당도 예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과일 품질 측정 고도화를 위한 분광 분석에서의 광원과 센서의 최적 거리 선정

        송두진 ( Doo-jin Song ),천승우 ( Seung-woo Chun ),김민지 ( Min-jee Kim ),안치국 ( Chi-kook Ahn ),김영태 ( Young Tae Kim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소비자의 구매패턴이 고급화·다양화될수록, 색깔, 크기 등 외부품질뿐만 아니라 내부품질까지 규격화된 고품질의 농산물을 대량으로 요구하고 있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에서는 규격화된 과일 선별을 위해 투과식 분광 분석법을 적용한 비파괴 선별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으나 투과식 방법은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빛이 분산되거나 과실의 크기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다양하여 선별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품질 측정 고도화를 위한 광원과 과일, 과일과 센서의 거리에 따른 분광 특성을 구명하고, 사과 크기의 영향이 적은 광원과 센서의 최적 거리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 실험에서는 후지 품종의 사과를 사용하였고 분광분석기(USB4000, ocean optics Inc., USA)를 이용하여 470~1150 nm 파장 범위에서의 투과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광원으로는 100W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였다. 광원과 사과의 거리 5수준 (60, 70, 80, 90, 100 mm), 사과와 센서의 거리 5수준 (20, 25, 30, 35, 40 mm)으로 하였고, 광원과 센서는 사과의 적도 높이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분광 스펙트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거리 구간별로 측정된 분광 스펙트럼의 변동계수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변동계수가 작은 스펙트럼 신호를 갖는 광원과 센서의 거리 3가지을 결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과일 선별기의 품질 측정 고도화를 위한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여 선정된 광원과 센서의 거리를 검증하고 검증된 거리에 따른 당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복합담체의 전이금속촉매를 이용한 VOC(벤젠)의 산화특성 연구

        박영성,정인석,송두진,공병선 대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10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Vol.14 No.-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benzene as a VOC were investigated using a fixed bed reactor system over transition metal catalysts. The transition metal catalysts were made by using transition metal nitrate reagent and various support materials such as γ-Al2O3, and TiO2. The parametric tests were conducted at the reaction temperature range of 200~500℃, benzene concentration of 2,000~3,000 ppm with space velocity of 10000 hr-1. The property analyses such as BET, SEM, TGA and the conversions of catalytic oxidation of VOC were examin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BET surface areas of catalyst are 86.4∼167.7m2/g, the pore volumes are 0.049∼0.056cm3/g, and the average pore sizes of catalyst are 27∼44Å, which mean the meso p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version of benzene oxidation reaction at 400∼500℃ with Cu/γ-Al2O3+TiO2 catalyst showed 90∼100%, which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metal catalyst with composite supports is very effective for the oxidation of benzene.

      • KCI등재

        초등학교 토박이말 어휘지도 자료 개발

        이창수,송두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도 토박이말을 지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그것을 지도할 때 쓸 수 있는 토박이말 학습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연구자들 가까이에서 만난 많은 교사들과 학생들은 쉽게 쓸 수 있는 토박이말 자료가 없는 것을 아쉬워했다. 그리고 토박이말 관련 자료들을 모아 놓은 인터넷 누리집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이야기했다. 이러한 교육자료 수요자들의 요구에 맞춘 동영상 자료와 토박이말 전문 누리집을 마련하였다. 동영상 자료를 보고 토박이말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도록 했으며, 토박이말놀이 딱지와 토박이말 익힘책으로 더 많은 토박이말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를 담고 있으면서 더 많은 토박이말 자료를 볼 수 있는 전문 누리집을 만들어 교실, 집 등 인터넷이이 되는 곳에서 두루 활용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 자료를 활용해 본 뒤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자료제작 목적을 달성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clud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the Korean text,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2 007 was a rrang ed t o instruct T obag imal ( a native tong 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lesson materials about Tobagimal when teachers tried doing. A lot of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felt regret at lacking in the materials about a easy and useful Tobagimal, and so they expected to build an Internet website collected the materials relating to Tobagimal. Meeting these educational needs, the materials of moving picture and the special Internet website for Tobagimal were created. The materials of moving picture consisted of the motivating factors to learn Tobagimal. In addition, game cards as well as activity book on Tobagimal made students study and use it. With the above data, the special Internet website enabled students and teachers to search for more materials on Tobagimal anywhere, like a classroom or a house, to access Internet. After utilizing this data, the present writer realized that the aim of this study was achieved through teachers' and students' feedback.

      •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분광 기술을 이용한 감귤의 숙도 특성 구명

        천승우 ( Seung-woo Chun ),송두진 ( Doo-jin Song ),박수환 ( Soo-hwan Park ),이재은 ( Jae-eun Lee ),김민지 ( Min-jee Kim ),권순화 ( Soon-hwa Kwon ),유우형 ( Woo-hyeong Yu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감귤의 숙도는 당도 및 산도 등 맛이나 결함 등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서 저장 기간이나 유통 기간을 조절하여 상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현재 감귤 숙도의 기준은 껍질의 색이나 촉감 등 작업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판단되고 있어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숙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숙성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색상을 통한 분석 방법 등 외부 품질을 기준으로 판정되고 있다. 또한 내부 품질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과일을 파괴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제약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 숙도를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해 근적외선 분광 기술을 이용하여 숙도 단계별 분광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시료로 온주밀감을 사용하였으며, 숙도 단계는 제주도농업기술원의 감귤 착색 기준에 따라 총 3단계로 분류하였다. 근적외선 분광 분석기(USB4000, Ocean optics Inc., USA) 및 100W 텅스텐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여 400~1100nm 파장 범위의 투과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감귤의 당도 및 산도는 굴절당도계(PAL-3, ATAGO, Tokyo, Japan)와 당산도측정기(SAM-706AC, G-Won HITECK, Korea)로 측정하였다. 근적외선 스펙트럼과 당도/산도 정량 데이터를 통해 감귤의 숙도 단계별 특성을 구명하고, 감귤의 숙도를 예측하기 위한 부분최소제곱판별모델(PLS-DA)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근적외선 분광기술로 감귤의 숙도 판별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확 후 감귤의 당도 및 숙도 디지털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