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무슬림 이주자들의 생활영역과 초국적 성격 -서울 이태원 출입 무슬림의 사례

        송도영 ( Do Young Song ) 한국이슬람학회 201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4 No.2

        One of important reasons of argument and conflict concerning international migrant population arise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the migrants intend to install, more or less definitively, at the land of their migration. Questions of cultural adaptations, especially for migrants like foreign Muslims, become even uneasier subject surrounding ``national identity`` and ``human right of free relig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Increasing studies show, nevertheless, that today`s migrants manage their life of migration not as candidates of ``naturalization`` in the land of their migration, but as active actors in the area of ``in between`` of different nation-state arena. The concept of ``transnational social field`` emerges, in the result, an alternative model of perception for a better analysis of situation.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ity`` in everyday life spaces of foreign Muslim migrants in South Korea. Analysis of selected individuals` detailed cases here is expected to shed the light on the more flexible and active composition of transnational social field with which Muslim migrants of Korea who try to take out the maximum of benefit from their strategy of international mi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

        송도영 ( Do Young S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9 No.4

        2000년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동아시아 여러 곳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 산업 상품들의 역사적 의미를 우리는 어떤 맥락 위에 위치시켜 해석할 수 있을까? 특히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류`` 담론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안에서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개항기 이후 한국에서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형성되는 초기에서부터 절대적인 자리를 차지했던 해외문화의 유입 현상들을 정리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 형성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 한국 대중문화 안에서 자리 잡은 혼성성의 성격과 그에 대한 담론적 반응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는 대중문화 성립의 전제인 대중사회의 등장과 산업화의 진전, 그리고 그를 포함한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한국에서는 어떤 문화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졌는지를 주목하는 작업이 된다. 즉 한류 대중문화 담론을 낳기까지에 이른 현 단계 한국 대중문화의 내용상 위치를 점검함에 있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 자체에 대한 고찰로 잠시나마 다시 회귀해서 그 맥락을 짚음으로써, 그것이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과 작용의 내용들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중 한국 대중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부문화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그 실제와 성격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두고 현재 전개되는 담론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담론들의 위치를 매길 수 있게 된다. 한국 대중문화의 실질적인 발전사를 검토해보면 이는 곧 수입된 해외 대중문화의 절대적 영향력을 받아들이는 역사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중심으로 일본의 대중문화가 사실상 한국대중문화를 그 기초적 형태부터 형성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이후 해방이 이루어지고 미국의 대중문화가 더욱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도 일본과 중국 문화의 영향은 단절되지 않았으며, 각국간 대중문화 요소의 상호유입 및 시장 통합의 경향은 강화되어왔다. 그러나 후기 근대적 상황에 이른 현재 소비의 전지구화와 문화 콘텐츠의 혼성성 강화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의 각국간 영향력 경쟁 담론은 결코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새로운 형태로 재등장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환경의 힘은 애초에 일상성의 상업화를 전제로 출연한 대중문화산업과 문화소비 현상의 기초적 환경으로서 강고하게 존재하며, 매체의 전지구화와 경제의 전지구화가 단일한 형태의 세계문화(Global Culture)가 아닌, 각 지역권과 각 지방의 특성에 맞게 전지구적 요소들이 지역적으로 재구성되고 조합되는 현상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ical context of current ``Korean Wave`` phenomenon. Contemplating the process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from its daunting period,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influences of ``foreign`` cultural industry in the history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And following short analysis on the ``Korean Wave`` discourses is based on this historical context. Korean mass culture had started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Japanese and Western mass culture. It was, therefore, not an exceptional case in the general process of modernization for the Third World countries. Because, as well known, their modernization process was more or less directed in each country`s ``colonialized`` condition. In other words, it was a kin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where the dominant cultural power of the World System had a quasi-absolute influence on the weaker part. As the Chinese culture had been highly significant during Korea`s middle age, the influence of Western and Japanese mass culture has been also considerable since the beginning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Recent success for some part of Korean mass culture products --known as ``Korean Wave`` (``Hallyou`` for Korean pronunciation) - would be probably the first meaningful export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As the consequence, we can understand the enthusiasm of a part of discourses concerning this success. This discourse of enthusiasm for the ``Korean Wave`` can be even more significant when we consider actual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aspects of post-modern period. Maybe this Korean case is not exceptional. Competition for the hegemony of cultural industry, and re-territorialization of identity with that, can be a part of understandable reactions from each region, before the strong tendency of today`s cultural globalization.

      • KCI등재

        다문화 도시적 관점에서 본 지중해 이슬람 도시 : 모로코 페스의 사례연구

        송도영 ( Do Young Song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8 지중해지역연구 Vol.10 No.4

        Problematic of multi-culturalism atrracts new attention in this age of migration and globalization. It influences also area studies, especially changing perspective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y. And some case studies of societies, where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ethnic groups has long history, would be significant as reference concerning studies of multiculturalism. Mediterranean region h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history of mig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civilizations: cross-cultural communication would be even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of Mediterranean. For more close observation, I took a case of Islamic city in Mediterranean region, Fes of Morocco, for this problematic. My questions in this case study of Islamic city are follows: What and how was the diversity of ethnic and regional groups in this city? What was the logic and reality about the spatial distribution, inter-community relationship,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of urban communities, and sometimes exclusions? How the co-existence and, if we can say, multicultural organization of society functioned in that city? How some inevitable conflicts were treated in that Islamic city? And, finally,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ity, through some tumultuous history of colonialism and independence in 20th century affected its` long tradition of cultural diversity? The composition of Fez`s urban population was cosmopolitan since the founding years of the city in 8th century. Migrants from different regions of Mediterranean like Tunisia, Spain, Turkey and Arabian peninsular, first generations of Fez`s urban residents were themselves descendants of various diaspora communities. Diversity and cultural pluralism seems to be a strong tradition of Mediterranean Islamic city in this case.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ethnic, regional, and religious groups, nevertheless, did not mean the reign of total harmony. Conflicts among communities were incessant composing factors of this city. Between royal elites and civil society, and between descendants of Andalousia and those of Kayrouan, for example, efforts of negotiation did not take away history of battles and trials of mutual elimination. But principally the system of negotiation and cohabitation took the root in urban tradition of Fez.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ity and nationalism in 20th century,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This means that once acquired tradition of Fez`s cultural diversity can be under danger even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