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의 역사를 통해 본 해방 후 서울 사람의 지역정체성

        송도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4 서울학연구 Vol.- No.95

        이 논문은 해방 후 2024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서울의 도시 성장 과정 속에서 급팽창한 서울의 인구현상을 고찰하면서 ‘서울 사람으로서의 지역정체성’ 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 것인지를 질문한다. 특히 서울 문화의 역사성과 고유성 을 찾고자 했던 ‘서울 토박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해방 후 현재까지 거대도시화 과정을 겪어온 서울의 주민 지역정체성을 다루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직시한다. ‘정주성’(定住性)을 중심으로 한 지역정체성 개념을 극복하고 이주와 정착의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재조명하기 위해 이 연구 가 채택하는 주요 자료는 인구이동 통계다. 인구이동 통계자료들을 재배치하고 분석하는 것에 더하여 정성적(定性的)인 측면들을 함께 검토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구술생애사 자료들, 문학작품, 잡지 기사 및 대중 미디어 콘텐츠 등을 사용한다. 거기에 드러나거나 재현되는 서울 주민들의 정체성 의식과 형태 들을 통계자료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계수치의 내용을 구성하는 정보들을 보다 입체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해방 이후 현재까지 역동 적으로 전개되어온 이주의 규모와 빈번함은 서울 및 수도권 주민들이 특정 도시 지역에 갖는 애착과 정체성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다. 여기서 서울 주민들은 현재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통일된 지역정체성 보다는 각자 다른 이주와 정착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정체성을 가질 수 있 다. 이와 함께 인구의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1990년대 이후 서 울과 수도권 사람들의 인구이동은 새로운 방향을 보여주며, 그중에서도 각 생활권과 지역의 계층적 분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이 포착된다. 그리고 서울의 글로 벌 도시화 속에서 서울의 구성 인구 또한 국제화, 글로벌화가 전개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서울의 다종족성 및 초국적 정체성이 늘어날 가능성이 증가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 논문은 서울 사람과 관계된 기 존의 ‘정주성’ 중심의 지역정체성 개념을 극복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구조 속 의 현실을 직시하며 이에 근거한 정책적 판단과 미래 준비를 해야 함을 지적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Seoulites’ local identity from the Liberation of Ko- rea in 1945 to the present day (2024). The study begins by critiqu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course on ‘Seoul natives (seo-ul-tobagi)’ which has been adopted for several stud- ies of the historicity and uniqueness of Seoul’s culture.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concept,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a ‘stable population settlement,’ this study analyzes various demographic and statistical data that clearly illustrate the dynamic migration patterns of Seoul’s residents. Additionally, it incorporates literary works, oral his- tories, journal articles, and mass media content to address the qualitative deficiencies of the statistical data. The analysis yields several key findings: First, the local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ites appears relatively vague, following a highly dynamic process of mass migration. Second, even within the same neighborhoods, many of today’s Seoulites exhibit diverse forms of local identities. Third, this study identifies new trends in population movement since the 1990s, particularly a strong inward migration within Seoul’s mega-city area, and notable stratifica- tion among its districts and neighborhoods. Lastly, since the early 2000s,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have emerged as significant trends, highlighted by the influx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this period. The conclus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urban studies and policy-making in Seoul to integrate these insights, proposing that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se dimensions is crucial for constructing a substantive and actionable knowledge base concerning the local identities, mindset, and behaviors of Seoul’s resi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프랑스 이주민 거주구역의 인구성격과 공간변화

        송도영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다문화사회연구 Vol.2 No.2

        This article takes a case of Paris' 20th district which has reputation ofhighly concentrated immigrant population. The problematics of this casestudy are; transformation of identity for immigrants and their strategy ofadaptation, conditions of integration, paradox between 'integration'toward one mainstream culture and assumption about a juxtaposedexistence of different cultures, identity crisis for mainstream culture infront of immigrants' 'integration' etc. Paris' 20th district case is offeringalso transformation and transition of spatial identity with different stepsof historical dynamics intertwined with migrations in each different periodof time. More peculiar point in this case study would be the coexistence ofdifferent images about the same urban district where the ideas of'French cultural identity' prevail while another image about 'foreignmigrants' culture' can be also one of main characteristics attached onthe same places. In a conflictual situation of urban redevelopmentproject, these paradoxical elements about cultural identity for the samedistrict have been mobilized as strong discourse instruments. Conceptsrelated with 'multiculturalism' were employed there frequently. But thevery idea of 'cultural identity in crisis' provoked by the perspective ofmigrants'(especially non-European) integration/ or resistance to integrationcould not resolve the roots of conflicts. 이 글은 현대의 전지구적 인구이동과 이주현상에 관련된 문제의식들 이주민의 정체성 변화, 이주민들의 전략, 통합의 조건, 다양성의 공존과 통합 사이의 모순관계, 이주민의 통합이 야기하는 기존 주류사회의 문화적 정체성 위기의식과반작용 에 대해 구체적으로 점검하고자 프랑스의 이주민 구역을 사례로 다룬다. 특히 이주민 정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도시인 파리시의 도시권역의현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리시 내부의 전통적 이주민 정착지역인 20구 일대에서 인구성격이 변화하면서 나타는 도시공간과 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주민들의문화적 정체성 변화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파리의 도시사회가이주민들의 유입 및 정착과 상호작용하면서 보이는 반응, 이주민들의 정착 전략,그리고 그에 대한 작용과 반작용의 방식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이 논문은 프랑스의 파리 도시지역에서 나타나는 이주와 관련된 현상의 특수사례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보다 보편적인 문제의식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설명 방식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