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안부` 재현과 담론을 통해 본 피해자성 고찰 - <레드 마리아> 연작과 <귀향>에 주목하여 -

        송다금 ( Song Da-geu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본고의 목적은 대중 매체에서 재현하는 `위안부` 재현과 사회 담론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정체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1장에서는 대중 매체에서 `위안부` 재현의 역사와 `위안부` 문제 해결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 속에서 1차적으로 법적 피해자 지위를 획득하려 투쟁하는 쪽과 순결한 소녀상에 고정된 `위안부` 상을 해체하려는 쪽의 입장에 각각 주목한다. 2장에서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았던 영화 <귀향>과 대중적으로도 호응을 얻지 못한 영화<레드 마리아 2>에서 제시하는 상반된 `위안부` 상과 `위안부` 피해자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두 텍스트 속에는 한국 사회의 `위안부` 인식과 우리가 기억하고 공감할 수 있는 `위안부` 역사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응축되어있다. 국내 `위안부` 운동은 피해자 단체를 결성하는 액티비스트들의 영향으로 각각 다른 사정을 가진 `위안부` 피해자상을 `순결하고 온전한 피해자 소녀`에 고정하는 측면이 강한데, <귀향>은 이러한 집단 기억에 부응하는 담론을 형성하여 대외적인 피해자 권리 확보를 위해 유효한 지점이 있다. 한편 <귀향>에서 재현하는 `위안부`여성상은 재난의 재현을 시각적 스펙터클로 만듦으로써 가부장적 시각 장 안의 최하위 약자로서 피해자 정체성을 고정화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다. <레드 마리아 2>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현대 성노동자들과 연결하여 주체적 측면을 부각하는 동시에 `엄마-성노동자-`위안부`를 한 궤에 뀀으로써 자발/강제 프레임 아래 은폐된 폭력의 구조와 그간 말할 수 없던 피해자성을 제시한다. 반면 엄마와 성 판매 여성, `위안부`의 병치는 성녀/창녀 이분법적 틀을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할 위험을 내포한다. 3장에서는 특별히 다큐멘터리 장르로서 <레드 마리아>의 파격적 질문이 현실 차원의 복잡한 지형 내에서 집단 강간의 트라우마를 떨쳐버리지 못한 `위안부`에 대한 폭력과 배제로 작동하는 지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어떻게 `네이션`의 작동을 초월하여 여성 인권 확장에 기여하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 또한 <레드 마리아 2>에서 `위안부` 정체성과 매춘부를 겹쳐놓는것이 `위안부` 피해의 본질을 자발적 매춘으로 전도할 수 있는 반면 `네이션`의 개념을 해체하여 `위안부` 피해자성의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한다. 4장에서는 두 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먼저 공적 기억 담론을 저장하고 생산하는 대중매체에서의 `위안부` 재현에 대한 연구로서 `소녀`가 각종 매체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는 작업이다. 식민지 조선 시대, 미성년에서 성년인 주체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폭압을 겪어야 했던 소녀에 대한 재현은 시대와 대중적 갈망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속적인 추적을 통해 현재성을 확보함이 필요하다. 아울러 본고는 패전 이후 일본사회와 미연합군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파생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일본패전 이후 `위안부` 제도 또한 식민주의의 결과물로서 `위안부` 문제의 피해자성 형성의 복잡한 관계 양상을 증명하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dentity of victimized “comfort wome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and social discourse reproduced in mass media. Chapter 1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positions regarding the social debate on the history of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mass media and the solution of the “comfort women” problem: 1) to obtain the primary status of legal victim and 2) to remove “comfort women” statues based on chaste Sonyeosang (statues of girl). Chapter 2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comfort women” statues and “comfort women” victimhood that is conflictingly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movies: the publicly recognized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and the unpopular movie “Red Maria II.” Both movies express the national desire for awareness of “comfort women” in Korean society and for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that we can remember and sympathize with. While the domestic “comfort women” move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ctivists who form the victim group―has a strong element of considering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s the “pure and innocent girl victims,” the movie “Gwihyang” forms the discourse that responds to these collective memories and thus makes a valid point for securing victims` rights publicly.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comfort women” portrayed in “Gwihyang” connotes the risk of establishing the victim`s identity by mak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disaster into the visual spectacle. “Red Maria II” not only emphasizes the independent aspect by connecting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with contemporary sex workers but also suggests the structure of violence concealed under the voluntary/forced frame and the victimhoo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by juxtaposing mothers, sex workers, and “comfort women.” On the other hand, the juxtaposition of mothers, sex workers, and “comfort women” has the element of strengthening the dichotomous frame of saint/prostitute rather than weakening it. Chapter 3 points out that the deconstructive question of “Red Maria,” specifically as the documentary genre, works for the violence and exclusion of “comfort women” who could not dismiss the trauma of group-rape under the complicated environment at the level of reality. At the same time, this chapter examines whether this question possibly transcends the work of “nation” and contributes to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In addition, this chapter confirms that the overlapping of the identity of “comfort women” and prostitutes not only leads the essence of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to voluntary prostitution but also broadens the spectrum of the victimhood of “comfort women” by expanding the concept of “nation.” Chapter 4 discusses the reason why the public reactions to the two movies severely crisscrossed in terms of this study`s context and examines the meaning of each movie. In summary, the identity of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is multi-layered, so considering it as a conflict between two nations or defining it as a crime that violates women`s human rights not only simplifies the debate but also creates a new exclusion. Lastly, this paper proposes two future stu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mass media, which stores and produces the discourses of public memories, and trace how the “girl” is represented in various media. The representation of the “girl,” who was forced to experience oppression while growing up from a minor into an adult during the colonial Joseon period varies depending on the period and public desire. He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ewness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this paper about the “comfort women” who are newly derived from relationships within Japanese society, the U.S. coalition, and South Korea after Japan`s defeat, because the “comfort women” policy after Japan`s defeat is the result of colonialism and is the evidence that proves the complicated relational aspect of the formation of victimhood among “comfort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