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마을농악의 전승구도 변화와 현실 대응 -전남 남해안지역 마을농악을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마을농악의 과거와 현재를 전승구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글이다. 마을농악은 20세기 초·중반까지 당대의 주류문화로 기능했으나 차츰비주류의 마이너적인 문화가 되었고, 이제 명맥만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의 신명난 굿판은 사그라졌지만, 여전히 마을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기에 현 단계의 마을농악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본 논문을 기술하였다. 논의의 대상 지역은 전남 남해안이다. 전남 남해안은 온전한 형태의 마을농악이 전승되는 곳이고,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생명력을 유지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주류문화로 기능하던 상황에 비할 수는 없지만, 주민들 스스로 연행자가 되어 제 기능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관점에서도 논의가 가능하다. 논의의 진행은 마을농악이 주류의 문화로 인식되던 시대의 전승구도와 비주류의 문화가 된 현재의 상황을 주목해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전통시대의 농악 전승은 당대의 문화로서 누구나 쉽게 즐기는 예능이었다. 그래서 사제관계 등을 형성하지 않고도 ‘어깨너머로 배워서’ 자연스레 몸으로 읽혔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별히 농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개인적으로 가락을 기록해놓고 외우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마을에서 농악을 당대의 문화로서 쉽게 즐길 수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체계와 격식이 없지는 않았다. 농악대를 지휘해야하는 상쇠는 ‘농구’라는 치배를 두어서 어렸을 때부터 조기교육을 시켰고, 두레조직을 통해 마을문화로서 농악을 교육하기도 하였다. 또한 외부의 특출한 상쇠나 연희자를 초빙하여 마을농악을 세련된 예술로 발달시키기도 하였다. 즉, 농악은 누구나 즐기는 문화이지만, 마을 내에서 체계적인 전승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었던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기간 마을 사람들의 연행예술로서 기능해왔던 것이다. 마을농악은 현재 전승의 위기에 처해 있다. 마을민속이 전승될 수 있는 공동체가 해체되고 있고, 농악이 지금시대의 주류문화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점에서 두 가지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 마을농악에서는 전승세대의 빈자리를 여성들로 채움으로써 생명력을 연장하고 있다. 또한 공연과 대회, 축제 등에 참가하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새로운 전승력을 창출하고 있다. 마을농악대의 외부활동과 국가적 간섭은 정상적인 농악 전승을 왜곡시키지만, 이러한 활동과 외부의 관심은 마을농악의 문화적 권위를 높이는 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을농악은 더 이상 주류문화의 자리를 지키지 못한다. 이제는 주류문화의 자리를 대중문화에 내어주고 스스로 전통문화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마당밟이 과정이나 판굿을 치는 중간에 농악소리가 잦아들면 뽕짝노래가 흘러나온다. 마을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농악도 즐기고 뽕짝도 즐기면서 축제로서 농악판을 즐기고 있다. 농악이 필요한 공간에서는 반드시 절차를 지켜서 연행하지만, 축제적 굿판이 마련되면 뽕짝노래도 부르고 농악도 치면서 스스로의 축제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한편에서는 마을농악을 존속시키기 위한 노력도 진행하고 있고, 마을농악을 지역농악으로 확장하기도 하며,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복원하고 계승하는 의미에서 단절된 농악을 재생하기도 한다. 결국 마을농악은 현 시대의 주류문화는 아니지만 변화에 적응하면서 현재의 문화로 기능하고, 전승주체들의 노력을 통해 생명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has been prepared after reviewing the past and present of local nongak (a term referring to a traditional folk performance held by farmers throughout Korea) in terms of the changes of transmission of tradition to new generations. A basic precondition for the past and present is whether nongak is a mainstream culture or becoming minor culture on the fringe of society. The target area is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Jeonnam.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are the places where local nongak is soundly handed down and maintaining its vitality by coping with the chronological changes. Although it can be compared with past nongak which was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it can be discussed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because local residents are making efforts to preserve nongak by themselves. A discussion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transmission of local nongak of the times when it was recognized as a mainstream cul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considering it as a minor culture. Nongak of the past was a type of entertainment that everyone could easily enjo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people could naturally adopt it without establishing a teacher-pupil relationship. It was easy to find people who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nongak and recorded the melodies to help remember them. Although people could easily enjoy the mainstream culture of nongak in the villages, it doesn``t mean that nongak didn``t have its systems and formalities. A ‘sangsoi’ (leading gong-player) who lead the nongak band received early education from a music player called a ‘chibae’ (Also referred to as ``nonggu``) and Korean farmer``s cooperative groups teach people nongak as a part of local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people tried to develop local nongak to become a more sophisticated art form by inviting outstanding sangsoi or entertainers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nongak was not only a culture for everyone but also has its own structure for systematic transmission of tradition to new generations in the villages. This is the reason why nongak could be handed down as a performing art in the villages for a long time. Currently, local nongak is facing danger. Nongak is facing two crises; Local communities, where nongak was supposed to be handed down, are being dismantled and nongak are not able to remain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these days. Local nongak is maintaining its vitality by filling vacancies with women. In addition, they are trying to hand down nongak by participating in various shows, contests, and festivals and on the strength of its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external activities of local nongak bands and the governmental interference may distort the normal transmission of nongak, but such activities and external interests improve the cultural status of local nongak. Local nongak is no longer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It conceded to popular culture for having its cultural status remaining to be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and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tradition culture. In a nongak show, a ‘teuroteu song’ (a combination of Korean musical forms, involving trot, jazz and traditional music) comes out when the sounds of nongak dies away. Local residents often enjoy nongak as a part of festivals for their teuroteu songs. The traditional procedures are followed when formal nongak is necessary, but people sometimes enjoy informal nongak with teuroteu songs to add entertainment value for festivals. Meanwhile, people are trying to preserve local nongak, extend local nongak to regional nongak, and reproduce forgotten nongak for recovering and passing down local cultural traditions. In conclusion, even though local nongak is no longer a part of mainstream culture these days, it has adapted to change, is continuing to act as a part of culture, and maintaining its vitality based on the efforts of successors.

      • KCI등재

        열열화된 PVC 케이블의 부분방전 진단

        송기태,이성일,Song, Ki-Tae,Lee, Sung-Ill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4 No.3

        In this thesis, the partial discharge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and variations of cross-sectional area and length of the conductor related to general condition for using cable was measured in order to study degradation diagnosis for 2-Core cable of the PVC insulator used in industrial fields for other safety installations. Also the thermal degradation conditions under various installation circumstances of cables were studied by assuming degradation conditions with each different degradation rate (50%, 67%, 100%) such as variation in degradated temperature, thermal exposure time, normal state, partially degradated state and overall degradated state for thermal degradation diagnosis.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V-Q)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was measured for measurement of inception voltage and extinction voltage.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and the number of electric discharge (Q-N) were measured with applied voltage kept constantly. In addition, pictures were taken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to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and als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urface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exposure time of cables to thermal stress.

      • KCI등재

        거문도 바다사람의 자긍심과 민속전승의 원동력 -거문도 뱃노래와 풍어제 전승을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섬사람들은 뭍사람들에게 홀대받아온 경향이 없지 않다. 역사적으로도 섬은 절해고도로 인식되었고 좌천된 이들의 유배지로 이용되었다. 왜구의 침략을 피해 섬을 비우기까지 했으니, 뭍사람의 관점에서 섬은 버려진 땅이었고 섬사람들 또한 경시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현재까지도 잔존해있는 섬과 섬사람의 이미지 중 하나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서 섬지역인 거문도 사람들이 스스로 ‘바다사람’의 후예라고 자랑스럽게 여기고, 그것을 민속 전승과 연계시키고 있어서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뱃노래와 풍어제, 헌식 등 민속 전승의 기저에이런 자긍심이 작용하고 있음을 주목하여 지역의 정체성 형성과 그 배경에 천착하였다. 주민들 스스로 ‘바다사람’의 긍지를 지니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최근 일본과의 독도 분쟁이 국가적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거문도 사람들은 ‘아무도 울릉도.독도에 관심을 갖지 않을 때 우리 조상들이 울릉도와 독도를 개척했다’는 역사적 자각을 하게 되었다. 조선이 영국에 영토를 점령당하기도 했는데, 거문도 사람들은 이때를 계기로 ‘학문이 뛰어난섬’의 뜻을 지닌 거문도(巨文島)라는 지명이 고착되었다고 말한다. 주민들은 ‘바다사나이’의개척 정신으로 지역의 역사와 새 전통을 일구고 있는 것이다. 거문도 사람들의 자긍심은 활발히 전승되고 있는 뱃노래와 풍어제에서 드러난다. 뱃노래는 1972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후 지금까지 여러 차례 각색되고 복원되면서 섬 주민들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노래로 자리잡았다. 어로활동을 하면서 불렀던 노동요는 문화적으로 인정을 받아 무형문화재가 되었고, 그 노래들은 고기잡이 전체 과정을 보여주는 공연으로 연출되면서 울릉도를 개척한 조상들의 내력을 담아내게 되었다. 바다제사의 일환인 풍어제는 1985년 수협이 주관하는 행사로 추진되었다. 거문도 주민들은 30년이 넘도록 이를 계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명맥을 다해가던 고두리영감제와 거북제 등을 풍어제 행사로 복원하여 거문도의 전통으로 내세웠다. 행사 날짜를 음력 4월 15일로 정하여 수협의 풍어제가 울릉도를 개척하는 선조들을 기리도록 했으며, 거문도의 역사성을 부여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거문도 풍어제는 단합의 장을 마련하는 축제로 거듭나고 있고, 섬의 전통을 새롭게 일구어내면서 바다사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 Islanders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by landlubbers. Historically, islands have been considered as being remote and used as places of exile. In addition, as islands were even evacuated due to Japanese invasions, mainland people considered the islands as abandoned lands and looked down on islanders. Despite these situations, people in Geomundo have been living with their own pride of being descendants of ‘sea people’.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folklore transmissions of the Boating Song and Fishing Ritual are related to that pride, and therefore, researched was conducted on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the residents’ identities. It has not been that long since the residents had the pride of ‘sea people’ evolve and peak on its own. Recently, the Dokdo territorial dispute with Japan has become a national interest. Geomundo people were able to historically declare that ‘when no one was interested in Ulleungdo and Dokdo, our ancestors pioneered Ulleungdo and Dokdo’. Geomundo residents insist that when the territory of Joseon Dynasty was once occupied by Britain, the name ‘Geomundo’, which means ‘an island with outstanding academic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pioneer spirit of ‘sea man’, residents are now cultivating the history and new traditions of the area. The pride of Geomundo descendants can be seen in the Boating Song and Fishing Ritual that i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The Boating Song, designated as the No. 1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eollanam-do in 1972, has seen numerous dramatizations and restorations to become the song that embodies the islanders`` identities. Uoroyo, sung at the time of fishing, wasculturally acclaimed and became another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both songs were staged as a performance that helped demonstrate the fishing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ancestors who pioneered Ulleungdo. The Fishing Ritual is a form of sea ritual that became an event run by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NFFC) in 1985. The residents of Geomundo has been inheriting this ritual for 30 years. Moreover, the Fishing Ritual celebration helped restore otherdisappearing folk rituals and allow them to become traditions of Geomundo. On the event day, April 15 in the lunar calendar, the Fishing Ritual by NFFC is performed as the ‘day to celebrate ancestors who pioneered Ulleungdo’, as a tool to highligh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eomundo. The Geomundo Fishing Ritual is becoming a festival for seeking unification and contributing to embracing the identity ofsea people through new traditions.

      • KCI등재

        반 정량적 리스크 저감 요소를 고려한철도 승강장 스크린 도어시스템의 안전 무결성 수준 할당

        송기태 ( Ki Tae Song ),이성일 ( Sung Ill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4

        There exists required safety integrity level (SIL) to assur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ery electrical / electronics / control equipment or systems with safety related functions. The SIL is allocated from lowest level (level 0) to highest level (level 4). In order to guarantee certain safety level that is internationally acceptable,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SIL allocation and demonstration based on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s required. Howev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y for safety integrity level is barely under way in the domestic railway industry. This research studied not only the global process of SIL allocation to guarante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afety related equipment and system, but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semi-quantitative methodology as alternative way for SIL allocation. Specifically, the systematic SIL allocation for platform screen door system of railway is studied applying the semi-quantitative methodology in order to save much time and effort compared to quantitative method.

      • 철도차량의 효과적 RCM 적용을 위한 LTA로직 개발

        송기태(Song Kee-Tae),김민호(Kim Min-Ho),백영구(Baek Young-Gu),신건영(Shin Kun-young),이기서(Lee Key-Seo)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n applicable logic on the characteristics of Rolling stocks will be proposed. In general, this logic which means decision logic or LTA(Logic Tree Analysis) is used to analyze how the failure mode have an effects on the system. The effect would be categorized as safety, operational, economical, etc. To do this, based on the typical logics which have been applied to other industries, such as plants, aero, etc. This paper emphasizes two crucial parameters that is one cost the other customer service, that have an important role in railway system operation. In conclusion, as mentioned above as the logic for which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railway system(RST) w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Risk Graph에 의해 할당된 SIL에 따른 철도 승강장 도어 시스템의 정량적 Risk 저감 모델

        송기태 ( Ki Tae Song ),이성일 ( Sung Ill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5

        There exists required safety integrity level (SIL) to assure safe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ery electrical / electronics / control equipment or systems with safety related functions. The SIL is allocated from lowest level (level 0) to highest level (level 4). In order to guarantee certain safety level that is internationally acceptable,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SIL allocation and demonstration based on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s required. Especially, in case of the SIL allocation method without determining of quantitative tolerable risk, the additional review is needed to check whether it is suitable or not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risk reduction model based on the safety integrity allocation results of railway platform screen door system using Risk Graph method has been examined in order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quantitative risk reduction according to allocated safety integrity level.

      • KCI등재

        "어획(漁獲)"과 "어경(漁耕)"의 생태문화적 기반과 어업집단의 신화적 형상화 -조기잡이신화와 영등신화를 중심으로-

        송기태 ( Ki Tae Song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6

        바다의 문화는 오랫동안 ‘고기를 잡는다’라고 하는 ‘어획(漁獲)’의 측면에 중점이 있었다. 그러다가 근대에 이르러 양식기술이 도입되면서 바다도 육지처럼 경작의 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즉, ‘어 경(漁 耕)’의 공간이 된 것이다. 특히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 일대는 해조류와 패류의 양식장으로 빈틈이 없을 정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획과 어 경의 문화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어로기원신화를 비교하였다. 먼저 바다의 문명사라는 관점에서 ‘어획’과 ‘어 경’을 구분하고, 독자적으로 전승되고 연구되던 조기잡이신화와 영 등신화를 비교하여 어로기원신화의 문명사적 위상과 성격을 규정하려고 했다. 이러한 시도는 그 동안의 문명기원신화를 농경기원신화와 동일시하는 내륙적 시각에서 벗어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어업문명사적 관점에서 서해안의 조기잡이신화와 제주도의 영 등신화는 ‘어획’과‘어 경’을 대표하는 신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어업문명의 전환은 근대어업과 양식업이 도입된 100여 년 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본고에서는 어로기원신화에 생업현장의 현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신화에 내재된 ‘경작하는 바다’에 대한 인식과 형상화에 대해 논의했다. 조기잡이신화는 서해안의 어촌마을과 고기잡이 선원들에게 전하는 신화다. 조선시대 때 임경업이라는 장군이 중국으로 건너가는 길에 식량이 떨어지자 갯벌에 가시나무를 꽂아 조기를 잡게 했다는 이야기이다. 조기잡이신화는 마을의 공동체 제의와 풍어제에서 구송되고 의례적으로 재현된다. 조기잡이신화는 어로기술의 변화에 적응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 등신화는 영등할머니가 바다 건너에서 제주도로 오면서 농작물과 해산물의 씨앗을 뿌려준다는 내용이다. 제주도에서는 해녀들을 중심으로 의례와 신화가 전승되고, 풍어의례에서 바닷가에 씨앗을 뿌리는 행위를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영 등신화와 그 의례는 농경적 사고의 전이로 추정된다. 해안가의 해조류 채취와 패류채취 과정이 경작관념과 경작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지만, 영 등신화의 기본 토대는 농경에 있다고 보았다. 제주도의 경우 최근에 들어서 양식어업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Culture related to the sea focusses on fishing, and specifically ``fish catching``. With the advent of modern times, however, and the introduction of aquaculture farming techniques, the seas were transformed into cultivation areas in the same manner as on land, in becoming areas of ``agricultural fishing.’ The whole area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is now farmlands for marine plants and shellfish. In this study, fishery origin myths are compar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The concepts of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were first classified from a viewpoint concerning the history of cultivation. The traditionally passed down myth of shell harvesting, and the ``Goddess of the sea`` myth were research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status of fishery origin myths and the nature of cultivation history. This was a purposeful effort to break out of the civilization origin myth which is equated with the agricultural origin myth.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fishing culture, the west coast shell harvesting myths and Jeju-do`s ``Goddess of the Sea myth`` are classic myths concerning ``fish catching`` and ``agricultural fishing.`` However, the changeover of fishing culture actually began just one hundred years ago,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fishing and aquaculture techniques. Viewing writing from this understanding, the truth concerning thecultural shifts viewed through fishery origin myths was ascertained. On the basis of these myths, an awareness and embodiment of the inherent ``cultivated sea`` was discussed. The myth of shell harvesting is a myth handed down in west coast fishing villages and by fisherman who catch fish. It tells the story of a general named Lim Kyung Up from the Joseon Dynasty who stuck a thorn bush in a mud flat during a journey to China, to try and harvest shellfish after his food had run out. The myth of shellfish harvesting is offered by the village communities, recited in a ritual, and ceremonially reenacted. This myth of shellfish harvesting is understood to have been adjusted to incorporate changes in fishery techniques. The ``Goddess of the Sea`` myth is the story of Grandmother Yeung-Deung who sprinkled crop seeds and shellfish when crossing the sea to Jeju-do. In Jeju-do, the myth and ceremony is passed down to female divers, and the ceremonial habit of sprinkling seeds in the sea is reenacted for big catches. The ``Goddess of the Sea`` myth and attendant ritual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an agricultural shift that spread from person to person. The process of gathering marine plants and shellfish along the shore illustrates the methodology of cultivation and farming, but the original foundation of the ``Goddess of the Sea`` myth reveals its connection to agriculture. This is due to the emergence of an aquaculture industry in Jeju-do in recent times.

      • KCI등재후보

        서남해안지역 걸립 문서에 나타난 지향과 문화적 권위

        송기태(Song Ki-Tae)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서남해안지역의 걸립 문서를 점검하여 문서의 내용과 성격, 문서를 통해서 드러나는 지향, 문화적 의미 등을 살펴보고 있다. 겉으로는 걸립 문서를 검토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연희집단과 풍물굿 속에 용해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들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역사적 상황 속에서 수용된 군사문화나 걸립패의 연희들이 풍물굿의 존재양상을 좀 더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논의의 대상은 서남안지역에 전하는 걸립 문서다. 구체적으로는 해남 대흥사의 〈設儺規式〉과 진도 지산면 소포리의 걸궁문서, 완도 금일읍 월송리의 〈他來金鼓與本村公爭去來文〉, 해남 옥연리의 〈軍鼓聽令及陣法〉과 〈농악대상식서〉다. 이들 5개의 걸립 문서는 독자적으로 기록되고 전해진 것이기 때문에 성격이 조금씩 다르지만, 걸립의 내용을 기록한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리고 크게 절걸립 계통과 조금씩 다르지만, 걸립의 내용을 기록한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리고 크게 절걸립 계통과 마을걸립 계통의 문서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문서는 계통에 따라 기술방식을 달리한다. 절걸립 계통의 문서에는 걸립패와 대상 마을 간의 격식과 절차가 주로 기록되어 있고, 마을걸립 계통의 문서에는 연희내용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문서 기술상의 차이와는 달리 절걸립이나 마을걸립 모두 지역의 풍물굿 연희자들이 결합되었기 때문에 연희자의 구성이나 연희내용은 풍물굿과 크게 다르지 않다. 걸립 문서들에서 공통적인 지향이 드러난다. 대부분의 문서에서 연행자들을 軍中이라고 표현하고, 군사적인 관련성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특히 걸립 문서와 조선후기 병법서가 일치하는 대목도 있고, 병법서를 모방한 흔적이 보인다. 걸립패들은 공공의 기금마련이라는 대의명분을 가지고 활동을 하는데, 결국 예능을 선보이고 대가를 받아야 했기 때문에 연희활동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것의 일환으로 활용된 것이 문서와 격식, 군법에 대한 지향 등이다. 문서와 격식이라는 점은 주로 절걸립패에서 나타나는 것인데, 이러한 문서와 격식이 민간에 수용되면서 문화적 권위를 표출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군법에 대한 지향도 군사훈련에 대한 모방으로 이어지면서 문화적 권위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meaning and cultural power of geolip through diverse historical documents regarding geolip in southwe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by examining the cultural elements found in various groups of traditional Korean entertainers and pungmulgut in their historical context. The historical documents surveyed in this study include 〈設儺規式〉 in Daeheungsa Temple in Haenam, Geolgungmunseo in Sopo-ri, Jisan-myeon, Jindo, 〈他來金鼓與本村公爭去來文〉 in Wolsong-ni, Geumil-eup, Wando, 〈軍鼓聽令及陣法〉 and 〈농악대상식서〉 in Okyeon-ni, Haenam While all these five documents deal with geolip, they focus on its different aspects and ate classified largely into two groups : the documents on jeol geolip and related topics and those on maeul geolip and related topics. The documents on jeol (Buddhist temple) geolip-related topics describe jeol geolip troupes and the formalities and tests they had to pass in order to be allowed to perform in a village, while those maeul (village) geolip-related topics give rather detailed accounts of the folk entertainment.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jeol geolip and maeul geolip, as both jeol geolip and maul geolip performers worked together with pungmul gut performers in their local regions. The five historical documents share certain characteristics. Most of the documents refer to the entertainers as gunjung, emphasizing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military, as some portions of the documents correspond with those of a book on military tactic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nd some others indicate that they were modeled on military documents. The geolip troupes give performances to raise money or grain for the public interest. However, it seems that they needed their own strategies for their artistic activities in order to get paid more for their performances. Jeol geolip troupes utilized military documents and formalities and used them probably as the means to express their cultural power. Likewise, military training and laws were also likely to have been utilized by geolip troupes in an attempt to gain cultural power.

      • KCI등재

        농촌과 어촌의 전통적 노동공동체 비교

        송기태(Song, Ki-Tae)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5

        농촌의 두레는 경작을 위한 의무가 강하고 어촌의 갱번조직은 분배를 위한 권리가 강하다. 소유와 생산 간의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공동노동의 시기와 성격이 다르고, 구성원의 규약이나 활동의 확장성 등에서 차이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렇듯 차이가 극명한 두 노동공동체를 비교하였다. 농촌에서 두레는 조선시대 이앙법의 시행과 함께 등장한 조직이다. 이앙법의 도입은 경작의 기술을 좀 더 발전시켰으나 잡초를 제어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였고, 농민들은 잡초제거를 위해 두레를 결성하게 된다. 이앙법을 통해 벼와 잡초의 서식지가 확연히 구분되면서 집단 노동은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고, 두레는 강제성을 띤 공동체 조직으로 정착하였다. 해안가에서 해조류가 서식하는 갱번은 경작과 수렵의 중간지대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갱번조직은 해조류채취조직으로서 주로 미역 포자가 바위에 착상하는 시기에 갯바위를 닦아내고, 미역이 성장할 때 바닷물을 뿌려주며, 미역이 성장을 마치면 공동으로 채취하여 분배한다. 갱번의 해조류는 자연산이지만 인간의 손길을 가하여 `자연산 경작`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산 경작은 `파종-관리-수확`의 경장과정을 온전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불완전경작이기 때문에 파종은 자연에 맡기고, 수확하는 과정에 노동력을 집중하고 균등한 분배에 노력을 기울인다. 갱번조직이 소유와 분배의 평등에 민감한 이유는 공유에 기반을 두고 있는 측면이 있지만, 불완전경작을 유지하고 있는 점도 중요한 이유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두레는 경작기술이 발달되는 과정에서 자연의 힘에 대응하기 위해 소유관계를 넘어선 의무공동체로 정착하였고, 갱번조직은 불완전경작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어렵(漁獵)적 성격을 유지하는 측면이 강조된 권리동동체로 장착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표면으로 보이는 의무공동체와 권리공동체는 실제 운영과정에서 의무와 권리 양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각종 장치들을 구축해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레는 노동인지 놀이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운영방식이 특수했고, 갱번조직은 입호제도(入戶制度)를 통해 권리에 상응하는 의무를 부여해놓았다. 공통적인 점은 두레나 갱번조직 모두 노동공동체이면서도 마을공동체를 지속하기 위해 권리와 의무를 강화시킨 점이다. 두레는 노동의 의무에 상응하는 마을운영권을 부여하였고, 갱번조직은 소유의 권리에 상응하는 마을구성원으로서의 의무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두레와 갱번조직은 의무와 권리라는 측면에서 편중된 것처럼 보이지만 노동에 국한되지 않은 운영방식과 활동상을 통해 권리와 의무의 균형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