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가로등을 이용한 도시 보행자 정보 수집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송규만(Song Kyu-Man),장지영(Jang Ji-You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9

        The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s can be used for the base data of city construction. Especially, the pedestrian 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of trade-area analysis. However, the way of collecting the pedestrian data is still rough, in other words it is still counting over by people manually. In the end, the pedestrian data is hard to keep updating and the reliability of data is low.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pedestrian data collection method using the ubiquitous streetlight. The streetlight is one of the basic urban infrastructures and if the streetlight which is applied the ubiquitous technologies is used for the urban monitoring devices; it can collect the pedestrian data in more detail. For those things, this study makes a feasibility experiment about collecting pedestrian data and using it with the ubiquitous streetlight as an urban monitoring device and also analyzes/verifies it through developing prototype system.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대형 설계사무소의 효율적 설계프로세스를 위한 BIM의 도입에 관한 인식 및 활용의 비교분석

        송규만(Song Kyu Man),전용석(John Yong Seok),송규만(Song Kyu Ma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BIM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 기술적 한계와 역량의 분석을 토대로, 국내외 대형설계사무소에서의 활용실태와 사용자들의 인식에 관해 체계적인 비교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설계업무에 있어서의 적용 실태와현존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BIM의 국내 정착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BIM을 활용해 온 국내와 미국의 대형건축설계 사무소들의 다양한 직급별 설계 담당자로 한정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한 설문의 내용은 BIM의 기능을 설계 프로세스에 따른 제공기능과 활용목적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BIM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설계 단계별 BIM의 활용범위, BIM의 주요 기능별 활용도 등에 관한 총 42문항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인 국내?외 설계사무소들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경우 BIM의 활용이 아직까지는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협력사들의 BIM 사용도가 극히 낮아서 효과적인 협업을 기대하기는 아직 이른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BIM이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적 기능들의 활용은 국내 뿐 아니라 이번 연구 대상인 미국의 경우에도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사내 BIM 교육 및 투자, BIM시스템의 능동적인 적용 등은 국내 건축설계 업체들이 BIM의 활성화를 위해서 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주도해 나아가야 하는 부분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pplication and users’ awareness of BIM system at architectural design firms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to overcome obstacles and problems regarding utilization of BIM system for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This study chose six major architectural firms in Korea and USA and conducted th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survey and interview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BIM. The result shows that domestic BIM usage is still being quite limited mainly due to lack of major architectural firms" commitment and investments. The fact that most other cooperative parties are not accustomed to BIM work flow is also a problematic, compared to those cases in the US. Althoug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IM provides are not being fully applied both in the US and Korea, the fact that the major firms in the US have been taking active parts in utilizing BIM in the industry did help buil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BIM application in their country, and that can be a role model for our major firms.

      • KCI등재

        화력 발전기 보일러 내부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송규,윤찬녕,신영하,신정훈,한성희,장동영,Song K.,Yun, C.N.,Shin, Y.H.,Shin, J.H.,Han, S.H.,Jang, D.Y. 한국안전학회 2021 한국안전학회지 Vol.36 No.5

        There are regularly planned overhaul periods in thermal power plants, which involve the maintenance of the boiler of the power plants. However, thermal power plants workers are always exposed to risk during overhaul periods owing to the narrow space and significant dust inside the boiler.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safety monitoring system that is suitable for operating in this type of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not only a worker three-dimensional (3D)-location monitoring system that can monitor and record the entry/exit of workers, their 3D-location, and fall accidents but also a method to secur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operation efficiency. This system comprises of a worker tag, which was equipped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and the tags were given to each worker. In addition, the location of workers inside the boiler was measured using a pedestrian dead reckoning (PDR) method and BLE beacons. The location data of the workers tag wer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database (DB) server through a gateway, and to the administrator monitoring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demonstrated inside an actual thermal power plant boiler, and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were verified through a number of repeated tests.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on designing a new system for monitoring enclosed spaces.

      • KCI등재

        현대건축에서 인터랙티브적 외피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송규만(Song Kyu-Man),김원(Kim Wo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2

        This study is to focus on finding problems of interactive contemporary architecture envelopes as urban space and solve them. After Le Corbusier's Dom-ino theory, the envelopes of the structures are now composing an attractive consideration as they grew into a free element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tructure itself. However, this phenomenon is staying as brining only the entertaining element, namely signboards, into relief and forcing one-way communications to the external observers as well as the internal users. In case of previous studies, that only introduce about examples of interactive building envelopes. Therefore, objective study is insufficient. Thus, on the basis of domestic cases, we did survey on 30 people in 7 different places and interviewed them individually which were 210 people in total. Survey was composed of 3 topics; Natural features, recognition, variety and harmony with the urban space. After the survey, how two buildings and public facilities were compared in different conditions by selecting a differ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ces appear to proceed further by an analysis of whether the location and size, affect o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uilding also investigated. A mutual complementary cooperation was applied wi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Interactive architecture envelopes to complement the current problems.

      • KCI등재

        비정형 건축형태 구현을 위한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과 제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송규만(Song Kyu Man),이경윤(Lee Kyeng 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건축에서 디지털 도구는 설계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활용되기 시작하여, 형태의 생성과 같이 창조적인 작업을 위한 도구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롭고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닌 건축물과 공간들은 디지털 디자인도구와 디지털 공작기의 도입으로 가능해 졌으며,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기법의 실행을 통해 현실과 이론의 차이와 문제점을 검증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디자인/제작 프로세스를 이용한 작품사례들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구현기법을 선행연구에서 제안하는 분류를 재적용해 정리하였으며, 실제 디자인과 제작실험을 통해 물리적 제작에 있어서의 특성을 검증하고 실제적 구현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연속적인 작업을 통합 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설계하고, 매개변수 중 가공 재료에 따른 기계적 설정값을 제안함으로써 실제 가공 오차와 한계를 줄이는 디지털 제작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절단 방식의 공작기를 활용한 디지털 제작과정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제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통합적 스크립트와 가공재료에 따른 기계적 해결 방안은 설계자로 하여금 디자인과 시공과정을 통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ools to the form of the creation of man since the 1990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machine tools to take advantage of the physical implementation research on actually build in the construction of the digital production process needs to be started. Disappeared after Modernism traces of the past form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egan to rise again. in the digital construction process of the last step CNC is actually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Schools and organizations future acts performed in an experimental project construc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potential. These cases by comparing the architectur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igital production technology is presented. Finally,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using a digital process that is practical experiments. By experimenting with various forms and materials,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production. This digital production technology between the virtual model and the physical artifacts, Find out how to control. Evaluat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NC and thereby current address and possibilities of digital production technology is presented.

      • 안도 다다오(Ando Tadao)의 도심형주거와 근교형주거의 공간 특성 분석

        송규일(Song, Kyu-Il),김수현(Kim, Su-Hyun),김용성(Kim, Yong-S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Ando Tadao"s five urban and suburban residential spaces. To observe each residential spaces, we set representative standard such as site, space program, and main space elements. At this point, we intensively analyze how site affect to space program and how space program affect to main space elements-sight, circulation and light. After this, we look into what is in common and what is in different.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부티크 호텔의 건축적 프로그램 분석

        송규만(Song, Kyuman),유지인(Yoo, Ji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부티크 호텔은 개인의 개성이 나타나는 독창적인 공간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특징으로 하는 신개념의 호텔이다. 부티크 호텔은 지난 30년간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대형화되고 체인화 된 호텔시장에서 소규모 호텔의 호황을 가져왔다. 특히 라이프스타일은 고객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호텔을 선택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호텔의 규모는 작아지고, 프로그램은 소수로 집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티크 호텔의 프로그램이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류된 라이프스타일의 유형과 부티크 호텔의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의 욕구를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부티크 호텔에서의 특징적 프로그램은 가치 유형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5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본 논문에서 부티크 호텔들의 특징을 통하여 새로운 유형의 라이프스타일 호텔을 제안한다. Boutique hotel is new concept of hotel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creative space and differen tiated service. In the past 30 years, boutique hotel has been boomed against hotel franchise by reflecting fast-changing lifestyle trends. Specifically, lifestyle which reflects individual valu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oice of hotel. Nowadays, the size of hotel becomes com pact and programs are highly customized to individual guest, to reflect various customers need.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at applications of program to boutique hotel based on individual lifestyle and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and program presentation. The result we present will be useful to predict market trends and grasping customers need based on lifestyle we categorized. Characteristic programs in boutique hotel are categorized as five, according to the value class and lifestyle.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type of lifestyle hotel induced from categorized results described in the paper.

      • KCI등재

        3차원 모델기반의 다차원적 건설정보 시각화 기법에 관한 연구

        송규만(Song Kyum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차원 공간정보와 다양한 건설정보를 통합하고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 저장 수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최근 BIM 시스템을 위한 건설정보의 체계화 기법과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해 공간정보와 다양한 건설정보들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정보시각화기법의 부재로인해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3차원 모델에 동시에 시각화 주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BIM시스템을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비교분석할 수 있는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의 시공단계에서 다양한 참여 주체들의 모니터링 조정 협업에 요구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정의하고 3차원 모델의 기하학적 요소인 면과 외곽선에 색상 색밝기와 같은 시각적 요소를 동시에 적용하여 연관된 건설정보를 함께 비교분석이 가능한 시각화 기법을 제안한다. Throughout the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design schedule cost resource and performance data sets are constantly produced. Better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can be possible by understanding of these data sets in integrated manner. Various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into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projects to integrate these data. However these systems have been limited in their ability to visualize inter-related multiple data sets concurrently due to the fact that an adequat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 had yet to be developed. This research will introduces a BIM-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which visually integrates 3D building model and construction data. The proposed visual representation enables the users to show a holistic picture of a project by applying the multiple project data sets to the geometric attributes (such as shapes faces and edges) of the 3D building model through color-tone var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