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경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들의 보건교육과정 실행 경험을 통하여 보건교육과정이 가지 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여 보다 미래지향적인 보건교육과정을 확립하기 위하여 세 명의 보건교사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와 의의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 다. 첫째, 보건교육과정 실행 경험은 보건교육과정에 나타나는 현상을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연구 참여자의 삶의 내러티브에서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법의 개정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는 가져오고 있으나, 여러 가지 장애 요인들로 인하여 보건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보건교사들은 보건교사 자신을 ‘가르치는 교사’로 인식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지만, 학교 동료교사나 관리자는 보건교육과 보건교사 업무에 대한 몰이해로 보건교사를 가르치는 교사보다는 업무담당교사와 같이 제한된 역할로 머 무르게 하여 열패감을 경험하게 한다고 하였다. 넷째, 보건교육 과정 고시의 부재, 행정 적 지원체계 부재, 과도한 업무와 같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보건교육을 본 궤도에서 실행 하기 위해 노력하고 교사 공동체에서 의견과 소통하기 위해 참여하기도 하였다. In this study, the nar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establish more a future – orient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in the health curriculum is based on the narrative of the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Second, there are the changes in the law such as the amendment of the law enforcing the health education, but it was found that health education teachers were not able to move forward in an active direction to implement health education in the schools owing to the several obstacles. Third, health education teachers are not recognized as a teaching teacher by co-workers and administrators of the school. For this reason, they experience feelings that they are worse than others by staying in a limited role, such as an assistant teacher rather than a teaching teacher. Fourth,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someone has been trying to carry out health education being on the right track and participating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teacher community.
입소시설 노인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가간호역량 간의 관계
송경화,김경화 한국간호연구학회 2018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2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self-care agency of elderly in welfare facility and their relation to provide informa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health behavior of elderly in welfare facility. Methods :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32 elders, over 65 at Region D and C.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nts who signed the consent form were asked to complete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self-care agency measurement instrument questionnaire. Results : Average score were 2.55±0.46 for the family support, 2.64±0.25 for the self-esteem, 3.24±0.53 for the self-care agency. The relation of family support, self-esteem, self-care ag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r .83, = p .001), between family support < and self-care agency(r .72, = p .001), between self-esteem and self-care agency(r .76, <= p .001). < Conclusion :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of elderly people, the higher the self-care capacity of elderly people. Therefore, the elderly should increase their self-care capacity by introducing nurs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피아노 예비독보학습 지도안: 만 6∼7세를 대상으로
송경화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4 음악교수법연구 Vol.25 No.2
우리는 예측할 수 없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런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 이에 연구자는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스스로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자기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메이커 교육’에서 답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피아노 교육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독보를 메이커교육과 접목하여 만 6∼7세를 대상으로 한 피아노 예비독보학습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메이커 교육의 TMSI 학습모형을 활용하여 지도안을 설계했다. 팅커링(Tinkering)은 음악적 개념을 놀이로 내면화하고 융합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증진한다. 메이킹(Making), 공유하기(Sharing), 개선하기(Improving)는 스스로 음악을 만들고 악보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하여 독보력을 키운다. 총 8차시로 수업이 진행되며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로 메이킹 활동을 한다. 기존 독보교육의 틀을 벗어나 자기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며, 혼자가 아닌 함께 음악을 만들고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협력과 소통을 배운다. 본 연구가 미래 피아노 교육의 새로운 독보지도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될 수 있기를 바라고 현장에서 활용되고 검증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teaching beginner piano sight-reading to children aged 6-7 years old by integrating maker education, which can cultiv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vergent creativity, with sight-reading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piano education. It aims to apply ‘making activities’ to piano education. The sight-reading lesson plan of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the TMIS model, which is a learning model for Maker education with the learning stages of tinkering, making, sharing, and improving. In the Tinkering activity, under the teacher’s guidance, students internalize musical concepts through play and enhance their creativity through convergence activities. In the Making, Sharing, and Improving activities, learners are encouraged to create their own music through student-centered lessons and express it in musical scores to enhance their own creativity. The curriculum consists of 8 sessions (50 minutes each), with making activities based on four real-life themes: ‘Making a Safety Song,’ ‘Making a Times Tables Song,’ ‘Making a School Bell Sound,’ and ‘Making a Famous Painting into Music.’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the nature of 6-7 year olds, they use smart devices to create music and record their creations into audio files.
송경화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3
본 소고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개념에 바탕을 둔 긍정심리치료를 기독교 상담적 시각에서 비평하고 기독교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세속 상담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에 대해서는 기독교적 비판 연구가 선행되어 있지만, 긍정심리학을 구체적으로 상담에 적용한 매뉴얼인 긍정심리치료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비판과 통합의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상담자가 실제 상담 현장에서 긍정심리치료를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기독교 상담적 가치관과 기준을 명확히 하고,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적 적용에 대해 통합적인 비판과 지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통합과 적용을 위해, 본 소고에서는 긍정심리치료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긍정심리학, 그리고 긍정심리학의 개념을 상담 장면에서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긍정심리치료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소개하고, 긍정심리치료의 기독교적 통합 가능성을 탐색한 후, 기독교 상담자가 비판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상술하였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상담자는 긍정심리치료를 기독교적 가치관과 상충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내담자에게 유익이 되는 만큼 선별적으로 활용할 것과 하나님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criticism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which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by Christian counselors.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examined positive psychology, which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in the secular psychological field,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However, critical exploration of PPT, which has been designed to apply main concepts of positive psychology to the concrete counseling and therapy settings, still needs to be performed. This study was initiated out of the need of clear guidelines as well as Christian viewpoint and standard in the application of PPT into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To achieve these purposes, in this paper, I briefly introduced basic concepts and techniques of PPT and positive psychology on which PPT has been built,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ts integration with Christian counseling, and finally indicated factors that Christian counselors need to critically consider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in their application of PPT in the Christian counseling sessions.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Christian counselors employ PPT only selectively to the extent that it is compatible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ensure that God be always the center.
보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연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가능성
송경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1
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개념이 질병이 없는 상태의 의학적 모형에서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인 사회적 모형으로의 변화하고 있다. 이는 학교 보건교사의 역량과 직무의 성격에 대한 관점도 응급처치와 같은 건강관리 측면에서 예방과 건강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 측면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과 연결된다. 이런 인식의 변화와 다양한 건강 문제는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학교보건교육과정 고시를 이끌어 냈다. 지금까지 학교보건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보건교육은 수업전후 지식, 행동, 태도 변화에 대한 효과성 연구, 교육에 대한 중재연구와 같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보건교육연계지원으로 보건교육 전체 틀 안에서 보건교육과정이 변화하고 있고 앞으로 보건교육의 정착을 위해 보건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보건교사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최근 이런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관심이 교육연구 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행위와 삶을 이해하는 하나의 인식 방법으로서 활용되는 연구방법으로서 보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e conceptual changes of a health from the medical model without illness to the social model with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 – being and various health problems have increased the necessity for health education and have led to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notic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school health education, the health educ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the study on the effect of changes of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after the class, and the intervention study on education.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is being changed within the whole of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support of the connected with health education, not considering by distinguishing the health care from the health educati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ealth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nquired the possibility of narrative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송경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5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3 No.2
건강이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로의 개념변 화와 다양한 건강 문제는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학교보건교육은 2008학교보 건법 개정과 보건교육과정고시로 인해 체계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2009 이전까지의 보건교육은 수업전후 지식, 행동, 태도 변화에 대한 효과연구가 주를 이루었 으며, 2009 이후 보건교육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편적이 지 못했다. 보건교육은 실천중심학문이므로 건강지식을 증가시키고 태도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개인 삶과 관련된 이야기와 관련시켜야 하고 실제생활에 가깝게 건강행 위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내러티브 수업으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또한 내 러티브 접근은 성관련 문제, 흡연, 자살, 만성질환 등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통하여 자아의 통합과 치유가 일어나도록 하는 치료적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보건교육 의 방법, 보건실 장면에서 치료도구로 내러티브 접근을 제안하였다. The need for health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by a variety of health problems and the conceptual change of health which is defined a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in the absence of disease. The systematic school health education was to be implemented by the amendment of School Health Act of 2008 and notice of health curriculum. The main researches of health education prior to 2009 focused on the effects of before and after classes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Even though the studies of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have been made since 2009, those were not a general. As health education is a practice-centered curriculum, it has been requested. changes to the class using the narrative approaches which provide the opportunity to do health behavior practices closely in real life and being able to connect with a story related to the individual's life for broadening the health knowledge and leading to a change in attitude. In addition, the narrative approaches was able to cause the self-integration and healing by themselves, so-called therapeutic meaning, by speaking their own experiences such as issues related to gender, smoking, suicide, and chronic disease. We suggested the narrative approaches as a healing tool at method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scenes at a school health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