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척추강 협착증 환자의 척추의 미란이 동반된 부골화된 요추 추간판 탈출증 : 증례 보고 Case Report

        송경진,송경진 의과학연구소 1990 全北醫大論文集 Vol.14 No.3

        We experienced 47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4 years low back pain with sciatica and abnormal slow shuffling gait. On myelograghy we diagnosed as spinal stenosis induced by degenerative spondylosis and disc hemiation. But on C-T we could find vertebral erosion with abnormal shifting of theral sac by soft tissue mass. With fenestration, adhesiolysis and mass removal partent became pain free and normal ga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Iohexol을 이용한 척수강 조영술 후 발생한 간대성 전신 발작 -증례보고-

        송경진,이광복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We encountered a patient who had a rare occurrence of a seizure after lumbar myelography from the beginning of this untoward side effect. Clinical trials with iohexol in myelography have demonstrated a good tolerability of this water-soluble contrast medium. However,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that have shown acute adverse reactions such as headaches, vomiting, psychosis, confusion and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Despite the reports on the safety of iohexol use, it may cause a generalized seizure attack without an epileptogenic history. Therefore, thorough attention and the preparation for emergency treatments for the seizure are essential in every myelography using iohexol as a contrast medium. Moreover, in order to avoid unwanted legal problems,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need to be informed of the necessity and possible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myelography. Iohexol (Omnipaque)은 합병증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조영제로 알려져 있어, 임상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정형외과에서는 척수강 조영술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안전하다고 보고된 이 조영제로 척수강 조영술 후에 발생한 간대성 전신 발작을 일으킨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조영제가 일으킬 수 있 는 부작용에 대해 환자 및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의 필요성과 면밀한 관찰 및 응급처치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에 대해 강 조하고자 한다.

      • 척추 골수염에 대한 전방 감압술 및 추체간 유합술

        송경진,김황직,표수호,흥기식 의과학연구소 2000 全北醫大論文集 Vol.24 No.2

        1. Purpose :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functional outcome of anterior curettage, decompression and interbody fusion for the treatment of vertebral osteomyelitis. 2. Material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2 years follow-up after anterior decompression and interbody fusion for the vertebral osteomyelitis were analyzed. Thirteen patients were male and 19 were female with mean age of 46 years old. Criteria that evaluated the result of the AIBF was based on that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Working Party on Tuberculosis of the Spine(1978). Changes of kyphotic angle and status of bony union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plain lateral roentgenogram. 3. Results : The results of treatment was poor in one patient fair in one, good in 29 patients, and remaining one patient was died because of renal failure. The averge period of fusion was 4.6 months. In thoracic vertebra the change of kyphotic angle were 19.2 degree, 15.2 degree, and 20.4 degree i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on last follow-up. In lumbar vertebra, the changes of lordotic angle were 15.3 degree, 23.1 degree and 16.2 degree i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on last follow-up. Complications included increased kyphosis, bone graft resorption, pseudoarthosis and pain of the main wound site or bone graft donor site. But there wa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 and with above complications. 4. Conclusions : Anterior curettage, decompression and interbody fusion for the treatment of vertebral osteomyelitis should be a reliable treatment modality in the viewpoint of safety and effectiveness. (Key words : Vertebral osteomyelitis, Anterior decompression, Interbody fu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요배부 재수술의 치료 결과

        송경진,김기남,김규형,송지훈,황병연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 적: 수술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 대하여 재수술을 시행 후 재수술의 원인 및 이에 따른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1996년에서 2004년까지 요배부의 재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되었던 97예를 대상으로 재수술의 원인 및 이에 따른 치료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Kirkaldy-Wilis 판정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결 과: 97예 중 재발한 추간판 탈출증이 37예(이전 수술부위 35예, 다른 부위 2예)로 가장 많았으며, 척추관 협착증이 17예, 그 외 경막외 유착(9), 가관절증(9), 인접 분절 협착증(9), 감염(8), 요추 불안정성(4), 금속 고정물 실패(2) 등이 원인이었다. 치료는 91예에서 유합술을 시행하였으며, 6예는 감압술만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재발한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에서 임상적 결과가 양호하였고 치료 방법으로는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감압술만 시행한 경우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p=0.002), 장 분절 유합보다는 단 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p=0.043). 최종 추시 결과 97예 중 62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퇴행성 하요추부 질환에서 PEEK Cage와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통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유용성 - 최소 3년 이상 추시 결과 -

        송경진,이광복,함동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three-plus year follow-up results of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PEEK cage and pedicle screw fixation for lumbar degenerative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few previous reports addressing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sing PEEK cage with mid-term follow up periods. Materials and Methods: 26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PEEK cage and pedicle screw fixation for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ere enrolled.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fusion level: group A (n=151) had one-level fusion, and group B (n=91) had two-level fusion, and group C (n=18) had three-level fusion.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pre- and post-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complication and reoperation rates. Radiologic outcomes were measured by the fusion rate, sagittal alignment, disc height and changes. Results: VAS (pre-operative to final follow-up) changed from 7.62±2.03 (5-10) to 3.19±1.94 (1-8) in group A, from 6.83±2.28(4-9)to 4.51±2.18(2-9) in group B and from 7.17±2.46 (5-10) to 4.63±1.97(1-9) in group C. Final follow-up ODI also decreased in group A (17.6±8.56%), group B (15.4±5.46%) and group C (24.7±7.46%). This corresponds to scores of 94.7% in group A, 92.3% in group B and 94.4% in group 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lumbar lordosis [p=0.042(group A), 0.036(group B), 0.045(group C)], segmental lordosis [p=0.036(group A), 0.039(group B), 0.047(group C)]. Reoperation was performed in patients 8 group A, 4 group B, and 1 group C,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rence between groups. Adjacent segmental change was found in all reoperation patients, but showed no correlation with clinical results. Conclusions: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PEEK cage and pedicle screw fixation in lumbar degenerative disease showed excellent clinical results and fusion rates, regardless of patient fusion level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하요추부 퇴행성 질환에서 PEEK cage와 척추경 나사못 고정으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3년 이상 추시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PEEK cage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중기 추적 관찰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PEEK cage을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 중 추시 가능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분절에만 시행한 151명을 A군, 이분절에서 시행한 91명을 B군, 삼분절에서 시행한 18명을 C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적 결과 판정은 수술 전후의 Visual analogue scale(VAS),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평가 기준을 통해 판정하였고,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해 골 유합, 시상면 배열, 추간판 간격 및 인접분절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합병증과 재수술 여부와 원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VAS는 수술전과 수술 후 3년에서 A군 7.62±2.03(5~10)점에서 3.19±1.94(1~8)점, B군 6.83±2.28(4~9)점에서 4.51±2.18(2~9)점,C군 7.17±2.46(5~10)점에서 4.63±1.97(1~9)점으로 감소되었으며, ODI에서는 3년 추시에서 A군 17.6±8.56%, B군 15.4±5.46%,C군 24.7±7.46%로 감소된소견을 확인하였다. A군 94.7%, B군 92.3%, C군 94.4%의 골 유합 소견을 보였다. 요추부 전만도(p=0.042(A군), 0.036(B군), 0.045(C군)), 분절간 전만도(p=0.036(A군), 0.039(B군), 0.047(C군)) 는 수술 후 술 전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었고, 최종 추시에서도 의의있게 증가되었다. 재수술은 A, B 군에서만 나타났고, 이들 모두에서 수술 후 인접분절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PEEK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 및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은 중기간 추시에서 각 유합 분절 수에 따른 치료 결과와 상관없이 우수한 임상적 결과와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추천될 만한 수술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