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의 변화와 대학의 교육과정

        손흥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0 교육사회학연구 Vol.10 No.2

        사회의 변화에 따라 지식의 개념과 특성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변 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대학은 전문직업적이고 실용적인, 그리고 간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지향함으로써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과 갈등을 통해, 그리고 정책간의 모순에 의해 대학의 교육과정이 피상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러한 논의는 학부제 도입 이후의 대학교육과정의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유보통합정책 형성과정의 비판적 담론분석

        손흥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process, social context, policy network, genre and major discourses of Park Geunhae government's integration policy-making process of ECEC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on policy-making process of ECEC is based on the following: Emphasis on the binary system of ECEC as a social issue Adoption of integration policy of ECEC as an agenda of policy Announcement of integration plan of ECEC Implementation of pilot project and policy promotion. Second, integration policy-making process of ECEC is linked to the social contexts such as globalization, starting point equality, low fertility, and local elections. Third, in integration policy-making process of ECEC, a wide network was formed, but the President was the initiator of policy discourse as an indicator. Fourth, related groups are exploring interaction with other groups by using various genres, but the direction of policy that each group is aiming at was different. By analyzing integration policy-making process of ECEC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t can be seen that the policy is a unilateral or bilateral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dominant social order and the groups claiming different policy discours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y-making process is a complex social phenomenon that demands not only the social context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but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related groups. 이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박근혜 정부의 유보통합정책 형성과정의 역사적 과정, 사회적 맥락, 정책 네트워크, 그리고 장르와 주요담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통합정책은 ①영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체제의가 사회문제로 부각②유보통합이 정책의 아젠다로 채택 ③유보통합방안(안) 발표 ④시범사업 실시와 정책 홍보등의 과정으로 형성되었다. 둘째, 유보통합정책의 형성은 세계화, 출발점 평등, 저출산, 지방선거 등의 사회적 맥락과 연결되어 있다. 셋째, 유보통합정책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한네트워크가 구성되었으나, 대통령이 지시자로서 정책담론의 촉발자였다. 넷째, 관련 집단은다양한 장르를 활용하여 다른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모색하고 있지만, 각 집단이 지향하는 정책의 방향은 달랐다. 박근혜 정부의 유보통합정책의 형성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은 지배적인 사회질서와 각기 다른 정책담론을 주장하는 집단 간의 일방적 혹은 쌍방적 상호작용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책의 형성과정은 세계화와 지역화 등의 사회적 맥락뿐만 아니라관련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복잡한 사회현상임을 알 수 있다.

      • 학부제의 유형과 학문계열과의 관계

        손흥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00 敎育硏究 Vol.10 No.1

        어느 덧 학문 영역의 구분으로서 대표적이었던 학과라는 명칭보다는 학부라는 명칭이 일반화되고 있다. 학과체제가 학문구분의 단일화, 세분화, 그리고 획일성을 특성으로 한다면, 학부제체제는 다양화, 특성화, 통합성을 특성으로 전제되고 있으며, 학과체제의 문제점을 학부제체제의 도입으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KCI등재

        다른 조건, 유사한 정책이념의 사회학적 의미: 한국과 영국의 대학평가 정책의 사례

        손흥숙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1

        Although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nd the UK have very different conditions, their university evaluation policies are similar in the focus of particular accountability measures linked to 'the evaluative state'. This study explores these similarities through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super-national authorities such as the IMF and OECD. It also utilises the new times theses, including postmodernism and globalization, and the idea of policy borrowing, in order to explain theoretically what is happening in these two contrasting societies. By exploring these similarities of higher education policies across nation-states, we can see South Korean education policies need to be explained on the bigger picture, while we do need to be aware of the dangers of ignoring detail and complexity of local contexts and superficial comparison. 한국과 영국의 대학은 조건이 매우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학평가 정책에서는 책무성과 그에 따른 ‘평가하는 국가’가 강조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국가 간 교육정책의 유사성은 국제적 기구, 새 시대 가설, 정책 빌려오기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국가 간 고등교육 정책의 유사성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교육정책을 보다 큰 그림으로 설명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한편으로는 국가별 지역적 요소의 무시와 피상적인 비교의 위험성도 염두에 두어야함을 지적한다.

      • KCI등재

        학부모회 운영의 실제와 쟁점: S초등학교 사례

        손흥숙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S초등학교의 학부모회 운영 실제를 사례로, 학부모 참여 정책의 쟁점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둔다. 1년 동안 학부모회는 교육지원청과 학교에서 지원하는 예산을 사용하기 위하여 회의를 하고 계획서를 만들고 프로그램들을 집행하고 보고하는 바쁜 일정으로 운영된다. S초등학교 학부모회의 운영 사례를 통해, 학부모회의 대표성, 학부모와 학교의 인식의 차이, 낮은 참여율, 참여 유형, 재정 지원, 학부모의 대상화 등과 관련된 쟁점을 제기한다. 결론적으로, 학부모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정책에서,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본다면, 학부모를 이해하는 관점도 달라져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s on discussing the issues of parent participation policy, tak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parent association of S Elementary School as an example. For a year, the parent association was run on a busy schedule of meetings, planning, executing, and reporting.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 Elementary School's parent association, this article raises issues related with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arent associa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rents and the school, low participation rate, types of participation, financial support, and objectification of parent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in the policy to promote parental participation, if parents are view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parents should also be changed.

      • KCI등재

        교육정책 분석을 위한 방법론 탐색: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손흥숙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1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기법은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읽어내는 데 유용한 연구방법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교육정책 분석에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이 교육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서, 정책 텍스트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의 체계적인 분석 단계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 갈래이며, 1990년대 이래로 발전해 오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Fairclough는 1단계 기호학적 사회문제 찾기, 2단계 사회문제 분석, 3단계 사회문제와 사회체제와의 관계 분석, 4단계 정책의 긴장, 모순, 간격 분석, 그리고 5단계 연구의 비판적 숙고 등의 5단계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한국 교육정책의 담론과 사회적 의미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에서의 권력관계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밝히고자 할 때, 그리고 궁극적으로 진보적 사회변화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모색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교육정책 연구가 ‘정책을 위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에서,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활성화는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useful to explain and interpret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policy discourse to the social meanings. Nevertheles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actually vastly underutilized in Korean education policy analysis. This study starts in the critical mind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not been introduced as research method of education policy. Thus this study is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one of the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policy.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developed as on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es since 1990s. By 2000s, Fairclough introduced an analytical framework of 5 stages: stage 1: A social problem in its semiotic aspect, stage 2: Identify obstacles to it being tackled, stage 3: Does the social order 'need' the problem? stage 4: Possible ways past the obstacles, stage 5: Reflection on the analysis. Fairclough analysed the Green Paper on Welfare Reform to show how to use this analytical framework.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ppropriate for critical policy analysis because it allows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policy discourse to social processes, power and ideology. Education policy analysis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study for policy' in Korea. I expect that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lays a role stimulating 'the study of policy'. But we also must try to get over limits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우수등재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개념적 쟁점

        손흥숙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1

        Since 1990s, professionalism has been emphasized in most of professions, childcare is no exception. As childcare become accepted as public responsibility, the expectation and concern are concentrated in quality of childcare and a core policy to secure quality of childcare is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force. Therefore, quality of childcare and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force seem to merge without difficulty at first sight. Today,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force is a discourse in the state policy, academy, and practice. This paper has illustrated professionalism discourses of childcare workforce as a conceptual issue. But, the concepts of professionalism since 1990s have been reinterpreted from market, consumer, and the state in two categories. One is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force must be changed because the society changes,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workforce is secured by these changes that the state leads. The other is the government professionalism discourse emphasizes performativity, qualification, standardization excludes other professionalism discourses and acts as mechanism of control. Thus, now it is time for us all working in childcare to develop further understanding of how discourses operate and the way in which we use them.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그리고 도처에서 전문성 개념이 강조되고 있으며, 보육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보육이 공적인 영역의 책무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보육의 질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아졌고,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가 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정책이 되었다. 따라서 보육의 질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연스럽게 함께 논의되고 있다. 이제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국가정책에서, 학문에서, 그리고 실천의 측면에서 하나의 담론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시장, 소비자, 국가 등의 관점에서 두 개의 범주로 재해석되고 있다. 하나는, 사회변화에 따라 보육교사가 함양해야 할 전문성도 새롭게 변화한다고 해석하는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는 국가의 전문성 지향 정책을 보육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조장과정으로 해석한다. 다른 하나는 국가전문성 개념을 보육교사를 통제하는 기제로 해석하는 관점이다. 국가의 전문성 개념은 수행성, 자격강화와 지위향상, 표준화 등을 강조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에서 중요한 요소들인 사랑, 헌신, 열정 등의 감정적인 요소를 배제할 수 있으며, 학력주의와 계층화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한층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제 보육분야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은 전문성 담론이 어떻게 사용되고 작용하는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해야 할 때가 되었다. 최근의 국가 중심의 보육의 전문성 강조는 사회경제적 필요성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상황이 바뀌면, 보육의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실천가로서 그리고 전문가로서 보육교사는 국가의 표준을 따르는 수준 이상의, 정부규제와 맞설 수 있는 혹은 정부와 협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주제 확대를 위한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시사

        손흥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4 교육사회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the British teacher education courses and the British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at three phases. At the first phase during 1950s-the early 1970s, the demand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increased and the sociology of education researches provided theoretical base for education policy-making. At the second phase during the late 1970s-the early 1980s, the sociology of education from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was removed, but theoretical base and research subject were diversified. At the third phase since the late 1980s, the British sociologists of education developed the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while identity crisis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was under debate. Specially, making an analysis of disputes about the legitimacy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since the late 1980s, we confirm the possibilities of the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and keep in mind importance of consolidating the sociological base. 이 글에서는 영국교사교육과정과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1950~1970년대 초반까지의 교사교육과정의 도입과 교육정책의 이론의 제공 단계, 둘째,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의 교사교육과정의 쇠퇴와 연구주제와 관점의 다양화 단계, 셋째, 1980년대 후반 이후의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발달과 영국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쟁 단계이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영국교육사회학의 논쟁적 흐름의 분석을 통해, 한국교육정책사회학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사회학 이론을 계발하고 발전시키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숙지하게 된다.

      • 학생이 수업에서 겪는 소외 실태 연구: 초등학교 5학년 ‘훈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흥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3 No.-

        1. 선행연구들이 학생이 경험하는 내적 소외를 간과하고 있고, 어떤 과정을 거쳐 교육 소외를 경험하는지, 왜 그렇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한 설명이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행위에 맞추어 학생의 학습과 경험을 관련지어, 교사와 학생의 행위를 독립적으 로가 아니라 상대의 행위와 관련지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소외현 상을 개선하는데도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학생의 행위는 드러나 있으나, 학생의 학습과 경험을 관련지어, 교사와 학생의 행위 를 독립적으로가 아니라 상대의 행위와 관련지어 설명한 부분은 어디인가? IV장의 1절에 서 ‘훈이’의 맥락이 제시되어 있는데 ‘훈이’의 소외를 이러한 맥락과 연결하여 해석한 부 분은 어디인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