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발생에 따른 흰쥐의 위에서의 ghrelin mRNA의 발현 변화

        조미행(Mi Haeng Cho),이상혁(Sang Hyuk Lee),김남희(Nam-Hee Kim),손현준(Hyun Joon Sohn),박정현(Jeonghyun Park),황승준(Seung Jun Hwang),김민선(Min-Seon Kim),박경한(Kyeong Han Park)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3

        Ghrelin은 growth hormone secretagogue로서 2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호르몬이다. 성장호르몬 분비의 자극, 식욕의 조절, 위산 분비의 자극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ghrelin은 위, 뇌하수체, 작은창자 등에서 합성되며 특히 위에서 발생과정에 따라 그 분비 양상의 변화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발생시기와 노화에 따른 ghrelin mRNA 발현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digoxigenin으로 표지한 oligonucleotide를 이용하여 발생시기별 Sprague-Dawley계 흰쥐에서 적출한 위 조직에 ghrelin mRNA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고 ghrelin mRNA 양성세포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Ghrelin 양성세포는 임신 제18일 태아의 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출생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6주에서 가장 많은 수의 양성세포가 관찰되었다. 이후에 양성세포의 숫자가 다시 감소하여 18월에 이르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Ghrelin 양성세포는 주로 위의 fundus 부위에 분포하였으며 발생 초기에는 위샘의 바닥부분에 소수가 분포하다가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위샘의 윗부분까지 확산되어 분포하였다. 관찰된 양성세포는 대부분이 closed-type의 내분비세포였다. Ghrelin 양성세포는 발생 과정에 따라 그 분포와 숫자에 변화가 있었으며 사춘기에 가장 많은 숫자의 양성세포가 존재하였고 노화과정에 따라 다시 감소한 사실로 미루어 위에서의 ghrelin의 발현이 성장과 노화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Ghrelin is a recently identified member of growth hormone secretagogue, which is synthesized as peptide of 28 amino acids in stomach, pituitary and intestines. Ghrelin controls food intake, and induces gastric acid secre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synthesis and secretion of ghrelin changes according to age of animals. In this study,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with digoxigenin-labeled oligonucleotide probe is applied to elucid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ghrelin mRNA expression pattern in rat stomach. Ghrelin mRNA positive cells first appeared in stomach of 9 day rats, mainly in base of gastric glands. It showed the highest density and spread to neck area of the gastric gland in 6 week rats. Number of positive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18 months. Most of ghrelin mRNA positive cells were found as closed-type endocrine cells in fundus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relin expression may be involved in development and ageing process.

      • KCI등재

        한국 성인 머리너비지수의 시대적 변화

        고기석(Ki-Seok Koh),한승호(Seung-Ho Han),송우철(Wu-Chol Song),손현준(Hyun-Jun Sohn),백두진(Doo-Jin Paik),김희진(Hee-Jin Kim),최병영(Byoung-Young Choi)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3

        머리모양을 나타내는 척도를 머리너비지수라 하고 이 지수를 이용하여 인종이나 민족의 특정을 정의하기도 한다. 한국인의 머리형태는 짧은머리형으로 알려져 있으나 머리형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인의 머리형태가 과거와 현재가 서로 차이가 있는가 아니면 차이가 없는가에 대한 연 구가 이루에지지 않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과거 여러 학자들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계측하였던 연구들과 최근 저자들이 조사한 자료들을 비교하여 한국인 성인에서 머리형태의 변화와 변화의 원인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1913년부터 최근까지 어려 학자에 의해 조사되었던 한국 성인의 생체계측값을 이용하여 머리너비지수를 10년 단위로 분류하였고 최근의 계측값은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지역별로 계측한 남자 768명, 여자 840명의 계측값을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이들의 머리너비지수를 비교한 결과 최근까지 머리너비지수는 정차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머리가 짧아지는 현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머리걸이와 머리너비 오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걸어지지만 머리너비의 증가폭이 더 높았다 또한 머리너비지수의 증가는 시대에 따른 키의 증가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이같은 현상은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더욱 두렷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키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머리너비지수 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머리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키가 머리너비지수에 비교적 큰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결극 영양상태가 호전되어 키가 커짐에 따라 머리가 가쪽으로 더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머리너비지수가 지난 90여년간 점차 증가하다 가 최근에 강소하는 것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공통된 특정으로 추정되며 이마뼈의 형태변화와도 연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인터넷을 이용한 한국인 체질인류학 관련 자료의 검색프로그램 개발

        송우철(Wu-Chol Song),고기석(Ki-Seok Koh),공승진(Seung-Jin Kong),이정아(Jung-A Lee),손현준(Hyun-Jun Soh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3 No.2

        간추림: 체질인류학 문헌 중에서 한국인에 관련된 문헌을 별도로 모아 한 눈에 볼 수 있고 그 내용 중에서 원 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다면 지금까지 발표되었던 귀중한 자료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들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하고 한국인에 관련하여 일제 시기부터 지금까지 발표되었던 체질인류학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그 문헌의 핵심결과인 표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검색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편의점을 추구하였다. 1 자료 분류 방법의 다양화 및 세밀화 체질인류학에 관련된 문헌을 신체부위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 부위를 다시 부분으로 세밀하게 분류하여 찾고자 하는 자료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밖에도 재료와 방법에 따라 문헌을 분류하여 방법에 관련된 검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자료 검색 기능의 강화 분류를 이용하여 자료를 찾아가는 방법과 병행하여 하나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문헌이나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경색은 3 단계로 구성되었고 1 단계는 문헌제목 및 저자, 2 단계는 1 단계를 포함하여 표의 이름까지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마지막 3 단계는 표 속의 항목까지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3 색인 기능 검색어 (키워드) 색인을 만들어 내용을 잘 모르더라도 색인을 보고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을 만들었다. 4 쉬운 자료 파악 문헌 전문 또는 표 형식으로만 되어 딱딱하고 자료가 무엇을 나다내는지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로 되어 있는 자료에 그림이나 해성을 청가하여 표가 의미하는 바흘 간략하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이용하연 과거의 자료를 쉽게 인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연구결과를 다른 연구 자료와 쉽게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