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냉전기 미·일동맹의 변화와 지속

        손한별(Hanbyeol Sohn)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3 한국군사학논집 Vol.69 No.1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U.S.-Japan alliance continuing itself after the Cold War era, in spite of the weakening conditions.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about US-Japan alliance and theories of alliance duration was carried out. Showing the intra-alliance dynamics and its duration, three factors and three cases are analyzed. Three factors constructing the weakening and re-strengthening paces are the perception of threat, military strategy and the role of alliance, and the military ability and contribution of allies. And three issues as critical cases are the economic conflicts in early 1990s, 9.11 terror attack in 2001, and Democratic Party (DPJ) taking the office in 2009. Through the case study, this thesis argues that. First, the alliance transition or change comes from the variety of factors. Seco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trategic interaction is on the recognition of threats. In other words, national preferences and strategic interactions are determined not by the threat itself, but by the "perceived threat". Finally, while United States defines the role of US-Japan alliance within military strategy, Japan contributes to the alliance with its military buildup. And this can show the contribution of US-Japan alliance as a asymmetric alliance.

      • KCI등재

        미국과 중국의 정보우세 경쟁 : 디지털 시대의 “데이터 안보”를 중심으로

        손한별(Sohn Hanbyeo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1 전략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미중 간의 데이터 경쟁을 분석함으로써, 변화하고 있는 정보전 양상에 대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안보”의 시대에 있어 정보전의 의미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위협과 취약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미중의 정보전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셋째, 미중의 데이터 안보경쟁이 한국에 주는 함의는 무엇이 있는가? 강대국 경쟁 속에서 부각되고 있는 데이터 안보의 개념은 무엇이며, 한국의 핵심전략과 정책이슈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중 간의 정보우세 경쟁은 정치, 외교, 통상, 산업, 시민사회와 같은 영역을 넘나들고 있으며, 물리영역에서의 기반체계 교란, 정보영역에서의 공격과 방어, 인지영역에서의 메타공격이 더욱 첨예하게 진행 중이다. 이 같은 강대국 경쟁 속에서 능력을 갖추지 못한 국가는 상대적 이익의 불균형을 강요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데이터 안보를 위한 능력을 구비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해야 함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direction to prepare for the changing aspect of information warfare by analyzing data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information warfare changed in the era of "digital security"? How do threats and vulnerabilities change? Second, how is the information warfare between the U.S. and China going? Third, what implications does the U.S.-China data competition have for South Korea? What are Korea"s strategy for data security and policy issues? The competition for information superiority between the U.S. and China is crossing areas such as politics, diplomacy, trade, industry, and civil society. And the forms of information warfare between the U.S. and China are as follows: infrastructure disturbance in the physical layer, attacks and defense in the informational layer, and meta-attacks in the cognitive layer. Given that countries that do not have the ability to compete in this situation are forced to losses their interests, it is emphasized that they should strengthen the ability to secure data and, deter and respond to threats through centralized authorities.

      • KCI등재

        미국의 군사혁신과 “상쇄전략” : 장기 경쟁전략으로서의 기술우위와 비용부과

        손한별 ( Sohn Hanbyeol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1 한국국가전략 Vol.6 No.3

        탈냉전 이후 유일한 패권국으로 남은 미국은 변화하는 안보환경 속에서도 자국의 우세를 유지하기 위해 세 번째 "상쇄전략"을 내놓았다. 이미 두 차례 상쇄전략을 통해 상대에 대한 우위를 유지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었지만, 3차 상쇄전략은 "네트워크 국가"로서의 미국의 포괄적 군사혁신 노력을 잘 보여준다. 미국의 위협인식과 대응전략은 철저히 강대국 중심의 고전지정학의 영역에 머물러있지만, 대내적 군사혁신 거버넌스, 국제협력과 대외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대된 영역에서의 우위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2차 상쇄전략으로부터 3차 상쇄전략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미국 위협인식의 지속과 변화를 살펴본다. 상쇄전략은 기술혁신을 통해 달성한 우위를 바탕으로 비용을 부과하여 적극적인 소진전략을 추구해 온 미국 군사혁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미국 군사전략의 목표는 장기 경쟁관계에서 우위를 달성하는 것이었으며, 군사혁신은 이러한 목표의 구현을 제약하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의 혁신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상쇄전략은 기술혁신, 작전혁신, 조직혁신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을 통해 상대에 대한 압도적 우위를 추구하며, 민간분야의 성과를 활용하기 위해 역동적인 민군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첨단기술을 운용하기 위한 작전혁신의 측면에서 다양한 합동 및 각군의 작전개념을 내놓고 미래전 수행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셋째, 조직혁신 차원에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문화를 조직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국방혁신센터와 전략능력실이 대표적 사례이다. The United States, which remains the only hegemony after the post-Cold War, has come up with its third "offset strategy" to maintain its dominance despite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s the US already had the experience of maintaining an advantage over his opponent through two offset strategies, the third offset strategy illustrates the United States' comprehensive military innovation efforts as a "network country." The U.S. threat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remain strictly in the realm of classical geopolitics centered on strategic rivalry, but are pursuing an edge in the expanded areas through internal military innovation govern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tern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US threat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the 1st and 2nd offset strategies to the 3rd offset strategy. The offset strateg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US military innovation, which has been pursuing active exhaustion strategies by imposing costs based on the advantages achieved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ends of the U.S. military strategy is to achieve superiority in long-term competition, and military innovation is found to be an innovation of ways and means to overcome the factors lim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se goals. The US offset strategy can be divided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First, through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pursues an overwhelming advantage over its opponents and promotes a dynamic civil-military cooperation program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private sector. Second, in terms of operational innovation to operate high-tech technologies, various joint and services’ operational concepts are presented and the concept of future warfighting is being developed. Third, efforts are being made to strengthen R&D capabiliti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establish an innovative culture in the organization, and the Defense Unit Innovation and the Strategic Capabilities Office are representative examples.

      • KCI등재

        유엔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관련 논쟁의 구조와 쟁점

        손한별 ( Hanbyeol Soh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정치 Vol.36 No.4

        본 연구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평화체제 이행으로 대표되는 안보환경 변화를 둘러싸고 제기되는 유엔사에 대한 이슈와 쟁점을 다룬다. 첫째, 불필요한 오해와 이념적인 논쟁을 피하기 위해 논쟁의 구조를 엄밀하게 구분한다. 둘째, 시간과 영역으로 10개의 쟁점을 구분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유엔사의 성립부터 전개과정에 대한 쟁점은 ‘과거’로, 전작권 전환과 유엔사에 대한 관련국의 ‘현재’입장을 정리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이 고려할 수 있는 유엔사의 ‘미래’로서 존폐논쟁과 역할 변화를 검토한다. 셋째, 국익에 기반하여 기본입장과 5개의 역할대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전략방향을 제시한다. 변화하는 안보환경을 고려하여 유엔사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해야겠지만, 우선 한국의 공식적인 입장을 정립하고 역할변화의 시기와 단계를 포함한 추진전략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유엔사 이슈는 남북관계, 주변국의 이익 충돌, 국내정치 및 여론 등 다양한 행위자와 이익이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험요소가 존재하며, 이를 사전에 식별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ddresses issues and debates on United Nations Command (UNC) raised over the change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ideological disputes, this article strictly distinguishes the "structure of argument". Second, we look at the ten issues in detail, divided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ird, Korea's strategic direction is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its basic positions and five role alternatives based on national interests. Since UNC issues are complicatedly intertwined with various actors and interests, such as inter-Korean relations, conflicts of interests in neighboring countries, domestic politics and public opinion, it may be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dentify and manage various risks in advance.

      • KCI등재

        한국군의 군사우주전략: 우주영역인식을 넘어 분산전으로

        손한별(Sohn, Hanbyeol),이진기(Lee, Jinki)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3

        한국의 우주개발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우주력 역시 미약하다. 후발주자로서 국가안보를 위한 우주력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분명한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국가우주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군사력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군사우주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한국군의 우주역량을 고려할 때, 한국의 군사우주전략 목표는 단계화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에 맞추어 우주군사작전개념과 요구능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우주영역인식의 단계로 우주환경과 피아에 대한 정보능력에 기반한 감시정찰이 핵심 개념이다. 두 번째는 분산전의 단계로 분산배비 및 거부능력에 기반한 우주방어에 중점을 둔다. 세 번째는 비대칭전의 단계로 제한된 공격능력을 갖추어 적대세력에 대한 국지적, 일시적 우세를 달성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총체적 국가 우주력의 일부로서의 국방우주력의 개발, 미래 합동군사전략과 연계, 전담 조직 및 제도 마련, 다각적인 국제협력 및 민군협력체계 구축, 전문인력의 확보 등 5가지의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Korea’s space development remains at a rudimentary level, and its space power is also weak. In order to develop space power for national security as a latecomer, a national space strategy that provides clear directions and priorities is needed, and a military space strategy is required to support it with military power. Considering the Korean military’s space capabilities, Korea’s military space strategy goals should be phased ou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oncept of space military operation and required capabilities. The first is the stage of space area recognition, and surveillance reconnaissance based on the spac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capabilities of enemies and allies is a key concept. The second is the pre-dispersion stage, and the emphasis is on space defense based on distributed stationing and denial capabilities. The third is the stage of asymmetric warfare, and it achieves a local and temporary advantage over hostile forces with limited attack capabiliti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resents five strategic tasks: developing defense space capabilities as part of the overall national space force, linking with future joint military strategies, preparing exclusive organizations and systems, establishing multilateral international and civil-military cooperation systems, and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 KCI등재

        북한의 핵위기 조성과 한미동맹의 대응

        손한별(SOHN, Hanbyeo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5 전략연구 Vol.67 No.-

        북한이 어떻게 지난 20년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제재와 강압외교에도 불구하고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끌어왔는지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다.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불안을 조성해 온 책임은 분명히 북한에 있지만, 한국이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기 원하는 시각에서는 한미동맹이 북한의 핵위협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동맹의 공동 위협인 북한의 핵무기 위협에 대하여 한ㆍ미 양국이 상이한 인식차와 정책옵션을 갖고 있으며, 위기가 고조될 때마다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왔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비대칭동맹의 상이한 핵인식과 국가선호 때문에 한미동맹이 북한의 핵위기조성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저균형” 대응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한미동맹의 북핵대응 과정에서 강경책과 온건책이 동시에, 혼합되어 나타난 것은 북한의 태도와 요구에 따라 동맹이 전략적으로 선택한 것이라기보다 비합리적인 전략결정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미동맹의 상호작용과정 또는 양국의 선호정책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저균형정책의 결정요인으로, 국가선호의 비합일성, 상이한 위협인식, 그리고 비대칭동맹의 동맹갈등을 제시하였다. 1차 핵위기에서 현재 3차 핵위기에 이르기까지 한미동맹이 저균형 대응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탈냉전기 들어 극명하게 드러난 동맹정치, 상이한 대북인식에서 비롯된 상이한 국가선호, 국내정치의 분절로 인해 일관된 대응전략의 추진 자체가 어려워진 데서 그 원인을 찾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reactions of ROK-U.S. Alliance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Many scholars have analyzed how North Korea have dragged on it’s nuclear program over the past 20 years, despite sanctions and coercive diplomac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me who want South Korea to do a more active and leading role insisted that the ROK-U.S. Alliance have not responded appropriately until now. Through the case study, this paper argues that the ROK-U.S. Alliance have brought an ”under-balancing” against the North Korea nuclear threat. That means responses of the alliance have not come from the normal balancing in accordance. It might to be a result of an irrational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not a rational process. There were three determinants of alliance’s under-balancing; perception of threat, solidarity of the alliance, and cohesion of the domestic politics. The reasons why the alliance responded with the under-balancing behavior are the difference of threat perception between the two allies, the weakening of the alliance solidarity, and the domestic segmental situation respectively.

      • 북한 핵위협 시나리오와 한국의 대응전략: 핵심지점 관리를 통한 “전방위 억제”

        손한별 ( Sohn Hanbyeol ),김병태 ( Kim Byungtae ) 한국군사학회 2021 군사논단 Vol.105 No.-

        North Korea has been continuing to strengthen its nuclear weapons even since 2018. It continued to develop nuclear capability and made it clear that it would not give up nuclear weapons. It is difficult to fully trust North Korea’s denuclearizarion intentions, and the need has grown to prepare to deter the current and future nuclear capabilities that North Korea clearly possesses. The important question for South Korea is, “Is there a strategy to deter and respond to the threat of North Korea, which is overconfident in its capabilities and strengthening its offensive capabilities?” This paper argues for a “Full-Spectrum Deterrence” strategy. First of all, South Korea should shift to a deterrence-oriented strategy. Second, the authors present the concepts of “strategic paralysis” and “offensive denial” to achieve the strategic objective. Third, it calls for a re-establishment of priorities i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orces in terms of means, including core capability for retaliation, the completion of the missile defense cycle, and infrastructure capabilities. It also drew the deterrence of ‘additional’ nuclear development and nuclear use, and local provocations as critical points to deter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e management of these key points will be able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use of nuclear weapons, and ultimately pressure and induce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 KCI우수등재

        WMD 폐기에 대한 국제정치적 접근 : 시리아 화학무기 폐기(2013-14) 사례

        손한별(Hanbyeol Sohn)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3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을 비롯한 협력국들과 국제기구의 연합체가 시리아의 화학무기를 폐기한 것은 국제 군축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시리아 내전 중에 화학무기가 실제로 사용되었고, 국제기구의 강압적인 제재와 개입이 이어졌으며, 시리아의 국내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협력적으로 진행되었고, 공해상의 선박 위에서 폐기된 유일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또 강대국 및 관련국들의 외교전, 유엔안보리와 화학무기금지기구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시리아의 사례는 2010년대 미국이 새로운 전략환경 하에서 추진하게 된 CTR2.0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데, CTR2.0이라는 특정 프로그램 뿐아니라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실행할 수밖에 없는 WMD 폐기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국제법에 근거한 위임명령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국제협력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화학무기 생산 및 저장시설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여 국제사회가 함께 압박해야 한다. 셋째, 급작스럽게 찾아오는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준비과정이 중요하다. 넷째, 국가기관 내, 부처간, 국가간 다차원적이고 효과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며, 다섯째, 집행과정간 불확실성과 마찰을 극복하기 위한 유연하고 융통성있는 실행, 지속적인 제도지원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WMD 폐기를 위한 준비-실시-검증 전 단계에 걸- 완전성과 정확성이 핵심 원칙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does the weapons of mass-destruction (WMD) elimination take place?” Specifically, what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process has the elimination of Syrian chemical weapons, considered an effective WMD elimination case, been made? What does the Syrian case mean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security? The elimination of Syria’s chemical weapons, in 2013-14, by a coali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other partne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isarmament. Because chemical weapons were actually used during the Syrian civil war, coercive sanctions and intervention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llowed, and the disposal proceeded cooperatively in the midst of Syria’s domestic political turmoil, and is the only case of being disposed on a ship on high seas. In addition, the role of the U.N. Security Council (UNSC) and the Organization for the Promotion of Chemical Weapons (OPCW) was outstanding. Syria’s case is considered a prime example of the CTR2.0 that the U.S. pushed under a new strategic environment in the 2010s,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limination of WMD. First, a mandate based on international law is required, which can ensure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eco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coerce on the basis of accurate information on chemical weapons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ies, etc. Third, the long-term preparation process is important to seize sudden opportunities. Fourth, multi-dimensional and effective cooperation among departments and countries is essential, and fifth, flexible implementation, continuous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to overcome uncertainty and friction during the execution. Finally, completeness and correctness should be maintained as key principles throughout the all phases for WMD elimination.

      • KCI등재

        포괄적 위험평가의 시론적 검토 : 미국 전략문서에 나타난 위험평가를 중심으로

        손한별(Sohn Hanbyeol),최원석(Choe Wonseo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2 신아세아 Vol.29 No.1

        본 논문은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틀로서 ‘포괄적 위험평가’를 소개하고 그 필요성을 주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다양한 행위자의 등장, 세계화로 인한 지리적 제약의 소실과 영역의 융합, 선형적 위기단계 무력화 등으로 융합안보·융합보안의 시대를 맞고 있다. 기존의 위협평가만으로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을 모두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위협 또는 취약성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관계와 과정에 중점을 두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산, 위협, 취약성을 함께 평가하는 ‘포괄적 위험평가’를 강조한다. 논문은 미국의 시기별, 행정부별 전략문서 중 “국가안보전략서(NSS)”를 중심으로 위험평가의 관점에서 사례를 분석한다. 국가안보전략서에 나타난 미국의 위험평가가 시기별로 어떠한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지, 왜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위협’의 주체와 양상, 스스로의 ‘취약성’을 강조하다가, 201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과의 전략경쟁이 미국의 장기적인 국가이익에 미칠 ‘위험’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시작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포괄적 위험평가가 한국의 전략기획을 위한 기초적 방법론으로서 필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nd argues for its adoption as a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element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ree perceptions of threat and threat assessment also apply to risk assessment. In the era of integrated security,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perceptions to focus not only on threats or vulnerabilities but also on bilateral relationships. To this end, this paper emphasizes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that jointly assesses assets, threats, and vulnerabilities. The paper analyze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NSS) of the United States by time and administration as examples of a risk assessment perspective. It reveals that the U.S. emphasized the subject and aspect of “threat” periodically in the 1990s, recognized “vulnerability” after 9/11 in the 2000s, and bega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risk” of strategic competition with China since the late 2010s. It also argues for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s a basic methodology for Korea s strategic planning system.

      • KCI등재

        탈냉전기 안보환경의 변화가 전략기획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과 호주의 전략기획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Younghwan Kim),김동은(Dongeun Kim),박장호(Jangho Park),손한별(Hanbyeol Sohn)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1 한국군사학논집 Vol.77 No.3

        This paper studied changes in strategic planning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due to uncertainti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Post Cold War, changes in the areas of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security challenges. The United States as super power and Australia as middle power that emerged after the Post Cold War, the portfolio mechanisms were introduced as a management method for detailed strategic element to overcome uncertainty in the security environment, expansion of security awareness and areas (Risk), and limitation of defense resources.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what they mean to overcome uncertainties and security risk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through The U.S. and Australian strategic planning documents, writte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Post Col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