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분석을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과천시를 대상으로 -

        손학기 ( Sohn Hak Gi ),정윤희 ( Jeong Yoon Hee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3 한국경관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별도로 조망점을 선정할 필요 없이 대상지 내 모든 지점을 조망점으로 하는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고, 시지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관계획에 필요한 객관적,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경관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관현황조사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정 해상도를 200m로 도출하였다. 둘째, 도시 전체의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여 도시 내에서 시각적 민감도가 높은 지역을 실증적이고, 가시적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거리 가중치를 고려한 누적가시빈도도는 단순 누적가 시빈도도에 비해 전체적인 변별력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강도를 좌우하는 요소로 ‘거리’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 지면의 수직·수평 경사각 등을 고려하여 경관민감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being used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make a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ithout having to select a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r resolution of the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as proposed 200m DEM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the source data and the its applica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area having the high visible frequency empirically. Third, the cumulative-viewshed frequency map considering the viewing distance had less discrimination than the simple map.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viewing-distance, but we will study on the intensity of visual perception considering an incidence angle, elevation angle and depression angle additionall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김동은 ( Dong Eun Kim ),성영배 ( Yeong Bae Seong ),손학기 ( Hak Gi Sohn ),최광희 ( Kwang Hee Choi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4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DEM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중심 셀과 주변 셀과의 수치를 비교하기 때문에 그 결과 값이 분석반경에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지형분류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중심 셀과 주변 셀의 높이를 비교하여 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패턴 분류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을 분류 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형분류방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기 구축된 하계망도, 유역도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패턴 분류법은 구축시간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형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방성을 이용한 패턴을 기반으로 지형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스케일종속성(scaledependency)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하였다. 이는 지형패턴에 기반한 지형분류방법이 기존의 지형분류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계승하면서 기존의 방법들과는 다른 독특한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지형과 분류된 지형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Most of previous landform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DEM compares the values between the center of the cell and the surrounding cells, which in turn, greatly depends on analysis sca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scale-dependency, a new classification scheme is developed, which is called “Geomorphons”.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es using DEM, Geomorphons is the way which compares the level with other cells against the criteria cell. As a pilot study, we classify the landforms of Pyeongchang-Gun in Korea. Then, we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ther methods such as Topographic Position Index.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we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Geomorphons can reduce the time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forms because of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Second, Geomorphons is little dependent on change in the scale, which can provide a pilot tool for reconnaissance study for covering large area.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