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계보고 정보의 질과 기업의 현금보유간의 관계

        손판도 ( Pan Do Sohn ),김성신 ( Sung Sin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09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09 No.2

        본 논문은 1980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거래소시장(KOSPI)에 상장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현금보유에 대한 회계정보의 질 효과를 검증한다. 회계보고 정보의 질은 정보비대칭을 줄이며, 대리인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역선택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국 현금보유수준을 낮게 유지할 것이다. 본 논문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 접근법에서 소규모 기업에서 회계정보의 질이 낮았으며 이러한 것은 작은 기업에서 정보비대칭이 높다는 것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회계정보의 질 대용치인 발생액의 질은 현금보유수준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1 표준편차의 발생액 질의 증가는 0.26% 및 0.27%의 현금 보유수준을 증가시켰다. 셋째,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단기 차입금을 증가시키고 현금대체성 자산이 존재할 경우 기업은 현금보유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는 반대로 높은 현금흐름을 가진 기업일수록 높은 현금보유수준을 유지하였다. 넷째, 외환위기를 전후로 하여 분석한 결과 전 기간에서 발생액 질에 대한 민감도가 높았다. 즉 기간 전 1 표준편차 만큼의 발생액 질 증가는 0.32% 또는 0.55% 만큼 현금보유수준을 증가시켰으며, 기간 후에는 0.23% 및 0.41%만큼 현금보유수준을 증가시켰다. 강건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안적인 발생액 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기존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결국 본 논문의 결과는 일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인 결론은 발생액의 질을 높임으로써 정보비대칭, 대리인비용, 자본비용 등을 낮출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경영자로 하여금 기업의 비생산적인 현금보유 수준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nd corporate cash holdings on a sample of 6,832 firm-year observations between 1980 and 2008. Financial reporting quality has been posited to reduce asymmetric information, agency cost and capital cost and in turn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As a result, firm with higher accrual quality leads corporate manager to reduce corporate cash holdings. The evidenc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ortfolio approach, small firm has higher accrual quality, implying poor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nd also this evidence is consistent with what small firm has higher asymmetric information rather than large firm. Second, the accrual quality as proxy of financial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ffect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ash holdings statistically, economically, and financially. Thus the Magnitude effect at a one standard change in the accrual quality increase leads to increase 0.26% or 0.27% on the level of cash holdings. Third, If firm increases the amount of short term borrowing from bank and is in presence of cash substitution, it tends to decrease the level of cash holdings. In contrast with this, firm with higher cash flow allow to keep high the level of cash holdings. Fourth, after classifying Before IMF and After IMF from full sample, the sensitivity of accrual quality on cash holdings is higher in sample of Before IMF. That is,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accrual quality leads to 0.32% or 0.55% increase in the level of cash holdings during the period of Before IMF, which comparing 0.23% or 0.41% increase during period of After IMF. To check the robustness of these results, alternative accrual qualities are used and after all, above all results are consistent and robust regardless of any alternative proxies and models. In conclusions, The evidences in this study suggest that financial reporting quality mitigates information asymmetries arising from adverse selection problems and agency conflicts. Finally,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nd cash holdings is stronger for firms with low quality information environments. Overall, this paper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all stakeholders who are related to firm`s financial decision strategy and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enhanced financial reporting.

      • KCI등재

        이익의 질과 미래 투자 및 투자효율성간의 관계

        손판도(Pan-Do So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1981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 거래소시장에 상장된 제조업체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여 이익의 질이 자본투자 및 투자의 효율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다. 주요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투자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동일 투자조건하에서 현재 정의 큰 재량적 발생액을 가진 기업의 내부현금흐름은 미래 고정자산 투자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자본투자조건하에서 과거 정의 큰 재량적 발생액을 가진 기업은 미래 자산수익률이 낮고 또 투자효율성도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증거는 기업이 자원을 잘못 할당한 차후에는 성과가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정의 큰 재량적 발생액을 가진 기업은 고정자산에 대한 자원배분에 오류를 범하게 되면, 투자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업이 회계 및 투자정보를 시장에 제공할 때 보다 질 높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자본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을 기업 경영자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nalyzes how one aspect of earnings quality using discretionary affects future level of capital investment and investment efficiency. Prior studies document that earnings quality have the effect on the future investment and efficiency. After testing this relationship, first, then I find that given on investment opportunities, capital investment in noncurrent assets today is less sensitive to internal cash flows for firms with large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in future time. Second, I also find that conditional on the certain level of capital investment, firms with large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have lower return on asset and in turn investment efficiency also decreases as well. As a result, firms with large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misallocate their resources into fixed asset and investment efficiency will be decreased after all. This paper implies that firm will decrease the cost of financing if firm provides information of accounting and investment to market.

      •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 다층보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손판도(Sohn, Pan Do),김진곤(Kim, Jin G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다층보장 노후준비에 대한 결정요인의 분석하며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노후준비 다층소득보장 체계 구축의 방향제시와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조사한 『제5차(2013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본조사를 기초로 응답자 11,471명중 베이비부머세대에 해당되는 1955-1963년 출생자 2,5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층보장체계에서의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여부에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성별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보다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 2층보장 체계에서 교육수준의 경우 대졸이상의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 3층 보장 체계에서 인구적, 경제적 특성이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여부에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유무에서는 자녀가 없는 사람이 부의 유의적인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준비 4층보장 체계에서 교육수준에서 중졸이하를 기준으로 고졸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대졸이상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ulti pillar pension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provides the system of multi pillar pension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direction and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multi pillar pension and building block. Today, Korean is facing the low birth and high aging in increasing old age population and unstable employment and also interesting and importa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is focused. The core in retirement preparation is the pension in previous studies. Also public pension based on retirement preparation is expected in reform of high wage level. In this study, sample is used from 5th (2013) panel data as KReIS. In this sample, respondents are 11,471 from baby boomer over 1955 to 1963 year. This paper uses the Chi-square test and t test for cross-tab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in analyzing determinants of multi pillar retirement preparation. It finds as follows. First, the coefficient of women as gender is -0.773 and significant at 1% level in determin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multi pillar. This implies that women is more weak than man in retirement preparation. Also I find that the coefficient of people variable without working income is –1.727 and significant at 1% level. This result implies that old age working background is very important in retirement preparation. Second, it finds that the coefficient of education level variable above collage education is 0.5574 and significant at 1% level. This documents that government has to provide the increasing the level of retirement preparation. Third, for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preparation for boomer, I find that the coefficient of people variable without childermas is -1.106 and significant at 10%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eople without childermas do not ready for retirement preparation of multi pillar. Fourth, I find that the variable of high school and collage level is significant at 10%,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no possible to ready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limits. First, sample is limited from 5th people investigation panel. This panel is not reliable and robust. Second, this study does not reflect the time series effect because panel is cross sectional data at once. In the future study, if these are reflected, then study will be better.

      • KCI등재

        정보비대칭과 기업가치 및 현금가치 간의 관계

        손판도(Pan-Do Sohn),백상희(Sang-Hee Bae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거래소시장의 비 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정보비대칭 및 정보비대칭과 현금보유가치 상호작용이 기업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검증 한다. 본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금보유수준에 정보비대칭은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정보비대칭이 크면 기업의 현금보유수준이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정보비대칭은 기업의 가치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정보비대칭이 커지면 기업가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러나 정보비대칭이 크고 현금보유수준이 높으면 기업의 가치가 증가하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즉 이러한 것은 현금자산이 높으면 외부투자자들은 현금자산에 대한 정보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정보비대칭이 존재하더라도 기업에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그렇다면 기업의 초과현금이 존재할 경우 이 변수와 정보비대칭간의 관계가 기업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한 결과 초과현금이 많을수록 정보비대칭이 증가하더라도 오히려 기업의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초과현금이 외부투자자들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보비대칭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 증거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n asymmetric information and level of cash holdings affect the firm value by using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SE from 2000 to 2012. In contrast to previous papers which mostly focus on the marginal value of cash with respect to different determinants of cash holdings, we focus on the marginal value of cash in connection with firm-specific and time varying information asymmetry. We test two contradictory hypotheses. According to the pecking order theory, asymmetric information leads to adverse selection and provides a value-increasing role for internal funds. However, the free cash flow theory predicts that abundant cash bundled with asymmetric information leads to moral hazard and consequently to a lower marginal value of cash. Our results indicate that information asymmetry decreases the marginal value of cash and thus strongly support the free cash flow theory.

      • KCI등재

        일본 주식시장의 조건부변동성과 증거금간의 관계

        손판도 ( Pan Do Sohn ),김성신 ( Sung Shin Kim ),신정순 ( Jung Soon Shin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0 선물연구 Vol.18 No.4

        본 논문에서는 1970년부터 1990년까지 일본 주식시장의 TOPIX와 NIKKEI225의 일별자료를 기초로 E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조건부변동성과 개시증거금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실증 분석한다 증거금은 시장에서 중요한 변통성을 규율 하는 중요한 정부 정책 수단이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거금과 주식시장의 수익률간에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며, 따라서 증거금이 높을수록 시장 수익률도 높아 결국 위험과 수익률간 상충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시장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증거금이 조건부 변동성에 부의 영향을 유의적으로 주고 있어 이러한 시장상태에서 증거금제도가 변동성을 통제할 수 있는 규율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시장 불황기에서는 증거금이 조건부 변통성 에 부의 영향을 주어 어느 정도 증거금의 변동성 통제 규율작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시장이 호황기에서는 증거금제도가 조건부 변동성이 부의 영향보다는 오히려 정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고 있어, 증거금을 높이면 변동성이 증가하는 역의 현상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시장이 불황기에서는 변동성을 높이기 위해 증거금을 낮추려는 동기가 있고, 호황기에는 변동성을 낮추려는 동기가 있지만, 이러한 증거금 변경의 풍기는 정상적 및 불황기에만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정부의 증거금제도 변경을 시장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ymmetric volatility between conditional volatility and initial margin using daily market return of TOPIX and Nikkei225 over 1970 to 1990. In prior studies. generally. it has been known that margin is regard as a main discipline to control volatility with respect to a policy tool. Our empirical test provid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return of stock market and margin. implying that as margin increases. also return increases. Thus we conclude that the trade-off of risk and return is found. Second, our result suggests that in normal state, margin affects to conditional volatility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margin pOlicy could control the conditional volatility. Third. this paper finds that in recession state. there is little bit evidence of discipline action in controlling volatility. Fourth. our paper also finds that in boom state. there Is adversely evidence of margin on conditional volatility. As a result, government has motivation to decrease the volatility in bull market state, whereas it also has motivation to increase the volatility in· bear market state. Our paper finds the evidence that the motive for changing the margin is fitted to normal and boom state. Therefore. our result suggests that government has to adjust the change of margin policy adequately to fit the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Historical Review of Financial Engineering in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Pan-Do Sohn(손판도)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5 No.-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금융공학에 대한 일반적인 역사적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거 20년간 금융 분야는 금융도구, 금융혁신 뿐만 아니라 응용수학 분야에서도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최근 금융서비스 산업의 탈규제화로 인하여 금융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새로운 금융상품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금융상품의 설계가 금융 산업에서 일어났다. 그러므로 금융 고객지향 상품을 제공하는 금융공학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금융공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미래 금융시장의 발전 및 응용 뿐만 아니라 응용수학 분야에서도 커다란 공헌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금융상품, 시장의 설계 및 향상된 컴퓨터 성능 및 통신기술의 발전은 금융공학 분야에서 지난 세기 동안 엄청난 발전 및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금융시장 및 금융기관들의 구조에도 급격한 변화가 동반되었다. 금융공학 분야에서 과학의 발전은 엄청난 금융혁신의 원동력이 되었다. 따라서 과거 많은 과학 발전이 결국 금융상품의 최종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와중에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 및 위험관리에 대한 수단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금융혁신은 결국 금융 공학 분야가 세계금융시스템을 견인할 원동력이 되었고, 금융공학이 금융소비자들에게 혁신적인 상품 및 설계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인식된 것이다. 금융공학자는 많은 분야에서 파생상품에 대한 기능을 설계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과학자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파생상품을 통한 제품 유연성 및 특정 기관설계를 통한 제품 능력 향상은 각 기관 내에 존재하는 부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금융혁신은 또한 보다 더 경제적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촉매역할을 하며 이러한 금융혁신의 기본 바탕은 금융공학을 통하여 일어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금융혁신이 새로운 상품, 새로운 서비스, 새로운 생산과정 및 새로운 조직구성으로 이루어 져 있다고 믿고 있으며, 이러한 혁신적인 상품 개발은 결국 금융공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금융혁신의 요인들은 인플레이션에 기인된 변동성 있는 금융환경, 기술진보, 규제환경 변화 및 시장인식에 대한 변화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변화는 금융시장 자체를 변화시키며 결국 투자자들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현금흐름 설계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금융공학은 새로운 설계 도구를 제공하며, 새로운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historically reviews the financial engineering which is rapidly growing in financial industry over the world. Over the past two decades, financial field has been rapidly brought revolutionary changes in financial instruments, financial innovations and processes as well as applied mathematics. Due to the deregulation of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in recent time, new financial products to meet the need of the financial customers are required. Thus new design of financial product has to be made in financial industry. Therefore, the role of financial engineering which provides the customer oriented product is an important contribution. I expect that this review of financial engineering will be big contribution in future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many financial fields and even applied mathematics. I think that new financial product and market design, improved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advances in the financial engineering field during the past quarter-century have led to dramatic and rapi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global financial markets and institutions. The scientific breakthroughs in financial engineering were shaped by the extraordinary flow of financial innovation, which coincided with those changes. I find that the cumulative impact has significantly affected all of us-as users, producers, or overseers of the financial system. Indeed, in providing the means for pricing and risk measurement of derivative securities, finance engineering has contributed fundamentally to the remarkable rate of globaliz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Financial engineers who designed derivative securities to function as adapters made this possible in large part. In general, the flexibility created by the widespread use of derivatives as well as specialized institutional designs provided as effective offset to dysfunctional country specific institutional rigidities. Financial innovation is a central force driving the financial system toward greater economic efficiency with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 having accrued from the changes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Mostly people suggest that financial innovations can be grouped as new products, new services, new production processes, and new organizational form. I document that factors for financial innovation are volatile financial environment due to inflation, technology, changes in the regulatory environment, and changes in perceived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옵션가격에서 B-S 스타일 내재변동성모형과 Dupire 스타일 국지변동성모형의 비교

        손판도 ( Pan Do Sohn ),최칠선 ( Chil Sun Choi ) 한국금융공학회 2016 금융공학연구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BS모형에 의해 유도된 내재변동성과 Dupire 스타일 국지 변동성모형간의 관계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BS모형에 의해 내재된 변동성과 유사한 변동성 모형을 탐색하고 보다 나은 현실적인 변동성모형을 발견하며 고정변동성 변수에 종속되지 않은 현실적인 가격과정을 응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의 동기는 옵션시장의 스마일 현상과 Dupire(1994)가 제안한 국지변동성모형을 사용하여 스마일 현상을 보다 더 설명할수 있는 해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BS모형의 내재변동성은 체계적인 옵션행사가격과 만기 까기 기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Derman과 Kan (1994), Dupire (1994) 및 Rubinstein (1994)등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과정은 BS모형에서 제시한 고정변동성 가정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는 데 기인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콜 가격에 대한 Dupire 스타일 국지변동성 모형을 유도하고 내재변동성과 관련된 Dupire 스타일 국지변동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의 결과는 Dupire스타일 국지변동성모형이 옵선 가격 결정 시 고정 변동성 또는 내재변동성에 대한 대안적 변동성 모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mplied volatilities inferred by the BlackScholes model and volatilities derived by the Dupire style local volatility model. By stud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lied volatility by B-S model and Dupire style local volatilities, we can search for models that have similar volatilities to those of Black-Scholes models, and find the more realistic volatility and also applies plausible price process that do not depend on a constant volatility, unlike the ones of the Black-Scholes models. Also Derman and Kani (1994), Dupire (1994), and Rubinstein (1994) attribute this behavior to the fact that the Black-Scholes constant volatility assumption is violated in real situation. We derive Dupire style local volatility in call price and Dupire style local volatility in terms of implied volatility. Then we compare implied volatility from B-S option pricing, Dupire style local volatility which is derived local volatility in call price and local volatility in terms of implied volatility by simul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Dupire sytle local volatility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ve volatility to normal volatility or implied volatility in pricing option.

      • KCI등재

        자산증가와 주식수익률간의 관계

        손판도 ( Pan Do Sohn ) 한국금융공학회 2012 금융공학연구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1990년-2010년까지의 거래소시장(KOSPI)시장에 상장된 비 금융공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산증가와 이후 주가수익률 간의 관계를 검증한다. 이론적으로 첫째, 성장옵션과 관련하여 기대수익률은 이자율, 자산의 평균체계적 위험, 성장옵션의 수 및 가치에 의해 조건부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업은 성장옵션과 자산의 혼합 상태에서 성장옵션이 자산보다는 본질적으로 보다 위험하며, 성장옵션 행사에 따라 나타나는 체계적인 위험의 감소는 투자와 이후 주가수익률간 부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둘째, 기업이 투자에 대한 조정비용을 경험하게 되면 자산성장과 수익률간에 부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를 기초로 본 논문에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산증가율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후 주가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수익률이 부의 유의적인 값을 보였다. 둘째, 횡단면회귀분석에서 자산증가율은 이후 주가수익률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기업 규모별 실증분석 결과 중간규모의 기업군에서 자산증가가 이후 주가수익률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강건성을 보였다. 결국 과거 자산증가율이 높은 기업은 이후 주가수익률이 하락한다는 이론적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에게 포트폴리오 전략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growth and subsequent stock return for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OSPI over 1990-2010. Theoretical backgrounds are as follows: First, growth option is more risky than asst in place from mixed condition with growth option and asset in place because the expected returns related to growth option, average systematical risk, interest rate, the number and value of growth option depend on their effects. Also systematical risk reduction from the exercise of growth option suggests that investment and subsequent return are negatively related each other. Second, it should b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sset growth and subsequent return if firms experience adjustment cost on firm investment. Based on these theorie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finds that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value from portfolio based on asset growth. Second, I also provide the evidence that asset growth has the negative effect significantly from cross-sectional regression. Third, after firm classification based on size, I find that firms with medium size have more significantly asset growth effect on subsequent stock return. These results are robust after controlling for characteristic variable of firms. As a resul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rms with high asset growth tend to have low subsequent stock return, supporting the theoretical result from previous paper.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test in this paper imply that stock market participants could make important strategies in operating their funds to enhance investment return.

      • 현금보유 수준이 정보비대칭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손판도 ( Pan Do Sohn ) 한국금융공학회 2013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3 No.2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거래소시장의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정보비대칭 및 정보 비대칭과 현금보유가치 상호작용이 기업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검증 한다. 본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금보유수준에 정보비대칭은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정보비대칭이 크면 기업의 현금보유수준이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정보비대칭은 기 업의 가치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정보비대칭이 커지면 기업가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러나 정보비대칭이 크고 현금보유수준이 높으면 기업의 가치가 증가하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즉 이러한 것은 현금자산이 높으면 외부투자자들은 현금자산에 대한 정보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정보비대칭이 존재하더라도 기업에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그렇다면 기업의 과잉현금이 존재할 경우 이 변수와 정보비대칭간의 관계가 기업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한 결과 과잉현금이 많을수록 정보비대칭이 증가하더라도 오히려 기업 의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과잉현금이 외부투자자들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기 때 문에 정보비대칭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 증거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n asymmetric information and level of cash holdings affect the firm value by using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SE from 2000 to 2012. In contrast to previous papers which mostly focus on the marginal value of cash with respect to different determinants of cash holdings. I focus on the marginal value of cash in connection with firm-specific and time varying information asymmetry. I test two contradictory hypotheses. According to the pecking order theory, asymmetric information leads to adverse selection and provides a value-increasing role for internal funds. However, the free cash flow theory predicts that abundant cash bundled with asymmetric information leads to moral hazard and consequently to a lower marginal value of cash. Our results indicate that information asymmetry decreases the marginal value of cash and thus strongly support the free cash flow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