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유동하는 현대 오키나와 사회와 여성의 "내면":오키나와 및 본토 출신 여성작가의 대비를 통하여

        손지연 ( Ji Youn Son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61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Inner Side`` of Okinawan women that was never described properly. To be specific, separating into three groups, the female authors of Okinawa and mainland, and by further, female authors, and male authors, it is to study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description depending on their stance. As the result, some of the interesting features are; (1) the ones exposed directly to malady of the modern Okinawan society are the women. The common thing is that Okinawan men`s presence is insignificant at this point, and all the men from mainland, who newly appeared after the return, are displayed with negative images. Above all, (2) as the ``inner side`` of fe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delicately, it is interesting that they inevitably encounter the ordeals of Okinawa. It points out the largely discriminated points with male authors` way of description, who placed the women, and their bodies without the description of women characters` ``inner side``. Lastly, (3) when mainland females authors use ``Okinawan woman`` as the theme, it makes the issue out of the limitations that shows,The problem here is that ``Inner Side`` of Okinawan women was ignored, and illustrated in the superficial image that was captured in the discriminated gaze(orientalism) of mainland women. Thus, this limitation was not only of the author, Shiraishi Yaoi, if looked back a little, indication was made that the limitation could be found many times among the feminists of mainland such as Ichikawa Husae.

      • KCI등재

        마이너리티의 언어와 신체 -사키야마 다미에서 한림화까지-

        손지연 ( Son¸ Ji-youn ),김동현 ( Kim¸ Dong-hy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4

        이 글의 관심은 제주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이 표준어 문학장에 대응하는 양상들을 살펴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제주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을 함께 살펴보는 이유는 언어적 위계가 일국적 차원의 특수하고 개별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특히 제주어와 오키나와어는 각각 표준어라는 상징 언어와 다른 독특한 언어체계를 구축해왔다는 점에서 좋은 비교 대상이 되는데, 이를테면 한림화와 사키야마 다미의 작품에서 구현되고 있는 언어의 위계 극복, 언어적 실천 문제가 그것이다. 무엇보다 표준어라는 자명한 세계를 거부하고 이질적인 발화들로 가득한 지역어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점에서 두 작가가 공명하는 바가 크다. 두 작가의 작품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누가 말하는가, 누가 기억하는가를 둘러싼 기억투쟁이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투쟁’이었던 점은 분명하나,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투쟁을 (여성)수난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오히려 국가의 기억이 지니고 있는 폭력성을 지역 안에서 되풀이하는 일이 될 수 있으며,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언어를 대상화하지 않고 주체적 선택과 자율적 의지를 표출했던 아우성으로 기억할 때 제주와 오키나와의 기억은 한층 더 풍부해질 수 있으리라는 사실이다. The interest in this article began attempting to examine aspects of Jeju literature and Okinawa literature responding to the standard language literature books. The reason for looking into Jeju literature along with Okinawa literature is to investigate that the linguistic rank is not a special and individual problem at the national level. Jeju and Okinawa, especially, are good comparison targets for having established unique language systems differ from the symbolic language of the standard language, respectively, for example, it is the matter of overcoming the rank of language and linguistic practice embodied in the works of Hanlimhwa and Tami Sakiyama. Above all, the two writers resonate greatly as rejecting the self-evident world of standard language an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local language full of heterogeneous uttering. After comparing the works of the two writers, the following meaningful conclusions were obtained. That is, it is clear that the memory struggle surrounding who speaks and who remembers was a “memory struggle between Jeju and Okinawa” but looking at the memory struggle between Jeju and Okinawa from a (female’s) historic perspective of suffering can be a repetition of the violence of the nation’s memories in the region, and it is a fact that memories of Jeju and Okinawa can be even more enriched when remembered as an outcry that expressed independent choices and autonomous wills without targeting the languages of women and other minorities.

      • KCI등재

        개발과 근대화 프로젝트 : 제주와 오키나와가 만나는 방식

        손지연 ( Ji Youn Son ),김동현 ( Dong Hyun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翰林日本學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개발과 근대화 담론이 지역에 가해진 폭력의 양상을 제주와 오키나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데에 있다. 특히 제주에서의 개발담론과 ‘일본 복귀’ 이후 오키나와 부흥프로젝트와의 관계를 당시 개발 담론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는 현기영과 오시로 다쓰히로의 작품을 통해 지역의 대응 방식을 비교하였다. 제주와 오키나와는 모두 개발과 근대화 담론이라는 이름으로 지역에 가해진 폭력에 노출되었고, 지역 주민들은 이를 내면화하거나 저항해왔다. 이러한 근대화 프로젝트는 단순히 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이 타자를 만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개발담론은 단순히 경제적 성장이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지역을 이데올로기로적으로 재편하려는 국가의 욕망과 맞닿아 있다. 현기영의 「마지막 테우리」는 이러한 국가 폭력의 연속성을 초원과 해변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근대가 억압해왔던 역사책임을 외면하고 그 자리를 가시적인 근대화 담론으로 치장하려는 개발 전략 저항하는 서사적 전략이다. 오시로 다쓰히로의 경우도 오키나와 경제부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경제부흥이 노정할 수밖에 없는 은폐된 폭력의 양상을 서사화하고 있다. 「후텐마여」는 ‘기지 속 오키나와’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의 ‘일상’에 주목한 작품으로 미일 양국 주도하의 기지경제에 포섭된 오키나와인의 내면적 저항을 보여준다. 현기영과 오시로 다쓰히로는 ‘개발’과 ‘근대화’라는 근대적 호명을 외면하는 지역적 신체를 발견해 낸다. 한국과 일본 정부에 의해 주도된 제주와 오키나와의 근대화 프로젝트는 지역에 대한 우호적 시선 혹은 시혜적 접근이 아니라 냉전의 질서 속에 편입되어 갔던 동아시아의 상황, 그리고 지역에서의 국가의 책임을 ‘발전’과 ‘성장’의 외형 속에 은폐하기 위한 국가의 기획이 작동이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aspects of violence inflicted on the region by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rough the examples of Jeju and Okinawa. Especiall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discussion in Jeju and the Okinawa revival project after the return of Japan, the local response methods were compared through the works of Hyun Ki-young and Oshiro Tatsuhiro, who viewed development discussio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t the time. Development discourse is not just in terms of economic growth, but also in line with the country’s desire to reshape the region ideologically - often based on hierarchy. Hyun Ki-young’s 「The Last Shepherd」 shows the continuity of this national violence through the confrontation between meadows and beaches, which is an epic strategy where non-modern bodies were actively called out agains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ignoring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that the modern era had suppressed and tried to decorate their place with visible modernization discussion. Oshiro Tatsuhiro’s case also embodies the aspect of concealed violence, in which economic revival had no choice but to roam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Okinawa’s economic revival. 「Dear Futenma」is a work that focuses on the "daily life" of those living in ‘Okinawa in base’, show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Okinawans who were recruited into the base economy led by both the U.S. and Japan. Hyun Ki-young and Oshiro Tatsuhiro discover local bodies that ignores the modern terms,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e modernization project between Jeju and Okinawa, led by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shows that it wasn’t a friendly nor considerate approach to the region, but the situation in East Asia, incorporated into the Cold War order, and the nation’s plan to cover up the nation’s responsibilities in the region under the looks of ‘development’ and ‘growth’.

      • KCI등재

        ‘점령’을 둘러싼 일본(적) 상상력

        손지연(Son, Ji Yo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3

        Though the two postwar writers, Araki Takashiwa and Nagayo Yoshiro, had different dispositions, there are a number of similarities in their works, especially in the case of “Bridge of Heart” and “One and a half of Talk”, which were written in the early occupation period. This thesis focuses on the novels of two male writers and points out that the woman characters depicted by them are merely an imitated woman who was created based on the ambition and imagination of the Japanese men during the Occupation, who tried to keep the sex or virginity of their women from the occupiers. In addition, an observation was made by Kikuchi Kan, the main disputant of that time, on the changes of awareness about women"s sex and virginity that can be detected in Japanese men after the defeat and occupation. This was also seen in an article in the magazine, “Fujinkoron,” about a widow.

      • KCI등재

        젠더 프레임을 통해 본 미 점령기 오키나와 소설

        손지연(Son, Ji-youn)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5 No.-

        In 1945, Japan was defeated and Korea, liberated. Lost and liberation, though the starting point for both countries after the war was totally opposite, one common thing was that both countries ended up under the occupation of America. The leverage of the US was quite big whe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of Korea and Japan after the war. And even among the same people, women’s defeat and men’s defeat, women’s liberation and men’s liberation were not the same. In same context, like Korea or Japan mainland, Okinawa is yet in another position. With the defeat of Japan, as Okinawa was freed from the mainland, it was occupied by America. And of course, the postwar for Okinawan women, whether it was defeat or liberation, was not same as the Okinawan men. With these aspects observed,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work of Oshiro Tatsuhiro and Higashi Mineo through the gender frame. Although it is not hard to imagine that their work reflects Okinawa’s transition period for returning to Japan after the occupation, it would be meaningful to study how that is portrayed in the certain gender-structure specifically, and how that is similar and differ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후 오키나와(인)의 성찰적 자기서사 『신의 섬(神島)』: "오키나와 전투"를 사유하는 방식

        손지연 ( Ji Youn So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전후 오키나와에 있어 전전(戰前)과 구분되는 전후(적) 사유, 혹은 본토와 구분되는 오키나와(적) 사유의 출발은 모두 오키나와 전투의 경험으로부터 촉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시로 다쓰히로의 『신의 섬(神島)』(1968)은 오키나와 전투가 내재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여과 없이 담고 있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무엇보다 그 내용이 일본 본토인들에게도 오키나와인 스스로에게도, 더 나아가 우리 한국인들에게도 ‘불편’할 수 있는 소설이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되는데, 이를테면 본토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마이너리티라는 유사한 입장에 있던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 오키나와 내부 주민들 간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등이 첨예하게 맞부딪히는 양상들이 그러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 관점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1) 소설 『신의 섬』이 작가 자신은 물론 본토인, 오키나와인 모두에게 불편한 소설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고, (2) 주인공 다미나토 신코와 후텐마 젠슈의 팽팽한 대결구도를 통해 드러나는 오키나와 특유의 성찰적 사유와 그 의의와 가능성을 짚어본 후, (3) 소설 전반에 흐르고 있는 ‘가해’와 ‘피해’ 구도의 역설 혹은 균열, 그리고 그 역설적 구도가 내포하는 의미를 문제 삼고자 하였다. For postwar Okinawa, it is not so exaggerated that the thought of postwar distinguished with before war, or the beginning of Okinawa’s thinking distinguished from mainland, has all been unleashed by the experience from the battle of Okinawa. ‘The God’s Island’ by Oshiro Tatsuhiro (1968) requires attention for the fact it depicted th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herent in the battle of Okinawa. Its meaningful since this is a novel with the content that can be ‘uncomfortable’ not only for Japanese of Mian land, and Okinawans themselves, but also for us, Koreans, because of such aspects that the relationship with mainland, with the colony, Joseon, with similar position as the minority, conflict among Okinawa residents, and the generations acutely clash each other. In this thesis, three perspectives are to be focused on. First, it will observe the reason why the Novel ‘God’s Island’ had to be an uncomfortable novel not only for all the Okinawans but also for author himself as well, second, se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Okinawan’s distinctive reflective thinking shown through confrontation of the main characters, Daminato Shinco and Hutenma Jenshu, and then lastly, will make an issue about the paradox or collision in structure of harm and harmed, and the meaning connoted by paradoxical structure.

      • KCI등재

        오키나와 공동체 구상과 여성의 섹슈얼리티: 일본 “복귀” 전후 오시로 다쓰히로 텍스트를 중심으로

        손지연 ( Ji Youn S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9

        전후 오키나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오시로 다쓰히로는 ‘오키나와인은 누구인가’ ‘일본인은 누구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찾고자 부단히 노력해 온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노력이 시사적인 것은 이것이 단순히 오키나와, 오키나와인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식민지적 상황, 그 안에서도 가장 직접적인 폭력에 노출된 여성, 마이너리티 문제와 직결된 사안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일본복귀에 즈음하여 오시로가 제시한 오키나와 공동체 구상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오키나와 공동체 구상이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만나는 방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과 오키나와, 일본(본토), 한국, 중국 등의 상황과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자기성찰의 지평을 확대시켜 간 데에서 오시로 텍스트가 갖는 위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그 과정에서 젠더 불균형 문제라든가 오시로 식 오키나와 공동체 비전이 갖는 한계성 또한 엿볼 수 있었다. Oshiro Tatsuhiro, an author representing Okinawa literature of post-war, is well known for his constant effort to find answers to fundamental questions ‘who are Okinawans’, ‘who are Japanese’. The reason why his effort is an issue is because it`s doesn`t show just Okinawa or internal matter of Okinawans, but also the case that directly connects to colony situation of East Asia including us, women exposed to violence among those, and minority matter. Beginning with this critical mind, observation was made on formation of Okinawa Community about the time of Japanese restoration which was suggested by Oshiro and it`s definition, then discussed the way of concept of Okinawa Community connecting with women`s sexuality. Through this, we could confirm the positive force through Oshiro`s text since he confronted the situations with America and Okinawa, mainland Japan, Korea or China, and expanded the area of self-reflection, and we could also see the gender imbalance problems or the limits in vision of Oshiro-style Okinawa community.

      • KCI등재

        전쟁체험의 (사)소설적 재현과 일본군 "위안부" 표상 -후루야마 고마오의 소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손지연 ( Ji Youn Son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5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9 No.-

        이 글의 관심은 ‘사소설’ 작가로 알려진 후루야마 고마오의 소설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묘사라고 할 수 있다. 한일 양국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의 중심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가로 놓여 있음을 상기할 때, 전쟁체험을 소설화한 후루야마 고마오의 작품이 내포하는 함의는 소설 안팎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쟁을 배경으로 한 후루야마 고마오의 소설을 크게 두 가지로 특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하나는, 소설 속 ‘나’=작가 자신과 ‘일본군’을 분리하고 일본 제국이 수행한 ‘침략전쟁’으로부터 끊임없이 거리를 두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신의 전쟁체험(무분별한 여성 편력 포함)을 여과 없이 ‘진솔하게’ 표현한 것처럼 보이나, 그 이면에는 작가 자신의 지극히 주관적이고 단편적인 ‘기억’을 ‘사소설’이라는 특수성 안에 가둠으로써 일본, 일본군의 전쟁책임을 면피하거나 은폐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Interest of this paper has begun to critically view from the novel of Huruyama Komao, known as an "I Novel" writer. What cannot be omitted about his novel is the description of the Japanese "comfort women". When reminding that Japanese comfort women" issue was the heart of the thorny conflict over the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implication that was included in Huruyama Komao``s novel, which was a fictionalized war experience, would have important meaning in and outside. In this article, the work of Huruyama Komao that described the war as a backdrop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features. One is that "I"=author of the novel separating himself from Japanese military and effort trying to distant from the ``invasion`` carried out by Japanese empire, and the other, though his war experiences (including indiscreet female wanderer) may look honest in expression without filtration, it was viewed critically for by trapping his fragmentary and subjective memory into so-called "I novel", it included the intention to evade or conceal the war guilt of Japanese army.

      • KCI등재

        < 특집 : 기억의 문화적 재현과 기억투쟁 > ; 오키나와 전투와 제주 4,3사건을 둘러싼 기억투쟁 -오시로 다쓰히로 『신의 섬』과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중심으로

        손지연 ( Ji Youn S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이 글은 오키나와와 제주가 갖는 특수한 역사와 문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아시아.태평양 전쟁말기에 벌어진 오키나와 전투와 1948년 전쟁에 준하는 무차별적 폭력사태가 있었던 제주 4.3사건은 국가권력의 변방에 위치한 두섬의 비극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상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사태의 비극을 정면에서 다룬 기념비적인 작품 오시로 다쓰히로의 신의 섬과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비교 분석하여 오키나와 전투와 4.3을 둘러싼 기억투쟁의 차이와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를 문제 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두 소설이 ‘집단자결’과 ‘집단학살’이라는 금기의 기억에 주목하고 폭로한 점에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기억투쟁의 향방(비전)을 제시하는 방식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후의 작품에서 현기영은 국가폭력 사태에 분노하고 고발하는 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용서와 화해라는 예정된 수순을 밟아간 반면, 오시로의 경우 본토에 반응하는 형태로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은 그러한 예증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terest in the unique history and literature of Okinawa and Jeju Islands. The Battle of Okinawa at a late stage of the Asia-Pacific theatre of World War II, and the indiscriminate violence in the 4.3 Jeju Massacre directly show the shared tragedy of the two islands; furthermore, they are are both located on the frontier of a nation``s authority, and thus are symbolic cases. This thesis analyzes Oshiro Tatsuhiro``s Island of the Gods and Hyun, Ki Young``s Sooni``s Uncle, both directly deal with the tragedy of two different but analogous incidents, and question the difference in memory struggle and definitions. Thus, though both novels show a similarity in focusing on and exposing the forbidden memory of mass suicide and massacre, the methods of suggesting the course of memory struggle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contrast to Hyun who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fury, accusations, and violence of South Korea to espouse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Oshiro showed the changes in the form of responding to the mainland Japan.

      • KCI등재

        패전 이후 전환기 시대의 두 여성작가

        손지연(Son, Ji Yo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1

        This thesis is focused on comparing and studying the post-war works of the female writers Miyamoto Yuriko and Hayashi Humiko, who became active before the World War II and during wartime. First, in the case of Miyamoto Yuriko, she expressed antagonism against state violence and the fascism of the pro-emperor throughout the wartime, and joined the writers" union, which was part of the Japanese proletariat, in 1930 when the war intensified. She led a hard life of being imprisoned, discharged, and banned from writing. Hayashi Humiko, on the other hand, as a member of the wartime "pen battalion", cooperated actively, and she published numerous works catering to the state of affair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new keyword “anti-war” is lumps together two female writers who came from such different backgrounds. The limitations of both authors are clear. Humiko took on the role of cheerleader for the war faithfully, vividly showing the aftermath of defeated war and mental panic, while Yuriko, who was one of the few female writers who could be questioned for the post-war responsibility of the literati as a proletarian wri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