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대형관정 지하수 수질평가

        조재영 ( Jaeyoung Cho ),손재권 ( Jaek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김영주 ( Youngju Kim ),황선아 ( Seonah Hwang ),정혜란 ( Hyeran Jeong ),김영근 ( Youngkeun Kim ),유상윤 ( Sangyun You ),홍성현 ( Sunghyun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는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대형관정의 지하수를 중심으로 101개 농업용수 지하수의 경작·재배이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한 지하수 중 pH는 6.01-8.48의 범위로 평균값은 7.21로 조사되었다. 질산성 질소는 0.07-1.81 mg/L의 범위로 평균값은 0.85 mg/L로 나타났다. 염소이온는 0.07-59.07 mg/L의 범위로 평균 값은 8.54 mg/L로 나타났다. 페놀은 0.001-0.0049 mg/L의 범위로 평균값은 0.0026 mg/L로 나타났다. 납은 0.001-0.989 mg/L의 범위로 평균값은 0.019 mg/L로 나타났다. 6가 크롬은 0.0002-0.0482 mg/L의 범위로 평균값은 0.0176 mg/L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머지 카드뮴, 비소, TCE, PCE, 1.1.1-트리클로로에탄은 검출 한계미만으로 나타났고, 시안, 유기인, 수은은 불검출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대형관정의 지하수는 농업용수 기준 수치 이하로 조사되어 적합한 농업용수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griculture water quality for under ground well at eastern mountainous area in Jeollabuk-do. Samples were analyzed to contain general water quality index such as pH, NO<sub>3</sub>-N, chloride ion, and pollutant material such as CN, organic phosphates, phenol, TCE(trichloroethylene), PCE(tetrachloroethylene), 1.1.1-trichloroethane, Cd, As, Hg, Pb, Cr<sup>+6</sup>, respectively. These analyzed data were compared with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As a survey results, underground well at eastern mountainous area in Jeollabuk-do are below the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it is demonstrate that the groundwater is suit as agricultural water.

      •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 농업용 대형관정 지하수 수질평가

        조재영 ( Jaeyoung Cho ),손재권 ( Jaek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김영주 ( Youngju Kim ),황선아 ( Seonah Hwang ),정혜란 ( Hyeran Jeong ),김영근 ( Youngkeun Kim ),유상윤 ( Sangyun You ),홍성현 ( Sunghyun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는 농작물의 경작·재배의 목적으로서 농업용수로 이용되며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설립한 대형관정의 지하수 수질을 평가하고자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 농업용 대형관정 11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수 중 pH는 6.01-8.34 범위로 평균은 6.90으로 나타났다. 질산성질소는 0.03-5.80 mg/L의 범위로 평균은 1.62 mg/L로 나타났다. 염소 이온은 7.3-1566.9 mg/L의 범위로 평균은 82.4 mg/L로 나타났다. 염소 이온은 일부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해안지역의 염수쐐기 현상으로 추정된다. 비소는 0,0001-0.0497 mg/L의 범위로 평균은 0.0226 mg/L로 나타났다. 페놀은 0.0001-0.0048 mg/L의 범위로 평균은 0.0025 mg/L로 나타났다. 납은 0.0003-0.0987 mg/L의 범위로 평균은 0.0256mg/L로 나타났다. 6가 크롬은 0.0002-0.05mg/L의 범위로 평균은 0.0102 mg/L로 나타났다. 시안, 유기인, 수은, TCE, PCE, 1.1.1-트리클로로에탄은 모두 불검출 되었다. 상기 요약한 각 항목의 결과는 농업용수 기준 수치 이하의 수준으로 조사되어 농업용수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agricultural water quality for underground well at western coastal area in Jeollabuk-do. Samples were analyzed to contain general water quality index such as pH, NO<sub>3</sub>-N, chloride ion, and pollutant material such as CN, organic phosphates, phenol, TCE(trichloroethylene), PCE(tetrachloroethylene), 1.1.1-trichloroethane, Cd, As, Hg, Pb, Cr<sup>+6</sup>, respectively. These analyzed data were compared with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As a survey results, underground well at western coastal area in Jeollabuk-do are below the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it is demonstrate that the groundwater is suit as agricultural 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