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의 시간과 ‘견딤’의 감각 - 박완서와 오정희를 중심으로

        손유경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8

        이 글은 노년기의 인간이 자신과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감각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박완서와 오정희의 대표적 노년소설을 분석하고, 성장소설 속 청년 주인공이 ‘추구하는 자’로 그려지는 데 반해 노년소설의 주인공은 ‘견디는 자’로 형상화되는 양상과 그 맥락을 고찰한 것이다. 기왕의 노년소설 관련 논의에서는 사회가 노인을 어떻게 타자화하는지가 주로 다루어졌다면, 본고는 노인이 스스로를 어떻게 타자화하고 자기 자신과 멀어지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몬 드 보부아르와 장 아메리가 시도한 노년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논의의 지렛대로 삼는다. 2장에서는 유년기와 대비되는 노년기의 자아 인식이 자신의 분할된 신체 이미지를 바탕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 노년의 거울 단계에서 박완서와 오정희 소설 속 나이 든 인물이 자기 자신과 불화하고 자기를 혐오하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과하며 비로소 몸을 ‘발견’하게 되는 장면에 주목한다. 노년기의 여성 인물은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구분하거나 젊음과 늙음이 여러 겹으로 겹쳐 있는 상태로 감각하기도 하며, 생물과 무생물이 공존하는 장소로 인식하기도 한다. 3장에서는 노년의 인물을 ‘죽음에 가까이 다가가는 자’가 아닌 ‘죽음을 가까이에서 목격한 자’로 규정하고 그들이 삶이나 생명을 대하고 바라보는 독특한 방식이 다름 아닌 이 목격자 정체성에서 비롯됨을 밝혀본다. 박완서가 ‘고운 죽음’에 내재된 지독한 아이러니를 폭로했다면, 오정희는 죽음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삶이 저주스러운 노부부의 황폐한 일상을 가감 없이 묘사한다. 이처럼 박완서와 오정희의 노년소설에서 나이 든 인물은 점점 낯설어져만 가는 자기 자신과의 불화를 견디거나, 앞선 죽음들을 목격한 이후에도 언제 끝날지 모르는 지루하고 공포스러운 일상을 영위해야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오로지 겪어낼 뿐 반추하거나 계획할 수 없는 노년의 시간은 ‘견딤’에 대한 우리의 감수성을 시험한다. 박완서와 오정희의 노년소설 분석을 토대로, 본고는 노년이 평온함을 가져다준다는 안일한 편견을 뒤집는 동시에 ‘노인 문제’라는 사회학적 범주 자체를 심문함으로써, 늙어감이라는 인간적 조건에 대한 깊이 있는 인문학적 성찰의 중요성을 새삼 환기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일하는 사람의 ‘아플’ 권리 : 198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질병과 섹슈얼리티

        손유경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1980년대 중반 무렵 우리 소설에는 당시 역사 변혁의 주체로 급부상한 노동자와 운동권 대학생이 새로운 등장인물로 출현한다. 이 낯선 인물들이 과연 어떠한 문학적 재현의 틀 안에서 움직였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생산 및 재생산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몸’에 관한 문학적 상상력의 체계를 분신(焚身)과 변신(變身), 그리고 헌신(獻身)이라는 세 가지 모티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그들’과 ‘우리’의 대립각이 두드러지는 대표적 노동소설에서 노동자의 ‘의식’이 아닌 ‘몸’이 초점화되는 경향을 논했다. 젊은 남성 노동자의 강건한 신체가 산업재해나 공권력, 또는 구사대의 폭력에 의해 순식간에 꺾이고 훼손되는 장면을 대위법적으로 배치한 정화진ㆍ방현석ㆍ안재성 등의 소설은, 왜 주요 인물과 심지어 작가까지도 산재나 분신(焚身)으로 급격히 붕괴되는 노동자의 육체를 ‘필요’로 했는지 질문하게 만든다. 3장에서는 충격적 사고가 아닌 질병이나 후유증으로 고통 받는 노동자의 몸을 김향숙과 김영현 등이 어떤 관점에서 포착했는지 살펴본다. 이들 소설에서 만성 질병은 대체로 여성 노동자의 몫으로 그려지는데, 질병으로 무너지는 인물의 몸은 본보기의 가치를 지니지도 돌봄의 대상도 되지 못한다는 한결같은 양상을 보인다. 중요한 것은 질병으로 고통 받는 인물들에게 조용히 혼자 앓을 시간조차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끔찍한 폭력의 희생자가 아닌 서서히 앓는 이들을 위한 소설적 공간이 매우 비좁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참혹한 고통을 겪은 후 후유증에 시달리며 돌봐지지 않는 인물의 몸을 표상하기 위해 변신(變身) 모티프를 도입한 김영현의 소설은 사뭇 이질적인 상상력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당시 소설이 ‘그들’과 ‘우리’의 적대적 관계 속에서 누군가에게 ‘필요한’ 몸이 아니라 ‘너’와 ‘나’의 일상에서 누군가가 ‘원하는’ 몸을 어떻게 형상화했는지를 살폈다. 방현석이나 홍희담, 김향숙 등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들은 가정과 일터에서 고된 돌봄 노동에 내몰리는데, 특히 김향숙은 극한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공감하고 헌신(獻身)하는 독특한 여성 인물을 창조함으로써 인간적 취약성에 대한 새로운 소설적 상상력을 선보였다. 노동자의 질병과 섹슈얼리티에 관한 1980년대 소설의 상상력을 돌봄의 진보라는 가치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 글은 일하는 사람들이 가정과 일터에서 ‘앓을 권리’를 회복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화두임을 환기하고자 했다. In the mid-1980s, new characters, such as workers who have risen as the agents of historical change and student activists, were introduced into Korean nove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rame of literary reproduction which served as the stage for these unfamiliar characters.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of literary imagination of the “human body at work at production sites and reproduction sites,” by focusing on three motifs-self-immolation, transformation and devotion. In Chapter 2, this paper discusses how emphasis is put on the worker’s ‘body,’ rather than their ‘mind’ in representative labor novels which highlight the animosity between ‘them’ and ‘us.’ Novels by Hwajin Jeong, Hyeonseok Bang and Jaeseong An, which include contrapuntal placement of scenes where healthy bodies of young male workers are broken and damaged in an instant by industrial accidents or due to governmental authority or the violence of the past, make us question why the main characters and even the author ‘needed’ the worker’s body to be drastically destroyed by industrial accidents or by self-immolation. Chapter 3 focuses on how Hyangsook Kim and Yeonghyeon Kim captured the worker’s body which is in pain, not due to a shocking accident, but as a result of an illness or its aftereffects. Female workers are usually victims to chronic diseases in these novels, and in all cases the deteriorating body is not valued as an example and nor does it become an object of care.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haracters who suffer from illness do not even have time to suffer quietly in solitude. Considering that the space for characters who gradually suffer has been very small compared to the victims of terrible violence, Yeonghyeon Kim’s novel, which adapted the transformation motif to portray the body of a character that does not receive care after experiencing extreme pain and suffering from its aftereffects, is quite distinctive in its imagination. In Chapter 4,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body someone ‘wants’ in ‘your’ and ‘my’ everyday life, rather than the body someone ‘needs’ in a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us,’ was projected in the novels of the era. In the novels by Hyeongseok Bang, Heedam Hong and Hyangsook Kim, female characters are subject to exhausting care labor, both at home and at work. Hyangsook Kim, in particular, created a distinctive female character that is compassionate and devoted despite the extreme labor and displayed a new form of imagination on human vulnerability in her novels. By taking a critical viewpoint towards the imagery in novels on the worker’s illness and sexuality written in the 1980s, in accordance with the notion of the progress of caring, this paper aims to call attention to the pivotal issue of the present time-to reclaim the worker’s ‘right to be ill’ at home and at the workplace.

      • KCI등재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膠着): 박현채와 조한혜정을 중심으로

        손유경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5 No.-

        This paper examines complex interrelations of progressive movement of academic field and of literary field in 1980’s Korea by focusing on problematic writings of Park Hyun-chae and Johan Hye-jeong. Both Park and Johan are key figures in understanding historical context of significant change in cultural, academic, and literary field during 1980’s. In this perspective, chapter II deals with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conflict between Park Hyun-chae’s economic theory of state monopoly capitalism and Baek Nak-cheong’s literary critics based on nationalism. Although Park and Baek have been largely understood as being in coopera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 Park’s position are more critical than expected especially when it comes to an issue of ‘literature in third world.’ In chapter III, I discuss Park Hyun-chae’s academic writings on Minjung and his public dialogue with Minjung-oriented literary critic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ajor literary critics. Park deeply inspires Minjung-oriented literary critics by clarifying the vital role of working class in leading social change. As a result, literary critics came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minor genre such as memoirs, reportage, and other oral literature, that working class people often use to narrate themselves. Chapter IV demonstrates how Johan Hye-jeong and the journal Alternative Culture reconstructed the notion of social reproductive activities as well as middle class women so that many places invisible to public such as home and school came to the most debated and pressing issue at that time. The remarkable struggle of Johan and Alternative Culture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gaining a feminist perspective on social reform as well as progressive literary movement for next generation. 이 글은 1980년대 한국의 진보적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이 발생시킨 소통과 교착(膠着)의 양상을 탐색한 것이다. 당시 문화학술장에는 한국을 자본주의 사회로 본다는 것 자체가 쟁점을 형성하는 독특한 담론의 질서가 형성되어 있었다. ‘자본-노동’의 문제를 다룬 1980년대 전반기의 비평텍스트는 창비와 문지의 폐간 / 복간이라는 문단 내부의 상황이 아니라 경제의 양적 성장이 초래한 문화학술계 전반의 급격한 변동이라는 확장된 맥락에서 분석하고 독해할 필요가 있다. 진보적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섭이 사회구성체논쟁에서 동반 상승의 절정에 도달했다가 이후 급속히 퇴락했다는 인식은 1980년대 전반기의 역동성을 편향적으로 또는 협소하게 이해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데 주의해야 한다. 이 시기 문화학술운동을 주도하면서 문학 장의 체질 변화에 큰 몫을 담당한 인물로 본고가 주목한 것은 경제학자 박현채와 여성학자 조한혜정이다. 박현채는 1960∼70년대 반체제 지식인이1980년대 학술운동 장에서 어떤 지속과 변화를 꾀했는지, 그리고 조한혜정은 1990년대에 터져 나온 일상의 정치학이 1980년대 문화학술 장에서 발원한 여러 흐름들과 어디서 어떻게 접속하고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각각 훌륭한 길잡이가 된다. 2장에서는 박현채의 민족경제론과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이 닮은꼴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박현채가 민족문학론․제3세계 문학론자들과 논쟁을 벌이게 된 배경 및 과정, 그리고 그 현재적 의의를 밝혔다. 3장에서는 박현채의 이론이 당대 민중담론에 미친 영향력을 고찰했다. 민중의 실체를 사회과학적으로 규명한 그는 농민, 노동자, 도시빈민 중 노동자계급을 가장 주요하고 기본적인 민중구성으로 부각함으로써 민중문학․노동문학론이 주류를이룬 당대 비평계에 풍부한 자원을 제공했다. 김도연의 「장르 확산을 위하여」에 반영된 1980년대 문화학술장의 활기는 ‘백낙청-염무웅-전형성-리얼리즘론-장편소설’로 이어지는 ‘문학주의’적 계보뿐 아니라 이를테면 ‘박현채-박태순-현장성-非리얼리즘론-르뽀’로 이어지는 ‘非문학주의’적 계보와 관련해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4장에서는 1984 년에 창간된 『또 하나의 문화』가 당대 문화학술장에 불러일으킨 파장을 논의하였다. 민중문학․노동문학론이 창출한 노동 현장의 특권화는 재생산영역의 비가시화를 수반하였는데 『또문』 동인들은 가정과학교를 공장과 다름없는 ‘현장’으로 범주화하면서 노동 현장에 대한 인식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었다. 또한 당대 비평계가 사회과학 논저들에 좋은 독자를 다 빼앗겼다는 위기감에 시달렸던 데 반해 『또문』이 담고 있는 세계에서 문학은 잘 나가고 있었다. 주부와 여대생이라는 폭넓은 소비자(독자층)들이 박완서, 오정희, 고정희 등의 소설과 시를 읽으며 여성문제에 눈을 뜨고 있다는 점이 활발히 논의되었다. 변혁운동의 역량 분산을 경계한 주류 진보 지식인들에 의해 건강하지 못하다고 내쳐진 중산층(문학)은 ‘또문’과 강력하게 결속하고 있었던 박완서나 고정희, 강석경, 그리고 그 주변의 오정희, 김향숙 등과 함께 1990년대를 향한 도약의 새 발판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러나 민중/현장을 중시한 문학보다 중산층/ 내면을 탐구한 문학이 더 훌륭했다는 식의 위계를 도입하는 것은, 박현채나 조한혜정이 그토록 경계했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