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조대 전례논쟁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조선 지식관료층의 정통(正統) 관념

        손애리 ( Aelee Sohn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89

        본 연구는 인조대 전례논쟁을 통해 이 시기 지식관료들의 정통 관념을 검토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統을 혈연을 매개로 한 영속적 구조물로 개념화하였고, 國의 統과 家의 統을 동시에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례논쟁의 쟁점들 또한 國의 統인 종통을 중시하는 입장과 家의 統의 규제원리인 종법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대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입장은 종법과 종통의 우선성을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다른 정통관념을 갖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종통 중시론에서 정통은 사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정통인 자가 전수받는 것이 아니라 전수받은 자가 정통이 된다. 정통을 계승하는 일에는 왕가의 계승 원리를 넘어선 또 다른 統의 질서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것은 왕과 특정 세력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원리적이고 구조적인 것이다. 현실의 왕은 국통(=종통)구조에 속박되어 있으며, 이 구조의 에이전트일 뿐이다. 종법 중시론은 정통을 종법문제로 한정시킨다. 이 입장은 ``아버지에서 아들로``라는 하강논리를 기본으로 삼지만, 추숭논자의 주장에서 보이는 것처럼 아들이 왕이므로 아버지도 왕이어야 한다는 ``상승 논리``를 배제할 근거를 갖지는 못한다. 하강논리와 상승논리가 공존한다는 점에서 논리적으로 약점을 내포하지만 현재의 왕을 기점으로 삼아 전대 왕을 재배열하는 작업이기에 현실의 왕권강화와 관련된다. The objective of my work is to examine the idea of cheongt``ung(正 統) through the controversy of royal rituals and the posthumous name Wonjong(元宗) in Injo(仁祖) period. At first, I conceptualized ``t``ung (統)`` as a permanent construction mediated by blood, and suggested to consider both ``gukt``ung(國統)`` and ``gat``ung(家統)``. The controversial issues are also divided into two groups, ``gukt``ung``-priority and ``gat``ung``-priority, which are confirmed to have the different idea of cheongt``ung depending on how to view the relation of ``gukt``ung`` and ``gat``ung``. In the ``gukt``ung``-priority, cheongt``ung does not exist in transcendental way. The person in the position of cheongt``ung does not succeed to the throne, but the person who succeed to the Royal line becomes cheongt``ung. It points out that in the matter of succeeding cheongt``ung, there is not only successive principle of Royal family but also the fundamental and constructive order of ``t``ung``. A king in office is bound by a construction of ``gukt``ung`` of which he is the agent. ``gat``ung``-priority limits cheongt``ung to the matter of chongbeop(宗法). This is basically based on a descending logic(a son succeeding a father), but it can``t exclude the ascending logic meaning that if a son is a king, h is f ather would have been a king. This position has a weak point by the coexistence of two contradictory logic, but has a effect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in the meaning of rearranging previous kings by the present king.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의 사회적 원천과 그 효과

        손애리 ( Aelee Soh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5 한국사회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의 원천과 효과를 개인 수준에서 경험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정체성 이론에 기반해 국민정체성의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한국인이 자신을 국민 집단과 동일시하는 정도와 그것의 사회·인구학적 결정요인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국민 정체성이 사회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다. 이로부터 다음의 결과가 확인된다. 첫째, 강한 국민정체성을 갖고 있는 한국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수준, 불교신자, 서울과 대전지역 거주자, 보수적이거나 급진적 정당의 지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은 한국인과 비한국인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이는 북한동포나 결혼이주자에게만 해당하고 이주노동자에게는 해당하지 않는다. 셋째, 강한 국민정체성은 건강하지 않은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reviews the sources and effects of Korean national identity at the individu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velops a measure for national identity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Second, using this measure, this study reveals both the degree to which Koreans identify with their national group and the socio-demographic determinants of that identit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national identity on socio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 The result confirms that Koreans with a strong national identity are likely to be relatively lowly educated, a Buddhist, a resident of the capital city, and a supporter of either a conservative or radical political party. This paper also reveals that Korean national identity, while having the effect of partially lowering the boundary separating Koreans from others, also has the potential to induce unhealthy nationalism.

      • KCI등재후보

        문명과 제국 사이 :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國’표상

        손애리(Sohn Ael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고는 전쟁과 반정을 경험했던 인조대를 대상으로하여 전근대 시기 조선의 지식관료층들이 ‘國’을 무엇이라고 생각했는가를 검토하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國과 병렬적으로 사용된 범주인 ‘천하’를 참조점으로 하였으며 병자호란 전후의 주화-척화논쟁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天이라는 보편적 질서에 의해 지배되어야 할 공간으로서의 천하는, 현실적으로는 중화제국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즉 천하는 ‘中華’라는 〈문명〉과‘事大字小’의 원리 하에 조공과 책봉 시스템을 강제하는 〈제국〉의 형태로 조선의 지식관료층에게 인지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문의 전반부에서는 國은 문명을 수용하고 제국에 대응하기 위해 모방과 적합을 각각의 전략으로 채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화질서 내에 존재한 國들은 문명을 향한 모방전략과 제국변동시의 적합 전략에 항상 관심을 가져야 했으며 양자의 긴장이 國에 대한 표상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이를 통해 주화-척화논쟁을 해석하였다. 당시의 자료들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김상헌을 위시한 척화론은 문명에 대한 강한 모방 욕망과 제국변동에 비적합 구도를 갖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國을 상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한편 최명길을 위시한 주화론은 문명에 대한 약한 모방 욕망과 제국변동에 적합한 구도를 갖고 있었으며 國을 절대화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uk(國)’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who experienced Restorntion(反正) and wars. It draws the category of ‘Cheonha(天下)’ and concretely analyze the controversy between the advocacy of peace(主和論) an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斥和論) before an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Cheonha(天下), took the shape of the empire of China in reality. That is, ‘Cheonha(天下)’ was recognized as the civilization of China and the empire consisted of the system of the tribute and the investiture. In order to accept the civilization and cope with the empire, ‘guk(國)’ adopted a strategy of mimesis(模倣) and convenience(適合) respectively. I find that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斥和論) including Kim Sangheon(金尙憲) had a strong desire of mimesis for the civilization and was not convenient in the variable empire. And I also find that the advocacy of peace(主和論) including Choi Myungkil(崔鳴吉) had a weak desire of mimesis for the civilization and was convenient in the variable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