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신선편이 농산물 사용실태 및 요구도 평가

        손시혜(Shih-Hui Sun),김주희(Ju-Hee Kim),김수진(Su-Jin Kim),박혜영(Hye-Young Park),김기창(Gi-Chang Kim),김행란(Haeng-Ran Kim),윤기선(Ki-Su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는 전 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와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실태와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업종형태에서는 학교급식이 181명(29.8%)이었고, 외식산업은 64명(26.1%)이었다. 학교급식의 운영형태는 148개교(81.8%)가 직영급식으로, 33개교(18.2%)가 위탁급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외식업체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45.3%)이 가장 많았다. 식재료 공급업체 선정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에서 식재료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의 경우 공급업체의 위생시설(HACCP인증 여부)이 외식산업의 경우 식재료의 가격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구매 시 어려운 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 및 신선도 저하가, 검수 시 어려운 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여부를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움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식재료의 품질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다. 또한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조리시 가장 큰 문제점은 학교급식에서는 재세척의 필요성이, 외식업체에서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으로 직영에서는 1개월이 39.2%로 가장 많은 반면 위탁에서는 1년 이상이 81.8%로 가장 많아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 확대 가능성에 대해 급식 및 외식에서 각각 44.4%와 58.1%가 앞으로 계속 사용이 증가할 것이며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크기 규격화도 과반수 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으로 학교급식의 96.0%, 외식산업의 78.3%가 개봉 후 다시 세척을 하고 있었으며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형태에서는 학교급식과 외식산업 모두 일반농산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를 사용하는 주된 용도로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 모두 볶음과 무침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식재료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해 저온 유통과 포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졌으며 또한 향후 식재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 포장 개봉 후 갈변 예방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처리단계 요구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학교급식의 경우 엽채류는 흙먼지제거 단계(36.4%)까지, 외식산업의 경우 다듬기 단계(36.8%)까지 원하였고, 나물류는 학교급식의 경우 40.4%가 데치기 단계까지 원한 반면, 외식업체의 경우 33.3%가 다듬기 단계까지를 원해 업종 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는 크지만 공급업체에 대한 불신, 식재료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사용률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는 대다수의 식재료 공급업체가 중소기업으로 자체적으로 고품질의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시설 및 공정별 HACCP 모델 개발 등과 같은 연구지원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표준화된 식재료가 생산될 수 있도록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표준규격 및 기준을 제정하고 안전한 식재료 생산을 위한 공정개선 및 소독제의 효과, 유통기한연장, 품질보존 등 다양한 연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and use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The subjects of this survey study were 200 school nutritionists and 70 cooks or managers in the restaurant industry nationwide.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administered or e-mail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window (ver. 12.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χ²-test and t-test. Survey questions asses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and the supply, use, and demand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Over 74% of the subjects have used fresh-cut produce. Most of the school foodservice (84.0%) kept fresh-cut produce for one day, while restaurant industry (28.3%) kept them up to three days. The nutritionists of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of restaurant industry considered origin and date of produc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spectively, when fresh-cut produce were being used. Fresh-cut root vegetable, such as potato and carrot was used mostly. The main reason not to use the fresh cut produce was due to the distrust of the fresh-cut produce safety in school foodservice and cost in restaurant industry. The main problem in fresh-cut produce use was the need of rewashing (29.9%) in school foodservice and irregular size (39.0%) in restaurant indust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standard and size specification must be prepared with production guideline of safe fresh-cut produce.

      • SCOPUSKCI등재

        냉장 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특성 변화

        손시혜(Shih-Hui Sun),김수진(Su-Jin Kim),김기창(Gi-Chang Kim),김행란(Haeng-Ran Kim),윤기선(Ki-Sun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산물에서 사용 요구도가 높은 식재료인근채류(감자, 고구마, 당근, 무)와 과채류(호박, 오이, 피망)을 선택하여 절단된 형태와 유통되는 온도에 따라 품질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냉장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수분함량은 10℃에 저장한 세척 절단된 오이, 호박에서만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한(p<0.05) 반면 4℃에 저장한 경우 모든 품목에서 저장기간 동안 수분을 보유할 수 있었다. 갈변에 민감한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모두 L값(명도)이 감소하였지만 4℃에 저장한 경우 보다 더 완만하게 감소하여 갈변 발생이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백화현상으로 인하여 쉽게 품질이 변할 수 있는 세척 절단된 당근의 경우 10℃에서만 백화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4℃에 저장함으로써 품질을 최대 3일까지 더 유지할 수 있었다. 절단 형태에 따른 경도 변화에서는 사각썰기 형태의 경우 호박에서, 채썰기 형태는 고구마에서 경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 품목의 특성에 따라 경도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고, 4℃에 저장할 경우 경도의 감소폭이 완만하고 변화율이 적어 저장기간 동안 조직감이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PPO 활성도가 증가하여 갈변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진 못했지만 저온인 4℃에 저장함으로써 10℃ 보다 낮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갈변 발생을 최대 2일까지 연장시킬 수 있었다. 신선편이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세척 절단된 오이만 다른 품목에 비해 균수가 낮고 저장 후기까지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6가지 품목(감자, 고구마, 당근, 무, 호박, 피망)은 모두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의 증가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온도가 미생물 증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세척 절단된 피망은 다른 품목에 비해 초기 오염농도가 높았고, 세척 절단된 고구마는 오이와는 다르게 미생물의 성장률이 가장 빠르므로 세척 절단된 고구마와 피망은 저장 시 다른 품목보다 특히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은 농산물의 품목에 따라 다르고 유통 및 저장하는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각각의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목에 맞는 온도관리를 통해 품질을 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온도에 보관함으로써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roduce (potato, sweet potato, carrot, radish, zucchini, cucumber, and green bell pepper) washed with sodium hypochlorite, which were vacuum packaged, and stored at 4 and 10℃. The L-values of the fresh-cut potato and sweet potato decreased during storage. Lower PPO activities of potato and sweet potato were observed at 4℃ than those at 10℃ and development of potato and sweet potato browning was delayed at 4℃. Total aerobic count and coliform increased continuously at 10℃ during storage. Diced zucchini and shredded sweet potato had the greatest reduction in hardness among the fresh-cut produce during storage. Differences in the rate of quality change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kinds and cut types of produce. Thus, a quality maintenance period for each type of fresh-cut produce must be determined, which will lead to the safe use of fresh cut produce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 KCI등재

        신선편이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김수진(Su-Jin Kim),손시혜(Shih-Hui Sun),김기창(Gi-Chang Kim),김행란(Haeng-Ran Kim),윤기선(Ki-Su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현재 급식ㆍ외식 업체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절단 세척된 신선편이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에 대하여 저장온도와 포장 방법에 따른 미생물학적, 물리, 화학적인 품질변화와 저장중 변화되는 외관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의 품질변화는 신선편이의 농산물의 종류와 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수분함량, 색도, pH 등의 변화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0℃에 저장한 품목들의 변화량이 컸다.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변화에 대한 품질변화 결과, 대장균의 경우 온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나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경우 4℃에서 저장하는 동안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10℃에 저장한 엽채류의 경우 조직의 물러짐이 빠르게 나타나고 형태의 변화가 가속화되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증식이 조미채소류보다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외관 품질의 변화결과에서는 4℃에 저장한 것이 물러짐, 흑변현상, 갈변과 황화현상 등이 완만하게 발생하거나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고, 10℃의 경우 호흡률에 의한 진공 풀림, 색 변화 및 이취가 발생함에 따라 4℃에 비해 품질유지기한이 짧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체로 조미채소류와 엽채류 모두 4℃에 저장한 것이 10℃에 저장하는 것보다 최대 3∼5일까지 품질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었다. 포장방법을 달리한 깻잎과 부추의 경우 기공에 따른 대장균과 총균수의 증식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포장지의 기공에 의하여 수분의 증발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서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외관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 품목에 따른 포장방법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편이 농산물은 품목에 따라 저장온도와 포장방법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저장 온도와 포장방법을 유지한다면 품질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연장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fresh-cut produce (leafy vegetables and condiment vegetables) as a function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Fresh-cut produce was washed using a three step cleaning process and was packed in vacuum packaging (green onion, hot pepper, onion, baechu) and perforated film packaging (buchu and perilla leaf). The effects of packaging method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of fresh-cut produce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otal plate counts, E. coli, coliform groups, moisture content, pH, Aw, surface color, and exterior quality during storage at 4 and 10℃. According to the results, surface color change and microbial growth were delayed during storage at 4℃. Additionally, E. coli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Generally, moisture content decreased in the perforated film packaging. Changes in surface quality such as skin browning, softening of tissue and chlorosis at 4℃ were inhibited, whereas rapid vacuum annealing and changes in color and flavor were observed in the sample stored at 10℃. The result indicated that overall quality of the fresh-cut produce at 4℃ was well maintained. The perforation in packing material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on buchu and perilla leaf. The proper packaging methods and temperature may beneficial effect on microbial safety, quality and thus result in longer shelf-life fresh-cut vegetables during distribution.

      • KCI등재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 분석 및 중점 관리 지점(CCP)의 검증

        김수진(Su-Jin Kim),손시혜(Shih-Hui Sun),민경진(Kyung-Jin Min),윤기선(Ki-Sun Yoon)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1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21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nvironmental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by sampling the surfaces of processing lines and equipment and to verify CCPs of the HACCP plan in a fresh-cut produce processing plant. The level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the processing plant was 101 log CFU/plate/15min.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groups of the processing facilities were 1~2 log CFU/100 ㎠. No E. coli or S. aureus were detected in the processing plant. However, total plate counts on the cutting board for raw materials and on the spin-dryer were 4.20±2.12 log CFU/㎠, and 4.57±0.92 log CFU/㎠, respectively. These levels were higher than the safe microbial level, and therefore, the chance of cross-contamination during processing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analyses,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groups of the samples were increased after the second washing and spin-drying steps, due to cross-contamination from the spin-dryer. Thus, an effectiv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microbial control during the washing and drying steps is needed for microbial control in fresh-cut produce processing plants. The results of a verification study also suggest that modification of the HACCP plan is needed along with additional CPs, which were identified as a second washing, spin drying, and the cold storage of final products.

      • KCI등재

        냉동 가공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수산 냉동식품의 오염 상태 조사 연구

        강수정(Su-Jeong Kang),김옥선(Ok-Seon Kim),손시혜(Shih-Hui Son),유혜민(Hae-Min Yoo),이지원(Jee-Won Lee),정수영(Su-Young Jung),조아영(Ah-Young Cho),윤기선(Ki-Sun Yoon)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8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8 No.6

        In this study, we assessed consumers’ recognition of frozen foods via a survey study, and monitor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in imported and domestic frozen seafoods obtained from five whole sale markets in Seoul. A questionnaire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of frozen food safety and the attitude towards frozen food usag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50 adults. A total of 324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using SPSS for Windows. The results of our survey study demonstrated that 44.6% of the respondent consumed frozen processed foods two to three times per month, with dumplings being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70.5% of the respondents selected convenient cooking as the principal reason for their frozen food purchases. 58%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frozen processed food is not safe to eat as the result of food additives and changes in quality during the shelf life period. Consumers most profoundly preferred frozen seafood originating from America, and preferred that from China least profoundly (81.2%). Microbiolog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erobic plate counts of frozen seafood, regardless of origin, fulfill the standard requirements except for one frozen clam (6.6 Log CFU/g), which was a heated-frozen domestic product. In addition, E. coli was isolated from frozen cooked mussels, frozen raw clams and squids, thus indicating that more strict hygienic regulation for frozen seafoods will be necessary to protect the consumer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