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렘브란트의 메노파 교도들

        손수연(SOHN SOO YUN) 서양미술사학회 2014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0 No.-

        This paper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mbrandt and the Mennonit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has explored the Mennonit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Rembrandt’s work. In the 1630s and 1640s, Rembrandt was commissioned by Mennonite patrons and surrounded by Mennonite contacts and influences. In particular, the Mennonite art dealer Hendrick Uylenburgh, a cousin of Rembrandt"s wife, Saskia, played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Rembrandt and the Mennonites. Above all, the iconological nuances of Rembrandt’s portraits, and his choice of themes, suggest that Rembrandt had a sound understanding of Mennonite doctrinal and social ideals. Rembrandt’s portraits of Waterlander celebrities and Biblical subjects reflect Mennonite ideals and beliefs. Moreover, his drawings and etchings depicting martyrs could be seen as concerning the Mennonite executions of 1535. In terms of mood and composition, those images are in accordance with illustrations in Mennonite martyrologies published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Rembrandt’s Mennonite portraits and The Sampling Officials of the Drapers’ Guild (1662) have distinct significance in any discu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nonites. These works show the group’s prosperity and assimilation into Dutch society. The minority position of not having equal, political or religious rights made the Mennonites try to achieve equality at least in the economic domain. Through Rembrandt’s works concerning the Mennonites of the time, we can see the dual aspects of Waterlander Mennonit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On the one hand, Waterlanders sought advancement and assimilation into wealthy elite society, and on the other hand, they identified themselves as martyrs by publishing several martyrologies. The Mennonites’ doubleconsciousness of being both martyrs and middle-class people is strongly reflected in Rembrandt’s works.

      • KCI등재

        18세기 초 네덜란드 ‘인간의 단계’ 연작 판화집의 교육적 기능

        손수연 ( Sohn Soo Yu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0 No.-

        Jan Luyken’s Des Menschen, begin, midden en einde (1712) has been traditionally interpreted as an allegory depicting the stages of man. The composition of its images, however, differs from that of typical ‘three stages of man’ series in that 45 out of 50 illustrations are devoted to infancy and childhood. This paper argues that Luyken’s emblem book was intended as a book on child education, which was an important topic in the Netherlands since the sixteenth century, rather than as a commentary on the stages of life in general. Luyken’s view on children, as represented in this emblem book, diverges from standard seventeenth-century Calvinist idea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 differences reflect Luyken and his publisher’s Mennonite beliefs and Luyken’s understanding of Purita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접경연구와 미술사: 17세기 네덜란드의 시각문화 사례연구

        손수연(Sohn, Soo Y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도되고 있는 접경 연구의 근황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학에서 접경 연구의 사례들을 살펴보며 미술사와 접경연구와의 공유지점을 논의한다. 현재까지 인문학에서의 수행되어온 접경 연구는 문화이론이나 철학의 담론 중심의 이론적 연구로 제시되었을뿐 실제적인 역사적 자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실제 사례분석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엠블럼집에 반영된 네덜란드 접경 공간의 사례를 다루면서, 구체적으로 시각문화에 접경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미술사의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17세기 네덜란드 사회는 다른 어떤 사회보다 다문화사회였고, 서로 다른 민족과 종교, 언어, 생활양식이 서로 교차하는 공간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접경의 의미는 단순히 중심에 대한 대립항 또는 국가의 국경선으로 제한되는 경향을 보였고, 미술사학계에서도 상이한 문화가 충돌하여 대립하는 현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대립관계에 더 주목해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의 시도들을 살펴보면 문화간의 상호 대립에만 치중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조우하고 교류하여 서로 융합하고 공존하는 공간으로 접경을 파악한다. 접경을 선이 아닌 공간, 각양각색의 문화와 가치가 경쟁하는 사회적 무대로서 제시하며,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인종, 종족, 종교, 언어, 생활양식등 다양한 정체성의 교차지대, 즉 ‘내적 접경’에 주목하는 추세이다. 네덜란드 관용정책으로 인해 형성된 네덜란드공화국은 여러 민족과 종교와 언어, 생활양식이 서로 교차하는 곳이었다는 점에서 내적 접경의 공간으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이들이 초기의 반목과 갈등을 극복하며 네덜란드 공화국을 설립하고 네덜란드 황금시대를 이루어냈다는 사실은 서로 공존하고 융합하여 창조하는 접경공간의 긍정적인 기능을 증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border studies focusing on their application to art history, and probes the research area where art history and border studies intersect. Border studies carried out in the humanities so far have been mostly theoretical explorations tethered to cultural theories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resulting in a dearth of case analyses based on actual historical data. Furthermore, previous border studies tended to view border as a boundary and sought the implications of border in the confrontations with the center. The focus of art history scholars, therefore, were centered on conflicts between different cultures. However, recent research attempts to define border as a space where various cultures and values meet, interact, mingle, and coexist. Border is presented not as a demarcating line, but as a space or crossroads for diverse entities of different race, ethnicity, and religion. It might be seen as “inner border” that exists within a socie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border has been represented in visual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individual works of art history. It specifically analyzes the case of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society which built an exemplar of border space upon the so-called Dutch tolerance.

      • KCI등재
      • KCI등재

        루이 14세의 알레고리: 샤를 르 브렁의 〈 사계절 〉 연작

        손수연 ( Soo Yun Soh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샤를 르 브렁의 태피스트리 밑그림 〈 사계절 〉 연작은 〈 사원소 〉와 함께 왕실공예품제작소인 고블랭 제작소에서 제작한 작품으로서 후원자인 루이 14세의 프로파간다 작업으로 간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소홀히 여겨졌던 〈 사계절 〉연작의 양식적인 면모에 주목하여, ‘사계절’ 이미지의 각 계절마다의 양식적 특성과 각 패널의 도상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르 브렁의 〈 사계절 〉에서 〈 봄 〉은 전쟁과 풍요의 신 마르스와 사랑과 미의 여신 비너스가 베르사이유 궁전을 배경으로 등장하고, 〈 여름 〉에는 음악과 태양의 신 아폴로와 지혜와 의술, 예술, 과학의 여신인 미네르바가 루브르를 배경으로 앉아 있다. 〈 가을 〉에는 사냥의 여신 다이아나와 포도주의 신 바쿠스가 구름 위에 떠있고 〈 겨울 〉은 멀리 루브르 성이 보이는 황무지를 배경으로 날개를 단 새턴과 술잔을 든 유벤타스가 거대한 구름 위에 앉아 있다. 〈 사계절 〉 연작의 4점 모두 두 명의 신들이 구름 위에 떠 있고, 왕실의 건물이 후경에 보이며 각 계절을 상징하는 지물들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양식적인 기원으로 볼 때 〈 사계절 〉 연작은 이탈리아를 다녀온 북부의 매너리스트 판화가들의 조형 양식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문헌적으로는 오비드의 『변신』부터 리파의 『이코놀로지아』까지 다양하고 깊이 있는 문헌을 참고해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계절에 등장하는 신들은 모두 루이 14세의 능력과 덕성을 상징하며 각 계절의 화면 전경에 놓여 있는 모든 지물들도 왕이 통치하는 국가의 풍요와 번영을 상징한다. 뒤에 있는 풍경 또한 루이 14세가 속한 부르봉왕가를 상징하는 건축물들이다. 또한 르 브렁의 〈 사계절 〉 밑그림이 후에 판화로 제작되어왕실 선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이 작품의 인기와 디자인의 성공뿐 아니라, 왕의이미지를 프로파간다화하는 데 성공했음을 증명한다. Scholarship on Charles Le Brun’s 〈 Four Seasons 〉 has emphasized the propangadistic nature of Louis XiV’s tapestry which the Goblin manufactured. In this paper, I will focuses on questions about the stylistic origin and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history and examines the iconography and pictorial devices. In 〈 Four Seasons 〉, Spring presents the god of war and abundance, Mars and the god of love, Venus in front of the Chateau de the Versaille and Summer shows the god of music and the sun, Apollo and the god of wisdom, medicine, art and science, Minerva before the Chateau de Fontainebleau. Autumn depicts the god of hunting, Diana and the god of wine, Bacchus floating on a cloud in front of the Chateau de Saint-Germain-en-Laye and Winter reveals a barren landscape, above which a winged Sature, the god of agriculture and time, and Juventas the god of banquet near the Port de la Conferance. All of four tapestries present two deities floating on a cloud along with attributes and animals that relate to each season before royal residences. Regarding stylistic influence, the works of Northern print artists who were mannerists visiting Italy have influenced the design of the cartoons for 〈 Four Seasons 〉. Sources are from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Ovid’s Metamorphosis and Remedia amoris and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Antholiga Latina, Francesco Coronna’s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Ripa’s Iconologia. All deities in each season symbolize the virtues and abilities of Louis XIV and their attributes also refer to the wealth and abundance of his reign. The buildings on the background held special meaning for Luis XIV and the Bourbon dynasty. The Four Season served as a useful to communicate propangadistic themes and politicize the public appearances of the king. In the register of diplomatic gifts, prints of Le Brun’ 〈 Four Seasons 〉 were recorded as royal prints. This demonstrates its popularity and the success of Louis XIV’s propangada.

      • KCI등재

        네덜란드 종교 엠블럼집에서 가정용품의 상징과 의미: 얀라이켄의 〈교훈적인 가정용품들〉(1711)

        손수연 ( Soo Yun Soh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2 No.-

        네덜란드의 시인이자 판화가였던 얀라이켄의 엠블럼집, 〈교훈적인 가정용품〉(1711)은 오십개의 가정용품에 대한 얀라이켄의 명상을 담은 종교엠블럼집이다. 이 작품은 당대 8쇄를 인쇄할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베스트셀러였으나 문학사적으로나 미술사에서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교훈적인 가정용품〉을 최초로 연구한 헬더 블롬 또한 ‘불’의 모티브에 초점을 맞추어 당대 독일사상가였던 야콥보메와 얀라이켄의 연관성에 집중하고 있어 네덜란드 역사에서 이 작품의 의미나 배경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네덜란드 문학과 미술에서의 가정용품의 상징과 의미를 살펴보며 얀라이켄이 기존의 엠블럼 전통에서 어떠한 모티브를 차용했고 그가 어떠한 모티브와 의미를 새로 창안했는지를 비교분석할 것이다. 또한 17세기말 18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가정용품이 엠블럼의 주제로 출현하게 된 배경을 당대문화와 사회의 성격 안에서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