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재 <꿈하늘>의 자아소통과 사회서사

        손석춘 ( Shon Seok-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소설 <꿈하늘>의 ‘사회서사’를 다루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 한놈은 작가 단재의 분신이자 모든 조선인이다. 한놈이란 말은 곧바로 ‘민중’을 떠오르게 한다. 작가에게 싸워야 할 대상은 일본제국주의로 명료했다. 그럼에도 일제가 지배하는 현실과 싸우지 않으려는 수많은 동시대의 민중을 문학에 담은 작품이 <꿈하늘>이다. 단재가 <꿈하늘>을 탈고한 1910년대에 독립운동에 나선 사람은 많지 않았다. 단재는 일곱놈 가운데 한놈이라도 독립운동에 나서길 소망했을 수 있다. 문학치료학의 사회서사로 <꿈하늘>을 분석한 결과, 일제로부터 독립하려면 싸움을 벌여야 옳다고 여긴 사람들 사이에 실제 삶의 실천이 다른 이유는 사람들의 심층에 저마다 다른 자기서사가 있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가 만들어놓은 현실의 질서를 고정불변으로 여기는 서사를 심층에 지니고 있다면 아무리 싸우겠다고 다짐해도 순종할 수밖에 없고 더 나아가 적응하게 된다. 사회 현실의 질서는 바뀐다는 자기서사를 심층에 지녔을 때는 두 가지로 나타난다. 바뀌지만 자신은 지켜보는 관조서사와 적극 동참하는 실천서사가 그것이다. 소설 <꿈하늘>의 일곱 한놈에서 우리는 당대 민중의 가슴 그 심층에 담긴 사회서사의 범주를모두 발견할 수 있다. <꿈하늘>에서 그 사회서사의 차이들을 읽어낼 때 독자들은 자신의 서사를 성찰할 수 있다. 과연 자신의 사회적 자기서사는 적응, 순종, 관조, 실천 가운데 무엇인지, 그 서사가 긍정태 또는 병리태로 나타나는지가 그것이다. 그 점에서 소설 <꿈하늘>은 한국 근대문학은 물론, 탈근대문학의 지평까지 열 수 있는 내면의 풍성함과 창조적 실천을 담고 있다. 이광수의 소설<무정>과 견주어 작품성은 물론 생명력을 갖췄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문학으로 자기서사의 변화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단재의 <꿈하늘>은 문학치료학의 생생한 보기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ocial epic in < Dream-Heaven >. The main character in < Dream-Heaven > is ”One Man”. This may refer to the writer himself or to all the Koreans. The term ”One Man” immediately reminds us of people. The writer clearly fights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there are characters in < Dream-Heaven > who do not want to fight against Japan. Shin Chae-ho wrote < Dream-Heaven > in the 1910s. At that time, only a few peopl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Shin Chae-ho hoped that one of the seven characters in the book would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ryone thinks that if they want to be independent from Japan, they must fight. However, doing so is not necessary because there are different social epics for each person in the depths of the people. If someone has a social epic that presents the order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eternal, they have no choice but to comply or adapt. When a person has a social epic in which they perceive that the social order is changing, they can adapt either of two ways : contemplation or practice. Among the seven characters in < Dream-Heaven >, we find all categories of social epics. While reading the different social epics, readers can reflect on their own social epic. We must identify our social epics out of the four categories―adaptation, compliance, contemplation, and practice. In that sense, < Dream-Heaven > contains a new dimension of Korean literature : the abundance of human beings and creativity. Compared to Lee Kwang-soo's < Mujeong >, Shin Chae-ho's < Dream-Heaven > has more literary value and vitality. < Dream-Heaven > is a vivid example of literary therapy as it contains changes in social epics.

      • KCI등재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손석춘(Seok-Choon Sh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미디어 빅뱅이란 말이 나올 만큼 미디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저널리즘은 위기를 맞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람들(수용자)이 자유로워지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저널리즘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저널리즘의 위기는 곧바로 ‘수용자 복지’의 훼손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를 정확히 규명하는 일이 저널리즘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행과제다. 이 논문은 저널리즘의 존재 원칙에서 진실과 공점을 기본윤리로 개념화하고, 한국 저널리즘이 얼마나 그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 시대가 풀어가야 할 주요 의제에 대해 한국 저널리즘은 진실과 공정의 기본 윤리조차 지키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저널리즘 위기의 실체를 근본적으로 ‘존재 원칙의 위기’로 규명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의 ‘저널리즘을 걱정하는 언론인위원회’의 연구를 소개하며, 한국 언론학계가 언론 단체와 유기적 결합을 통해 저널리즘 살리기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As a term 'Media Big Bang' will appear, the media is extending explosively. But actually it is appearing the paradoxical phenomenon which journalism meets a crisis. If the purpose of journalism is 'to provide people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be free and self-governing', the crisis of Journalism directly brings about the result which damages audience welfare. Consequently the preceding task which defends the public good of journalism is accurately to get at the root of the substance which brings about the crisis of Journalism. In this paper, the principle and basic ethics of Journalism was theorized on the concept of truth and fairness, how about Korean journalism was answered to the standard is analyzed. With the result it was confirmed Korean journalism does not defend even truth and fairness about important agenda to be solved today. It was recognizes the substance which brings about the crisis of Journalism is 'the crisis of basic ethics', and was presented a an alternative proposal. It was introduced the research of '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proposed the effort which is saved journalism with organic combination of Korean academic world and journalist' group.

      • KCI등재

        리영희 비판과 반비판의 논리적 비판

        손석춘(Seok-Choon Sh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1 No.1

        리영희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의 한 사람이다. 철학자와 정치학자들이 리영희에 대한 논문을 써왔지만, 언론학계에선 이제 비로소 논문이 나오고 있다. 리영희에 대한 평가는 ‘사상의 은사’ 또는 ‘의식화의 원흉’으로 평행선을 그어왔다. 본 논문은 상반된 평가들 사이에 소통을 위해, 양쪽의 논리를 비교하고 두 논리가 놓치고 있는 지점을 짚음으로써 리영희의 현재적 의미를 분석했다. 먼저 리영희가 ‘시장과 북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초래했다’는 비판과 반비판론자들의 논리가 각각 ‘허수아비 논증의 오류’(fallacy of straw man)와 ‘논점 회피의 오류’(fallacy of question-begging)를 범하고 있음을 리영희의 글을 통해 밝혔다. 이어 ‘진실 추구의 고투’를 리영희가 언제나 강조한 사실에 주목했다. 상찬과 매도로 평행선을 그려온 두 논리 사이에 소통의 필요성은 리영희가 보수와 진보 어느 한쪽에서만 높이 평가해도 좋을 만큼 한국의 언론 상황이 여유롭지 않은 데 있다. 언론이 정파주의에 점점 더 매몰되어가고 있기에 리영희가 강조한 ‘진실 추구의 고투’에 담긴 현재적 의미는 더 크고 깊다. Lee Yeung-Hi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journalist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Nevertheless, the judgement about him has been parallelized by opposite sides. He is called ‘the Master of ideology’, while the other calls him ‘the culprit of theorization’. This thesis deduced the contemporary meaning of person Lee Yeung-Hi in order to promote communication for both sides. I compared their logical arguments and pointed out the error they missed. Also, I clarified that the criticism and anticriticism for Lee Young-Hi in the fields of both journalism and academia have fallacies, such as the fallacy of straw man, and the fallacy of question-begging. I criticized their arguments through the view of ‘struggling to seek truth’, which is the core value of Lee Yeung-Hi’s thought.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advocators and it’s critics is due to the condition of Korean Journalism. Korean Journalism does not have much space to accept Lee Young-Hi in only one side. Paradoxicall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truth that Journalist Lee Young-Hi had sought is profound and deep because of the condition where Korean Journalism is being dominated by political parallelism.

      • KCI등재

        도구적 지식과 지식인의 도구화

        손석춘(Seok-Choon Shon)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1

        한국의 대학은 ‘취업준비 학원’으로 도구적 지식을 생산할 뿐이라는 대학생들의 비판과 ‘21세기 인류사회를 선도할 지식’을 생산한다는 대학 총장들의 다짐이 충돌하고 있다. 대학의 지식생산을 바라보는 두 시각은 아무런 커뮤니케이션 없이 평행선을 달리며 사회적 이슈로 불거지고 있다. 이 논문은 두 시각 사이에 소통을 위해 연구문제를 두 가지로 설정했다. 첫째, 대학은 권력-자본과 삼각동맹을 형성하고 도구적 지식을 생산하는가? 둘째, 대학이 생산해야 할 바람직한 지식의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연구결과 한국 대학은 삼각동맹을 형성하고 도구적 지식을 생산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그런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에 근거해 폭넓은 지식의 소통이 필요하다. 근대 대학의 창시자인 훔볼트의 말처럼 대학이 ‘교수와 학생으로 이루어진 자유롭고 평등한 학문 공동체’라면, 대학이 자본의 도구적 지식을 생산한다는 비판 앞에 학자들의 성찰과 학계 차원의 공론화가 필요하다. 지식인의 도구화는 학자들 자신을 위해서는 물론, 국가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기에 더욱 그렇다. There are serious conflicts of opinion in universities in Korea between university presidents who view a university as a global leader and students who consider it as only an institution for employment preparation. Is it truly impossible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two viewpoints on the knowledge production of univers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wo viewpoints running parallel line without a point of contact, this paper brings up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do universities produce instrumental knowledge forming a triangle alliance with power and capital? Second, what is the desirable paradigm of knowledge that universities should be responsible for? As a result of research,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universities in Korea produce instrumental knowledge forming a triangle alliance, however, it clearly shows that they have such tendency. Therefore, it is crucial to have broad communications of knowledge based on ‘Varieties of Capitalism’. Scholars’ introspection is required before the criticism that universities are producing the instrumental knowledge of capital if a university is ‘a liberal and equal community for learning consisting of professors and students’ as Humboldt, a founder of modern university, defined. Instrumentalization of intellectuals is not desirable not only for scholars themselves but also for the nation.

      • KCI등재

        영화<월도미>와 소설 <불타는 섬>의 서사적 효과

        손석춘 ( Shon Seok-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영화문학 <월미도〉는 단순히 `북한 영화`가 아니다 21세기 들어서서도 남과 북에서 새삼 논의되고 있다. 이 글은 영화 <월미도>서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영화의 서사 분석에 이어 그 밑절미가 된 원작 소설 <불타는 섬〉의 서사를 짚어보고 영화와 소설 사이의 서사적 차이를 분석했다. 이어 작품서사 차이가 어떤 `효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김일성대학 출신의 "자기서사` 변화 사례를 분석하과, 커뮤니케이션학계의 `효과 이론에` 근거해 서사 변화께 담긴 의미를 제시했다. 연구 결과, 영화 <월미도>와 소설 <불타는 섬〉은 장르의 차이로만 보기엔 서사적 차이가 심각하다는 점에서, 북의 공식 평가와 달리 <월미도〉는 원작소설의 고갱이를 담아내지 못한 퇴행적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주체사상 또는 유일사상에 근거한 수령 중심의 서사는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인간 개개인이 자기 서사를 지니고 있다면, 문학적 퇴행은 곧 사회구성원 개개인에게 삶의 빈곤으로 다가올 수 있다. 영화 <월미도〉가 원작인 소설 <불타는 섬〉에 없는 개인숭배를 과도하게 부각함으로써 영화의 효과는 물론, 영화를 감상한 사람들의 자기서사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 Walmeedo > is not simply a North Korean movie. It has become a hot topic i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21st century. This paper analyzes the message of this movie. It also compares it to the original novel, 〈Burning Island〉,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lm < Walmeedo > and the original novel 〈Burning Island〉is not simply a matter of genre. The movie overemphasizes the idolization of the North Korean leader, Kim II Sung, unlike the original novel. The main character in the screen picture asserts that the country is nothing without the General. All the characters have to fight and die for General Kim II Sung. The songs praising him are repeated. Unlike the movie, the original novel, 〈Burning Island〉, focuses on the love of young men and women who meet on the battlefield. They choose to die for their country and people, and not for General Kim II Su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e and the novel also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effect. North Korea`s intellectual, who graduated from Kim II Sung University and came to South Korea, significantly changed “the epic of self.” For example, he thought North Korean troops were heroes after watching the movie < Walmeedo > in Pyongyang. However, after examining the war materials in Seoul, he decided that North Korean troops were no heroes. He thought they were cowards, the real heroes were rather the US troops who succeeded in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s.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screen picture, < Walmeedo >, and the 1 novel, 〈Burning Island〉, based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heory. Research shows that, unlike North Korea`s official stance, < Walmeedo > can be evaluated as a regressive work that does not reflect the message of〈Burning Island〉. The epic based on the idolization of Kim II Sung and the principle of Juche is bound limit communication effect. One-sided propaganda in the novel and the movie result in the opposite effect. < Walmeedo >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epic of self of those who watched it. Novels and movies should be based on the truth of the people. Then there is an effect.

      • KCI등재

        저널리즘의 사회서사 연구

        손석춘 ( Shon¸ Seok-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60 No.-

        문학과 언론은 딱히 학제적 연구나 학문 융합의 시대적 흐름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미국 대학에서 저널리즘 교육을 제도화하기 시작할 때 대부분의 강의는 ‘영문학 커리큘럼의 일부’로서 존재했다. 20세기 후반 미국 언론계에 ‘뉴저널리즘’이 새로운 흐름으로 나타났다. 뉴저널리즘은 문학적 기사쓰기를 권장해왔다. 현대 사회에서 여론 형성에 영향을 끼쳐온 칼럼과 르포라는 산문 연구를 국문학이 수행할 때 문학치료학은 가장 좋은 방법론일 수 있다. 무엇보다 언론 현상에 대한 표층적인 설명에서 벗어나 언론인과 언론활동의 심층을 들여다볼 수 있다. 언론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은 특정 언론과 언론인을 보수ㆍ진보로 나누어 ‘편집 경향’이나 이데올로기적 분석, 정파주의에 주목했다. 그와 달리 문학치료학적 분석은 언론인과 그가 쓴 글을 작가와 작품으로 인식함으로써 심층의 서사를 분석한다. 한국 사회의 여론 형성에 영향을 끼쳐온 조선일보의 ‘김대중 칼럼’에는 지배적 질서가 고정불변이라는 서사가 깔려 있다. 5ㆍ18 민중항쟁과 IMF구제금융 사태를 왜곡한 그는 자신이 늘 권력을 비판했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문학치료학적 분석은 언론의 권력 감시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다. 언론인 김대중은 자신이 권력을 감시한다고 주장해왔지만, 실제 모습은 지배 질서에 자신은 잘 적응하며 독자들에겐 끊임없이 순종서사를 강화토록 유도해왔다. 사회과학적 분석과 달리 문학치료학적 분석은 언론인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인간적으로 성찰할 ‘치료 기회’를 마련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들 또한 적응서사를 지닌 언론인들의 산문을 읽으며 자신도 모르게 순종서사를 굳혀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짚어보게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언론 활동을 벌이는 시대가 열리면서 누구나 문학적 표현과 소통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언론 활동에 문학치료학의 사회서사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Literature and journalism are deeply related. At the beginning of journalism education at American universities, most of the lectures were part of the English Literature Curriculum. New journalism has emerged as a new trend in the U.S. media community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New Journalism encouraged writing literary articles. Literature therapy may be the best methodology when studying newspaper columns that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modern society. Above all, we can get away from the superficial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of journalism and look into the depth of journalists and media activities. Social scientific analysis of the media focused on editorial trends, ideological analysis, and factionalism by dividing certain media and journalists into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Meanwhile, literary therapy analysis examines deep-seated epic by recognizing journalists and their writings as writers and works. The Chosun Ilbo’s Kim Dae joong column, which ha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Korean society, recognized the dominant order as unchanging. Having distorted the 5ㆍ18 People's Uprising and the IMF bailout situation, he is confident that he has always criticized power. However, the analysis of literary therapy can also highlight the monitoring power of the media. Unlike social science analysis, literary therapy analysis can provide a “treatment opportunity” for journalists to humanly reflect on their “work”. Journalist Kim Dae joong prides himself on monitoring the fault of power. However, his appearance in literary therapy is different. He adapts himself to the strongest dominant order, and has been Consistently encouraged readers to reinforce obedience-epic. Readers can also point out whether they are unknowingly reinforcing obedience-epic when reading journalists’ prose. As the era in which everyone engages in media activities opens, everyone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literary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e social epic of literary therapy can be a useful concept for media activities.

      • KCI등재

        한국 공론장의 갈등구조

        손석춘(Seok-Choon Sh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근대 공론장과 신문의 형성과정에 대해 ‘학문연계적 연구’를 시도했다. 근대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공론장은, 중세 유럽의 신분제적 정치체제를 허물고 시민사회를 등장시킨 조건이었다. 유럽에서 근대 신문은 아래로부터 여론을 모아나가면서 공론장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 구실을 했다. 한국에서도 18세기 이후 조선시대 내부에서 아래로부터 문예적 공론장과 정치적 공론장이 발전해나가고 있었다. 농업에서 생산력 발전에 따른 신분제 질서의 동요와 부의 축적에 따른 상업과 수공업, 광업의 활성화는 그에 걸맞은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요구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것이 신문이라는 인쇄미디어를 만들기 전에 개항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한국의 근대 신문은 공론장과 갈등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근대언론의 생성문제를 두고 언론학계에서 논의해 온 이식론(移植論)이나 접목잡종론(接木雜種論)과 달리, 이 논문에서 제안한 ‘갈등구조론’을 통해 우리는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가 어디서부터 연유하는지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garding the formation process of public sphere and the modern media O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process where the civil society of modern ages is formed, the public sphere was condition that pulls down the feudal system of medieval Europe and appears the civil society. The modern newspaper collected the public opinion from lower part and did play a leading role which forms public sphere in Europe. Even from Korea the literary public sphere and political public sphere were developing inside the Chosun Dynasty period from lower part since 18th century. However the opening of a port became accomplished before making the printing media which is newspaper. As a result the public sphere in Korea was accomplished a conflict-structure. This study cleared where the crisis of Korean journalism is originated by presenting a conflict-structure differently with a transplantation theory or a graft hybrid hypothesis.

      • KCI등재

        <아기장수> 설화의 `내적 소통`에 관한 시론

        손석춘 ( Shon Seok-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3 No.-

        <아기장수>는 평범한 집안에 비범한 아기가 태어나면서 부모로부터 `역적`이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죽임을 당하는 한국의 대표적 비극 설화이다. 이 비극은 세상을 바꾸고 싶었던 민중의 좌절감을 담고 있다. 더러는 세상을 바꿀 장수가 출현하리라는 기대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아기장수에서 좌절감이나 기대감을 읽는 데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아기징수>가 민중 사이에 어떻게 소통되어 왔으며 그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무엇이었을까를 탐색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 고유의 문학치료학과 서양에서 발달한 커뮤니케이션학을 융합 하는 실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문학치료학의 `서가`를 커뮤니케이션의 `SMC RE 모텔`파 `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석했다. I <아기장수> 설화의 수신자는 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아기장수를 죽인 `어머니`가 바로 내면화된 지배 질서라는 각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논문이 우리가 이마 죽였을지도 모를 `내 안의 아기장수`를 살려내는 데 조금 이라도 `치료제`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e Tales of Infant Hero is the typical Korean tragedy. An extraordinarγ baby is born in a normal family. However, the parents kill the baby because they were afraid that the baby might be a rebel. This tragedy contains the frustrations of the people who wanted to change the world. It also contains the expectation that a commender who will change the world is coming. This essay approaches the tales from a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out of both frustration and expectation. It explores what kind of communication effect the tales has among the people. This study has an experimental feature that blends the literary therapeutics native to Korea and the communication theory developed in the west. It analyzes the epic of the literarγ therapeutics in the SMCRE model of communication and Intra personal communication. The receiver of the tales can realize that the mother who killed the infant hero is the internalized ruling order through Intra-personal communication. I hope this essay can be a therapeutic agent a little that gives life to my inner infant hero who we might kill already.

      • KCI등재

        인천상륙작전의 소통과 치유

        손석춘(Shon, Seok Cho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본 연구는 1950년 9월에 벌어져 70년 가까이 흘렀지만 지금도 남쪽 사회 내부는 물론, 남과 북 사이에 갈등을 빚고 있는 인천상륙작전을 둘러싼 소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치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남과 북이 각각 ‘인천상륙작전’과 ‘월미도 전투’로 부르듯이, 이 사건은 남과 북이 타자의 타자성을 얼마나 ‘용인’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다. 남쪽 영화 <인천상륙작전>과 북쪽 영화 <월미도>에서 타자성은 극대화 하고 있지만, 두 타자성 사이에 공통점도 발견할 수 있다. 전쟁으로 학살당한 민중에 대한 외면과 맥아더·김일성에 대한 ‘전쟁 영웅화’가 그것이다. 남쪽 영화에도 북쪽 영화에도 월미도 주민들의 비극적 죽음은 나타나지 않는다. 민중의 고통을 외면한 채 각각 ‘맥아더 장군’과 ‘김일성 수령’을 우상화하고 있다. 따라서 남과 북은 서로 타자성을 존중하면서도 각각 내부적 타자성을 용인해야 한다. 데리다가 제안했듯이 주체 안에 이질적인 요소로 남아 ‘마치 죽은 채로 살아있는 유령’으로 존재하는 ‘타자’의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통일의 미래가치로 평화와 생명의 가치를 존중할 때, 남과 북의 타자성은 각각 내부의 타자성과 소통하는 변증법적 운동으로 남북 사이에 오래된 적대를 치유해갈 실마리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reely communicate and heal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It has been around for 70 years since September 1950, but it still has conflict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s well as within the South. Just as the South and the North call it "Incheon Landing Operations" and "Wolmido War", this case is a litmus paper that will test how South and North Korea can tolerate the other"s alterity. The alterity is maximized in the South Korean movie <Incheon Landing Operation> and the North movie <Wolmido>. However, you can also find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types of otherness. First, indifference to the people who were slaughtered in war; second, war heroism against MacArthur and Kim Il Sung. The tragic deaths of the residents of Wolmi-do do not appear in the South and North films. They are idolizing MacArthur and Kim Il Sung respectively. Thus, the South and the North respect each other"s alterity and accept alterity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interior. As the philosopher Derrida propose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alterity" which exists as "ghost of living with being dead" in the subject. When respecting the value of peace and life (ecology) as the future value of unification, the alterity of the South and the North can heal old hostil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with dialectical movement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s alterity.

      • KCI등재

        남북 통일사상의 ‘하부구조’에 관한 시론

        손석춘(Shon, Seok Cho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남북 사이에 체제경쟁이 사실상 끝났다는 논리의 연장선에서 ‘흡수통일론’이 통일론의 헤게모니를 얻어가고 있다. 남쪽의 자유민주주의 헌법철학과 북쪽의 헌법철학인 주체사상에는 접점이 없기에 양립불가능하다는 철학적 논의는 흡수통일론에 힘을 실어주었다. 하지만 흡수통일론의 철학적 사유는 현실을 고정불변의 실체적 개념으로 파악하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담론의 하부구조에는 결국 남쪽의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 체제가 자리하고 있다. 남북통일의 하부구조로서 통일 민족경제론을 적극 사유해야 할 이유다. 이 논문은 남과 북이 통일된 나라의 하부구조로서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어떻게 일궈갈 것인가라는 이론적 탐색과 함께, 통일 민족경제론을 공적 의제로 설정해가며 통일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야 한다는 제안을 담고 있다. 그 하부구조를 구체화해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삶을 중심에 둔 새로운 통일의 사상도 영글어갈 수 있다.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is gaining hegemony in debate on unific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regime compet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ended in reality.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that the liberal democracy of South Korea and the Juche Idea of North Korea have no common ground and can’t coexist supports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However, the idea of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has limitation that considers reality as unchangeable substance but also contains South Korea’s neo-liberal capitalism in the substructure of the discourse. This is the reason why unification through national economy sh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s the substructure fo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explores academically how South and North Korea are going to achieve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s the substructure of a united nation and also proposes to open a new prospect of pro-unification movement by setting unification through national economy as a public agenda. Through the process of reifying the substructure, a new idea for unification which is human-centered can be ri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