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특성변수가 기부금 지출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손민혜(Son Min Hye),김승현(Kim Seung Hy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6

        본 연구는 기업의 기부금지출수준에 기업특성과 관련된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업특성변수들로는 기부금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진 총자산, 순현금흐름, 총부채, 광고선전비지출수준 외에 기부금지출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보유액과 영업이익률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은 2001부터 2010년까지의 상장기업 16,437개를 대상으로 기부금액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회귀분석을, 그리고 기부여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추가분석을 위하여 프로빗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기부금지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변수들 중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총자산수준과 광고선전비지출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기부금지출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총부채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지출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순현금흐름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부금지출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현금으로 이루어지므로, 현금보유액이 많을수록 기부금을 지출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이 증가되므로 양(+)의 영향을 미칠 기대되었던 현금보유액수준은 기부금지출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영업이익이 많다는 것은 영업외의 기타비용에 쓸 수 있는 여력이 많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기부행위가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지므로, 기부금지출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었던 영업이익률은 예상한 바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다.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부금액 의사결정의 영향요인 분석외에 기부여부 의사결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프로빗 회귀모델을 이용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총자산, 순현금흐름수준과 총부채수준은 기부여부 의사결정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현금보유액수준, 광고선전비 지출수준과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기부여부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variables related corporate characteristics can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As for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total cash reserve and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were selected which had been expected to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in addition to the total assets, net cash flow, total debt and advertising expense level which had been already found to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from previous studies.For the empiric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lated to decision-making for the donation amount by targeting 16,437 of listed companies from 2001 until 2010 . And probi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make additional analysis about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 an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otal assets level and the advertising expense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among the corporate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 but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y have a negative influence unlik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debt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differently from previous research studies . The net cash flow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like in previous research. Also since corporate contribution is generally done in a form of cash, the more cash the corporate has, the more potential ability the corporate has to make contribution. But the total cash reserve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h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In addition, high corporate operating profit means that the corporate can afford to spend more on miscellaneous expenses other than operating cost. Therefore, the probability is getting higher to make contribution. So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had been expected to have the positiv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and the results were matched accordingly.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bit regression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for the contribution amount. And total assets, net cash flow level and total liability level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 In contrast, the cash reserve level, advertising expenditures level and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have shown not to have any impact on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 KCI등재

        기업특성변수가 기부금 지출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손민혜(Son Min-Hye),김승현(Kim Seung-Hy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2 국제회계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기업의 기부금지출수준에 기업특성과 관련된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업특성변수들로는 기부금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옂 총자산, 순현금흐름, 총부채, 광고선전비지출수준 외에 기부금지출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보유액과 영업이익률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은 2001부터 2010년까지의 상장기업 16,437개를 대상으로 기부금액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회귀분석을, 그리고 기부여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추가분석을 위하여 프로빗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부금지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변수들 중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총자산수준과 광고선전비지출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기부금지출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총부채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지출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던 순현금흐름수준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부금지출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현금으로 이루어지므로, 현금보유액이 많을수록 기부금을 지출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이 증가되므로 양(+)의 영향을 미칠 기대되었던 현금보유액수준은 기부금지출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영업이익이 많다는 것은 영업외의 기타비용에 쓸 수 있는 여력이 많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기부행위가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지므로, 기부금지출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었던 영업이익률은 예상한 바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부금액 의사결정의 영향요인 분석외에 기부여부 의사결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프로빗 회귀모델을 이용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총자산, 순현금흐름수준과 총부채수준은 기부여부 의사결정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현금보유액수준, 광고선전비 지출수준과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기부여부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variables related corporate characteristics can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As for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total cash reserve and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were selected which had been expected to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in addition to the total assets, net cash flow, total debt and advertising expense level which had been already found to affect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from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lated to decision-making for the donation amount by targeting 16,437 of listed companies from 2001 until 2010 . And probi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make additional analysis about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 an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of all, the total assets level and the advertising expense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among the corporate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but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y have a negative influence unlik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debt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differently from previous research studies . The net cash flow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like in previous research. Also since corporate contribution is generally done in a form of cash, the more cash the corporate has, the more potential ability the corporate has to make contribution. But the total cash reserve level which had been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h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In addition, high corporate operating profit means that the corporate can afford to spend more on miscellaneous expenses other than operating cost. Therefore, the probability is getting higher to make contribution. So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had been expected to have the positive on the corporate contribution level and the results were matched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bit regression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for the contribution amount. And total assets, net cash flow level and total liability level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 In contrast, the cash reserve level, advertising expenditures level and the operating profit to sales ratio have shown not to have any impact on decision making whether to make contribution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