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적 작업조직 유형과 노동자 성과에 관한 실증적 고찰 : 제조업의 린 방식을 중심으로

        손동희 ( Dong Hee S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1

        대안적 작업조직을 둘러산 다양한 주장과 논쟁이 단위조직 사례연구를 토대로 이론적·개념적 차원에서 제기되어 왔으나 정작 노동자 관점에서의 양적 검증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 글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 제조업 자료를 이용하여 대안적 작업조직의 대표적 형태로써 테일러 방식과 린 방식, 자율팀 방식을 유형화 한 후 각각 조직의 재무적 성과와 노동자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경우 린 방식의 대표적 특성인 QC, 제안활동 등의 개별 참여 관행이 확산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린 방식을 준거로 사회기술체계의 특성을 고려한 자율팀과 테일러 방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적 작업조직으로써 린 방식과 자율팀 방식이 테일러 방식에 비해 조직성과 뿐만 아니라 노동자 개인의 성과측면에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린 방식과 자율팀 방식간 비교에서는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노동자 개인의 성과로써 노동시간, 소득,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의 모든 결과변수에 대해 린 방식이 자율팀 방식에 비해 일관된 부장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린 방식이 품질개선과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우월한 작업조직이라는 주류적 공감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기제의 이면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노동자 개인의 성과가 훼손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 financial outcome and workers` outcome, us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database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specially, this study used the typology of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that are the typical form of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to analyze. In the case of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individual perticipation practices, that have the main characteristics such as QC or suggestion system, is expended. Therefore, with the reference of Lean production, Autonomous Team Production and the Taylor system a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o-technical System.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the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s a alternative work organization are more positive abou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workers` outcome than the taylor system. However, when Lean production and Autonomous Team Production are compared, it is showed unsignificant distinction to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nwhile, Lean produc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 on the every dependent variables such as working horns, incom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orkers` performance than the Autonomous Team Production. Although the common ideas and belief is that the Lean Production is superior for the apath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it is impli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some damaged workers` performance on the hidden side of that mechanism.

      • 수직분할된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전단보강 효과

        손동희 ( Son Dong-hee ),배백일 ( Bae Baek-il ),유창기 ( Yoo Chang-gi ),최창식 ( Choi Chang-si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기존 벽체의 강성을 임의로 저감시켜 전체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재분배하기 위한 수직분할 공법에 대한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고 분할 후 짧아진 정착길이에 대한 전단력 감소에 대해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반복 횡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직분할된 벽체는 기존벽체보다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단보강에 따라 강도 및 연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로자 참여 유형과 성과

        손동희(Dong-Hee So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9 産業關係硏究 Vol.19 No.1

        근로자 참여 형태와 유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근로자의 관점에서 참여 목적에 따라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참여 유형을 그 목적에 따라 효율성과 형평성 참여로 분류한 후 조직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효율성 참여는 재무적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형평성 참여는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효율성과 형평성이 모두 활성화된 조직의 경우, 두 부문이 모두 낮은 조직에 비해 재무적 성과에 더 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효율성과 형평성의 분류가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Many previous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in the theme of employee involvement forms and styl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 with involvement goal on the viewpoint of employees. This study classified involvement styles into efficiency and equity involvements in relation to the involvement goal and analyzed the relevance of organization performa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y involvement generated positive impact in financial performances. The equity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had no effectiveness or generated a partially negative impact. Moreover, the organizations which are active in the both efficiency and equity had more positive impact in financial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ones that had low levels in both efficiency and equity.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 about classification of the efficiency and equity and suggested the topic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서울지역 학교회계직원의 고용형태별 특성 및 직무만족도 요인 비교 연구

        손동희(Son, Dong H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3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의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등 근로자 개인의 태도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2년이상 근속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이른바 ‘무기계약직’에 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본 연구는 학교회계직원을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과 비정규직(기간제)의 고용형태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회계직원의 고용형태 차이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특성인식’ 그리고 ‘직무만족도’ 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형태에 관한 기존의 실증과는 다른 결과이다. 오히려 ‘무기계약전환효과’는 무기계약근로자인 정규직일수록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특성인식’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서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규직(기간제)의 경우 ‘직무특성인식’이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직(무기계약직)의 경우에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무기계약전환효과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직무특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회계직의 고용형태가 계약기간의 외형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행 직무나 고용환경에 대한 인식, 직무만족도 등의 태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은 실무적이고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교조직과 금융업종 등에서 ‘무기계약제’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이른바 ‘중규직’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have some effect on the attitude variables of individual workers, lik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not. However, studies on the no fixed-term workers are insufficienc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no-fixed term workers and the temporary workers have some e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key variables or no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status have no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satisfaction. It appeared that effects of converted from fixed-term to no fixed-term workers negatively affect no fixed-term workers.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s influence to the factors of employment status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 have positive effect to no fixed-term workers and the temporary workers both. Also, in case of temporary workers,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 performs partial mediating role to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 In case of no fixed-term workers, job characteristics have partial mediating role about the positive effect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effects of converted from fixed-term to no fixed-term workers have and effect on job satisfaction. Some policy implications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the employment status of official school workers have no effect on the job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Additional studies would be needed about the in-between job that is operated as occupational sub-categorization system in the school and financial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