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공공기관이전 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손동글,김병석,허재완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8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organization relocation policy on the reducti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purpose, simulation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using system dynamic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ssuming that there was no policy of the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policy(Base Run), the gap has increased since 2011, when Sejong City’s first apartment move in. In particular, Base Run was estimated to have an increas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27 million in 2020, while the number of simulations with the relocation policies of public institutions was estimated by 26 million. A comparison of the two results shows a gap of 1.3 million, suggesting that the public organization relocation policy is effective in easing the concentration of peop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 내 지역격차의 동태적 패턴에 관한 연구

        허재완,손동글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4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pattern of development imbalances among sub-regions within a region. Som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the dynamic pattern of sub-regional inequalities within the Capital Region is similar to, so-called, th inverted U-shape (or expanded inverted U-shape). Second, in case of metropolitan cities such as Busan, Daegu, Incheon, Ulsan, the sub-regional inequaliti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over time. Finally, the dynamic pattern of sub-regional inequalities has been identified as U-shape in the non-metropolitan regions. This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 more systematic policy is needed to prevent a further increase of sub-regional inequalities in order to enhance regional cohesion. 본 연구의 주목적은 광역지역 내 하위지역 즉 기초자치단체간의 지역격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패턴의 유형별로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광역시․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광역지역 내 기초자치단체간 지역격차의 동태적 패턴의 특징을 찾고자 전국 약 230개 시․군을 대상으로 1992년에서 2008년간의 지역격차 패턴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지역의 경우 지역내 지역격차패턴은 선진국에서 관찰되는 광역지역간 지역격차 패턴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Williamson의 이른바 역U자형 패턴 및 Amos의 발전된 역U자형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 비수도권 지역 중 대도시지역인 광역시들은 대부분 지역격차가 상승형의 지역격차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 마지막으로, 비수도권 지역 중 도 자치단체들은 대부분 지역격차가 2000년을 기준으로 감소 후 증가하는 이른바 U자형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내 지역격차를 완화하기 위하여는 획일적인 정책보다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개발정책의 도입이 필요함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공간계량분석을 이용한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병석,이동성,손동글 한국지역학회 2017 지역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rban characteristics on regional population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SAR, SEM, SAC) using data on 122 eup-myon-dong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spatial, population density showed positive (+) effect while employment density has negative (-) effect. Als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ertiary industries and workers in the industry has a positive (+) effect. Second, in terms of housing, the apartment ratio showed positive (+) effect and the increase of low-rise deteriorated housing has negative (-) effect. Third, the increase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urban parks showed positive (+) effect on population. In conclusion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management found through this analysi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은 인천광역시 12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분석방법은 공간계량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 일반공간모형(SAC)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 다. 분석결과, 첫째, 공간측면에서 인구밀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밀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측면에서 3차산업체수와 종사자수의 증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측면에서 아파트비율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저층 노후주택의 증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시설과 도시공원이 증가할수록 인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관리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