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 Collective efficacy VS. Broken windows

        손다래,박철현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이 어떠한 경로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샘슨의 집합효율성 이론에 따르면, 집합효율성은 지역의 무질서나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지역주민의 응집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무질서에 선행하며, 결과적으로 범죄의 두려움을 낮추게 된다. 그러나 윌슨과 켈링의 깨어진 창 이론에 따르면, 지역의 무질서는 주민들 사이에서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러한 두려움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비공식적인 활동에 참여하지 않게 만들게 된다. 따라서 지역의 응집력을 낮추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집합효율성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쟁점을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 4~6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무질서가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것이 다시 집합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깨어진 창 이론이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집합효율성이 무질서를 낮추고, 이것이 범죄의 두려움을 낮춘다는 집합효율성 모델이 맞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사회적 무질서가 아닌 물리적 무질서를 통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남성범죄자 가석방 결정을 위한 재범 위험성 척도 개발 연구

        손다래,박철현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alient factor score for parole. The background of such research is the issue of the demands of the times such as the overcrowding of prisons and the enhancement of human rights for criminals, and the most appropriate countermeasure is the use of parole system. the use of wrong and indiscriminate parole systems, However, can jeopardize the streets from criminals and lead to the disruption of social safety and endanger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Therefore, objective indicators with reasonable predictive power are needed at parole decision stage. Unfortunately, the literatur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no standard for parole only in Korea. With this problem in mind, the following scope of study was carried out. The scope is that First, determinants of predictable factors on recidivism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econdly, by using cross, correlation, and survival analysis, predictive factors on recidivism were selected and the salient factor score were devised. Finally, the predicted factors for recidivism were spouse status, age at first drinking experience, age at release, criminal record, theft record, and violent record. The analysis accuracy of the salient factor score is 64.47% with ‘false positive’ 17.81% and ‘negative positive’ 17.71%. 본 연구는 교도소 과밀화 문제, 범죄자에 대한 인권신장 등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대응책으로써남성범죄자를 위한 가석방 제도의 활용을 제고 하고자 재범 위험성 척도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무분별한 가석방은 범죄자의 거리 활보를 종용하고 사회안전의 혼란을 초래한다. 따라서 남성범죄자 가석방 결정단계에서 예측력이 타당한 객관적인 지표가 필요하지만, 불행히도 우리나라에서는 남성범죄자의 가석방 결정을 위한 준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분석, 교차분석, 생존분석 등을 수행하여 재범예측요인 선별 및 재범예측표를 개발하였으며, 다음으로 분류정확도 분석을 통한 가석방 판정 기준점수를 특정하였다. 재범예측요인에는 배우자 상태, 첫 음주 경험 연령, 석방 시 연령, 전과, 절도 전과, 폭력 전과가 있었으며, 재범예측표는 64.47%의 전체예측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못된 긍정’과 ‘잘못된 부정’이 각각 17.81%, 17.7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서다루지 않았던 남성범죄자 가석방 판정만을 위한 재범 위험성 척도를 연구하고 실제로 재범예측표를 마련하였다는 점, 둘째, 간명한 척도를 제시하여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극대화했다는 점에 있다고여긴다.

      • KCI등재

        벽화마을의 관광지화와 범죄예방효과 -부산 흰여울문화마을의 사례-

        박철현,손다래,유형숙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on the crime-prevention effects of the overtourism of mural village in S. Korea. Generally, People believe that a mural painting has a crime-prevention effects(Crime-Prevention Hypothesis). But the overtourism of mural village in S. Korea has been increasing, and skeptical opinions on its crime-prevention effects are rising. Also, we can predict that a increased anonymity at local can increase the fear of crime and crime(Increased-Crime Hypothesis). We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at had one experimental group(Huinnyeoul block) and two control groups(adjacent blocks). And we analyzed a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for each 3 year, each 5 year, and each 8 year, using RES(relative effect size) and Z-test. The incidence of crime in experimental group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ed for all period, in comparison with all control groups. In other words, a mural painting significantly increased crime in 2 of 6 results of our analysis. Also, a mural painting increased crime in 4 of 6 results of our analysis, but they are not significant. This shows that the overtourism of a mural village has been increase crime rather than decrease.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벽화마을에 주목하고, 이것이 범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다. 일반적인 믿음은 낙후된 마을에 벽화를 조성하는 것이 범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범죄예방가설). 그러나 최근의 벽화마을은 관광지화 되고 있으며, 이것은 벽화조성의 새로운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지역의 익명성이 증가하고 불특정 다수가 그 지역을 넘나들면 범죄의 두려움과 범죄의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범죄증가가설). 이 연구에서는 부산 영도의 흰여울문화마을을 선택하고, 이 마을과 인접한 두 개의통제집단을 선정하는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벽화조성의 효과 분석하기 위해 벽화조성 시점을 전후한 각 3년, 5년, 8년의 기간 동안 범죄건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RES(상대적 효과크기)와 Z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전 비교대상과 전 비교기간에관계없이 벽화를 조성한 이후 흰여울문화마을의 범죄건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기간과 2개의 통제집단이 조합된 6개의 연구결과 중에서, 2개의연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범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흰여울문화마을에서 상대적으로 범죄가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벽화조성으로 인한 지나친 관광지화가 범죄를 감소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범죄를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합금철기업의 SCM 모델 구현

        조종남,손다래,남호기,Jo, Jong-Nam,Son, Da-Rae,Nam, Ho-Ki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15 No.2

        This research identified approachabl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from SCM point of view, and analyzed sales/logistics, integrated production planning, phenomenon of cooperation and suggested an innovation model over thi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a case company. Process innovation model with an enterprise viewpoint is designed and suggested to solve the previous ares for improvement, and suggested various models of an ordering management model, available delivery management model, logistics operation model based on planning and S&OP model.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에서 마을의 벽화조성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 - 부산 매축지 벽화마을을 중심으로

        박철현,손다래,김형보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는 부산 매축지 벽화마을을 사례로 하여, 벽화조성이 범죄예방에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여 매축지 벽화마을과 주변 벽화가 조성되지않은 매축지 마을을 비교한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매축지 마을에 벽화가 조성된 2011년을 전후한 이 마을의 총 범죄건수로, 경찰의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수하였다. 이 자료에대한 분석결과, 벽화가 조성되지 않은 지역에 비해, 벽화가 조성된 지역에서 범죄의 감소가 최소 52%에서 최대 85%까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 이 결과는 지역의 무질서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역주민의 범죄의 두려움을 낮추고, 이것은 다시 지역주민의 지역에 대한 애착과 외부활동의 증가를 유도하여, 지역의 범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윌슨과 켈링의 깨진 창 이론의 설명을지지한다. 결국 이것은 벽화의 조성으로 인하여 깨끗해진 환경이 주민의 외부활동을 늘리고, 이렇게 늘어난 외부활동으로 인해 주민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며, 지역사회에서의 유대와 애착이 증가함으로써 동네가 ‘우리의 공간’이라는 공간에 대한 애착이 범죄를 줄일 수 있었다는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rime-prevention effect of mural arts, through a case of ‘Maechookji’ mural village in Busan. For this, the number of crimes at mural-art area(experimental group) are compared with the number of crimes at two non-mural-art areas(control group A, B) in ‘Maechookji’ village,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data includes a total number of crimes, happened in three areas(one experimental group, two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2011, which are acquired from police GIS information system. The data analysis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at the number of crimes at mural-art area has reduced by 52%~85%, in comparison with control areas. The result supports Wilson and Kelling’s Broken Windows theory, which explains that the decline of disorder(such as a mural art) reduces the fear of crime, then increases attachment to neighborhood and activities of outside, and finally can reduce crime.

      • KCI등재

        동아시아 사막 면적의 경년변화분석

        한현경,이은경,상훈,최성원,이경상,서민지,진동현,김홍희,권채영,다래,한경수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6

        The area of desert in East Asia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it cause a great cost of social damage. Because desert is widely distributed and it is difficult to approach people,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s is commonly used. But the study of desert area comparison is insufficient which is calculated by satellite senso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ert area data that are calculated for each sensor because the desert area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nsor may be different and may affect the climate prediction and desertification prevention measures. In this study, the desert area of Northeast Asia in 2001-2013 was calculated and compared using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d Veget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desert area of Vegetation increased by 3,020 km2/year, while in the case of MODIS, it decreased by 20,911 km2/year. We performed indirect valid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obtain actual data. We analyzed the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sian dust affected by desert area change. As a result, MODIS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R = 0.2071 and Vegetation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R = 0.4837. It is considered that Vegetation performed more accurate desert area calculation in Northeast Asian desert area. 사막면적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막대한 사회적 피해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막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사람의 접근이 어려워 인공위성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위성의 센서에 따라 산출되는 사막 면적 비교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센서의 선택에 따라 산출되는 사막 면적은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후 예측이나 사막화 방지대책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센서별로 산출되는 사막면적 자료의 특성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와 Vegetation을 이용해 2001-2013년 동북아시아 지역의 사막 면적을 산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MODIS에서 산출한 사막 면적은 비교적 과소 탐지하는 경향과 20,911 km2/year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Vegetation에서 산출한 사막 면적은 3,020 km2/year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실측자료 확보가 힘든 사막지역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해 산출된 사막 면적의 간접검증을 위해 사막 면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 황사 발생빈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MODIS는 R=0.2071로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Vegetation은 R=0.4837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Vegetation이 동북아시아 사막 영역에서 보다정확한 사막 면적 산출을 수행한 것으로 사료된다.

      • 합금철기업의 SCM 모델 구현

        Jo Jong Nam,손다래,남호기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3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춘계

        This research identified approachabl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from SCM point of view, and analyzed sales/logistics, integrated production planning, phenomenon of cooperation and suggested an innovation model over thi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a case company. Process innovation model with an enterprise viewpoint is designed and suggested to solve the previous ares for improvement, and suggested various models of an ordering management model, available delivery management model, logistics operation model based on planning and S&OP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