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손균욱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20 한어문교육 Vol.4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관한 ‘도입 및 취지, 운영 및 지원의 실제, 기대및가능성’이라는3가지항목을 중심으로질문을만들고, 이를활용 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직접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9명과 면담하였다. ‘인식’ 영역의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도입 및 취지에 관해서는 대부분 교 그 취지에도 동감하였고 교육과정 도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실행’ 영역의‘운영및지원의실제’와관련해서‘한학기한권읽기’를운영하는 방식은연구참여자가근무하는학교실태에 따라달랐다. 대부분은같은학년 을중심으로운영되었고‘한학기한권읽기’를준비하는과정에서동료교사와 함께협의하는모습을보였으며, ‘한학기한권읽기’ 운영을위한도서선택권 은학생이아닌교사들이가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한학기한권읽기’를 운영하면서 어려웠던 점으로는 ‘운영 방법의 어려움’이었는데, 이는 2018년에 도입된교육과정이라처음접한교사들이많고, ‘한 학기한권 읽기’와 관련된 사례나 연구 및 연수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운영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보급되고 공유될필요가있다. 둘째, ‘한학기한권읽기’를지원할수있는‘교사학습공동 체’를 만들고 활성화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실행 연구를 통해 ‘한 학기 한 권읽기’가‘독서단원’이라는특화단원성격으로초등학교국어교과서에별도 의내용으로존속될가치가있는지수업실행을통해검증하고, 차기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피드백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reading a book a semester'. Experience in creating a question centered on three items such as 'practice, expectation and possibility of introduction and purpose, operation and support' regarding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nd utilizing it to directly operat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 interviewed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purpose of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the “Awareness” area, most of them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school and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The method of operating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operation and support” in the “practice” area differed depending on the school conditions in which the study participants worked. Most of them were run around the same grade level, a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ading a book a semester', they were shown to consult with fellow teachers. It appears to have. The difficulty of operating 'Reading a book per semester' was 'Difficult to operate'. This is a curriculum introduced in 2018. The lack of training was the main reason. Based on this, some suggestions for the operation of “Reading a book per semest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seminate and share various ca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Reading a book per semester”. Second, we need to create and activat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at can support 'reading a book a semester'. Third, through the curriculum execution research, verify whether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s a special unit called 'reading unit', and verify whether it is worth persisting as a separate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 through class execution, and develop the next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You will have to feedback on.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의 현장적합성 검토 의견 반영 양상

        손균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 현장적합성 검토 의견을 살펴보고, 검토 의견이 실제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고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정 교과서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교육부는 현장적합성 검토 작업을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청을 받아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을 구성하여 시행하였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은 교과용 도서 중 교과서, 교과서 중에서도 <국어>에 관한검토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고, 교과서 검토 기준별로는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내용의정확성 및 적합성’ 범주에 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1학년 1학기 ‘한글 놀이’ 단원에 관한 검토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의 검토 의견은 교과서 최종본에 전부 반영, 부분 반영, 미반영 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미반영의 경우 편찬기관에서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에게 검토 의견을 미반영한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은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현장적합성 검토 과정에 전국의모든 교사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추후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개발 시 현장적합성 검토 작업에 교사 중심의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이 꾸준히참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pinions on the field suitabil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find out how the review opinions were reflected in actual textbooks.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ing national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upon receiving application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presented many review opinions regarding <Korean> among textbooks, and by textbook review criteria, the most opinions were regard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and the accuracy and suitability categories of contents. In addition, the most reviewed opinions were regarding the Hangul play unit in the first semester of first grade.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s review opinions were either fully reflected, partially reflected, or not reflected in the final version of the textbook. In cases where they were not reflected, a process was needed to explain why the review opinions were not reflected by the compilation agency.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l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participate in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en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a teacher-centered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should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work.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쓰기 교육 실행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손균욱 ( Son Kyun Uk ),가은아 ( Ka E Un A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이 연구는 한 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쓰기 교육을 어떠한 과정과 방법으로 시행하고, 쓰기 교육을 통해 어떻게 성장하였는지를 살펴보며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강교사의 쓰기 교육에 관한 변화와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소는 ‘어려움과 불안 속에서도 시도하는 자신만의 쓰기 교육’과 ‘필자로서의 지속적인 쓰기 수행’이었다. 위 두 가지 요소는 상호작용하면서 쓰기 교육에 관한 강교사만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쓰기 교육에 관한 교사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의 구성,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노력과 고민, 개인의 삶과 교사의 삶의 연결에 관하여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method of conducting writing education and how it has grown through writing education. To examine this, ‘narrative exploration’ using the teacher’s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was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and growth of writing educ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 Teacher Kang, were “your own writing education to try despite difficulties and anxiety” and “continuous writing performance as an author.” The above two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only for instructors on writing education while interac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eachers’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about writing education, efforts and concerns to form a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life and teacher’s lif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국어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손균욱 ( Son Kyun-uk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99 No.0

        초등학교 교사의 <국어 활동>에 관한 인식과 활용을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S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비롯하여 자료 수집, 수업 관찰 등을 하였다. 이를 통해 인식 영역에서는 ‘<국어 활동>을 활용하기에 모호함’이라는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관련된 하위 범주는 ‘<국어>와의 차별성 부족, 불분명한 <국어 활동>의 역할’이다. 활용 영역에서는 ‘<국어 활동>을 소극적으로 활용함’이라는 상위 범주 아래 ‘부담감을 가지고 <국어 활동>을 활용, 기초 다지기 위주의 활용’이라는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국어 활동>을 활용하기에 모호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고 <국어 활동>을 소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국어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국어 활동>이 지닌 보조 교과서로의 활용 목적이 더 뚜렷해야 한다. 또한, <국어활동>에서 제시한 학습량을 줄이되, 초등학생의 기초적인 국어 사용 능력향상에 초점을 둔 활동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국어 활동> 활용 사례 중심의 안내와 연수가 필요하다. <국어 활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내용을 반영하는 등 교과서로서의 노력을 지속적해서 이어 나가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data collection, and class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six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is, in the recognition area, a high-level category called ‘ambiguous use of < Korean language activity >’ was derived, and the related sub-category was ‘lack of differentiation from < Korean language >, unclear role of < Korean language activity >’. In the area of use, under the upper category of ‘passively using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a subcategory of ‘using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with a sense of pressure, focusing on laying the foundation’ was derive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 use of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was ambiguous and that they used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passively. In order for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to be properly utilized in school settings, the purpose of using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as an auxiliary textbook must be clearer. In addition, the amount of learning suggested in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should be reduced, but centered on activities that focus o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Korean language usage skills. Lastly, guidance and training centered on examples of using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are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is being used, and efforts as a textbook should continue to be made by reflecting the conten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