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사회 교과서에서의 정의문 기능 연구 - 국어과 설명하기 성취기준의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하여 ⑵

        소지영 ( So Jiy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설명은 모든 학문 영역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국어과 내에서도 매 교육과정에서 주요 성취기준으로 다루어지는 교육 내용이다. 그런데 국어과의 설명하기 관련 성취기준은 내용 요소가 명확하지 않고, ‘설명’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언어 사례가 제시되지 않아 추상적인 면이 있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설명에 대해 배우고서도 설명이란 무엇인지, 각 설명 방법은 어떻게 언어적으로 실현되는지 제대로 알 수 없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내용 교과 중 하나인 사회과에서의 설명하기를 살펴 학습 언어로서 설명하기의 내용 요소를 구체화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및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정의문에서 핵심 개념을 설명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핵심 개념에 대한 정의적 설명이 ‘∼ㄴ/는 NP1을/를 NP2(이)라고 한다.’ 구문으로 정형화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때 ‘∼ㄴ/는 NP’로 실현되는 ‘환언’이 사회과의 설명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언어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언 과정에서 ‘∼ㄴ/는 NP’ 형식이 선행 내용을 어떻게 환언하는가에 따라 핵심 개념에 대한 설명의 방식에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본고에서는 환언의 유형을 ‘내용 일반화’, ‘내용확장’, ‘개념 상세화’, ‘개념 분류’ 네 가지로 구분하여 환언의 형식으로 설명의 기능이 실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국어과가 타 교과에 학습의 언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언어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교과 학습을 위한 학습 담화 중‘전형적인 담화 양상’이 ‘언어 경험’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언어 형식과 언어 구문의 의미 기능에 더하여 해당 의미 기능이 극대화된 전형적인 사용역과 해당 담화 공동체의 사고방식이 함께 고려될 때 가능할 것이다. Explanation is one of the main educational contents that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main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However,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xplaining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s abstrac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d to specify the content elements of explanation as a learning language by examining the explanation found in social studie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definitional explanations of key concept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were formalized into ‘∼n/neun NP1eul/leul NP2(i)la-go han-da.’ phrases. ‘Paraphrase’ realized as ‘~n/neun NP’ can be said to be a specific language device that realizes the explanation in social studies. In this paper, the types of paraphras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eralizing contents’, ‘expanding contents’, ‘specifying concepts’, and ‘classifying concepts’. In order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to function as language of learning in other subjects, typical discourse aspects of each subject should be provided as a specific language experience.

      • KCI등재

        담화 의미 분석을 위한 ‘환경’ 요소 설정 및 분석 연구-관형절을 중심으로

        소지영 ( So¸ Ji-y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 기능 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떤 사태나 인간의 경험을 표상하는 동성 체계 중 ‘환경’ 요소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한 분석 상 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좁히는 데 있다. 체계기능 언어학에서 동성은 ‘과정’을 중심으로 ‘참여자’와 ‘환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제시되는데, ‘참여자’와 ‘과정’이 주된 사태를 표상하는 것과 달리 ‘환경’은 부차적인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간 주목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환경’이 담화 의미 생성 및 분석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기도 하여 분석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명사(구)에 선행하면서 의미를 상세화하거나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관형절을 중심으로 ‘환경’ 요소의 설정 문제와 구분 기준, 분석 방법을 논의하였다. ‘환경’ 요소의 설정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명사(구)에 선행하여 수식 기능을 하는 관형절을 별개의 요소로 간주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또 절 복합체로 실현된 ‘환경’ 요소의 경우 선후행관형 구성이 포함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여타 요소와의 중첩성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환경’ 요소 내의 ‘참여자’와 ‘과정’을 모절 층위의 ‘참여자’, ‘과정’과 분리하여 ‘핵심 또는 상위 참여자/과정’, ‘부가 또는 하위 참여자/과정’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 기능적 의미 구성 방식, 설명 및 정의의 새로운 방식, 문장의 의미 밀도를 조절하는 방식 등으로 확장되며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내용으로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circumstance’ element of the transitivity system from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SFL), and examining the difficulties in analysis related to this. Unlike ‘participant’ and ‘process’, ‘circumstance’ was thought to represent a secondary meaning, so attention was relatively low so far. However, in Korean, the ‘circumstance’ also plays an essential function in constructing and analyzing the meaning, so there is a need for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d the problem of setting the ‘circumstance’ element,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nd the analysis method, focusing on the adnominal clause, which precedes the noun group, refines the meaning or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These discussions need to be extended to a method of functionally constructing meaning, a new method of explanation and definition, a method of adjusting the semantic density of sentences, etc., and to concrete conten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language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