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스캐닝기술을 활용한 3D공간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소윤범,이재문,장민제,민세홍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본 논문에서는 3D스캐닝기술을 활용한 3D공간시스템 구축방안으로 화재·재난 발생 시 출동 소방대원에게 3D공간데이터 를 제공해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돕는 3D공간데이터 시스템 구축방안과 2D도면데이터 추출을 통한 건축물 불법증축 점검 시 스템 구축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화재 위험이 높은 건축물의 3D스캐닝 과정을 거쳐 3D공간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 축된 데이터를 화재예측플랫폼과 연계함으로써 소방대원에게 사전에 3D공간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재·재 난 발생 시 소방대원의 사전공간정보 인지를 통해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3D스캐닝기술을 사용해 건축물의 3D공간데이터를 2D도면데이터로 빠르게 추출이 가능함으로써 2D로 이루어진 기존 건축물현황도와 비교·분석과 정을 통해 불법증축건축물에 대한 효율적인 점검이 가능해 진다.

      • KCI등재

        전통시장 외부공간의 화재 대응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소윤범(So, Yoonbeom),김용한(Kim, Yonghan),민세홍(Min, Seh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5

        최근 잇따른 전통시장의 대형화재 발생에 따라, 전통시장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신속 대응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대구 S시장 등 다수의 전통시장의 화재감지시스템은 외부공간의 적응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로 인해 내부공간에 대한 화재감지 신뢰성 또한 문제가 있었으며, 화재감지기로부터 방재실을 거쳐 소방관서로 전달되는 중요 화재감지신호가 상호 연계성 없이 독립된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화재보 발생 문제와 외부공간의 화재감지 적응성 문제 등 전통시장 화재위험에 대비한 신뢰성 있는 영상기반 화재감지시스템 개발과 화재감지기부터 방재실, 소방관서, 상인 및 시민까지 연계된 실증기반 실시간 상황전파시스템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했다. As severe fire occurs and spreads successively in a traditional market, the need for the prompt response to the fire in the space outside the traditional market becomes more urgent. The fire-detection system used for the Daegu S-traditional market has the problems of having no adaptability to outside space, achieving fire detection reliability for the inside space owing to false alarms, and for operating the critical fire-detection signal delivered from the fire detector through the fire command center to the fire station in the independent state without interconnectedness. Hence, in this study, a reliable image-based fire-detection system prepared for reducing the fire risks of the traditional market, including the problems of the occurrence of unwanted alarms and adaptability to fire detection in the outside space, is developed. A demonstration-based real-time-situation notice system was connected from the fire detector to the fire command center, fire stations, merchants, and residents.

      • KCI등재

        3D 스캐닝 기법을 적용한 소방현장의 공간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임성빈(Lim, Seongbin)소윤범(So, Yoonbeom),민세홍(Min, Sehong)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3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의 고도화로 인해 건축물은 고층화⋅심층화되고 기상 이변 등의 예측 불가능한 대형재난 발생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화재 등의 재난발생 시 화재현장의 사전정보 인지가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소방대응시스템은 재난발생 시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 사전 파악의 한계로 인해 초기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등의 재난현장에서 초기대응에 필요한 3D 공간데이터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표본 건축물을 선정하여 현장 3D 스캐닝 및 데이터 후처리 과정을 통해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공간데이터의 활용방안으로 지능형 화재예측플랫폼 연계, 소방 도상훈련 등의 도입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소방현장에 실질적인 공간정보 구축으로 복잡화⋅대형화되는 실내공간에서의 국민의 안전보장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acceleration of the economic growth encourage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and deep-underground buildings, which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he severe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the country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large-scale disaster, such as extreme weather. Therefore, recognizing the prior information of the fire scene in event of a fire disaster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the prompt response; however, the current fire response system has a difficulty in the initial response because proactive collection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building is limit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result, to present the plan for constructing the 3D geospatial data required for the initial response in a fire disaster scen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struction case through 3D site scanning and data post-processing using a sample buil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sure national safety in complex and large indoor spaces with substantial geospatial information of construction in the firefighting area by proposing both the linkage with the intelligent fire forecasting platform and the plan on introducing untact firefighting training as the plan of using the 3D geospati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