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 입체영상이 수용자 프레즌스의 경험 수준과 각성, 기억, 감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소요환(So, Yo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일반적으로 프레즌스는 수용자가 매개된 영상물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영상물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를 인지하거나 지각하지 못하고 어느 순간 미디어를 시청하고 있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매개된 영상물에 몰입하는 심리적인 상태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레즌스 개념에 근거하여 입체감 유무에 따른 미디어 유형에 따라 수용자가 프레즌스를 경험하는데 차이가 있는가와 함께 프레즌스 효과로 각성, 기억, 그리고 감동에 차이가 있는가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을 위해 120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미디어 유형의 영상물을 시청하게 한 후,두 집단 간의 프레즌스 수준과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3D 입체영상을 시청한 집단이 2D 일반영상을 시청한 집단보다 프레즌스 경험 수준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각성에 대한 프레즌스 효과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예측과는 달리, 기억과 감동에 대한 프레즌스 효과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다. In general, the presence is defined as a psychological state mediated audience while watching the media, forgetting that recognize their state and watch videos, or do not perceive any moment and watch the media in impressive audio-visual media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presence of these medi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ree-dimensional,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ence to experience the presence and the difference effect of the presence is with arousal, memory, and impressive effects abou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empirical research. 120 subjects for the experiment after you watch media of different media types, presence, levels and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Experimental results, a group watching 3D stereoscopic images of 2D general presence, level of experience than watching a group showed higher mean valu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dentifi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arousal. However, the presence on memory and impressive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not be.

      • KCI등재

        3D 컨버팅 기술을 활용한 입체 영상 제작에 관한 연구

        소요환 (So Yo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영화 <아바타>의 흥행성공 이후 3D 입체 영상이 영화분야뿐만 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에서 제작 방식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시장에 따른 산업적 수요의 부족 입체 제작과정의 어려움 그리고 제작비 증가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기존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팅 기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3D 컨버팅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문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3D 컨버팅 기술의 개념과 제작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제작 사례를 통해 3D 컨버팅 제작 과정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증적 의미성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3D 컨버팅 제작 과정의 특징은 첫째 자동화가 쉽지 않으므로 전적으로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둘째 영상 전체를 3D로 변환할 때 더욱 효율적인 특징들이 나타나며 셋째 영상의 장면 장르 등에 따라 고려해야 할 사항이 다르다. 또한 3D 컨버팅 과정은 첫째 레이어별로 자르고 약간씩 이동하고 둘째 변위 지도로써 뎁스맵을 사용하고 변위 지도를 만들며. 셋째 3D 모델에 대한 이미지를 투영하고 넷째 운동 시차를 시점 시차로 바꾸는 방법으로 이루진다. 이러한 3D 컨버팅 기술의 제작과정은 입체 영상의 다양한 범위에서 확대 활용되고 미래 영상 산업에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After performance success of movie "Avatar" 3D stereoscopic images only movie field from situation of recent times when it is magnified in bay all fields importance are together augmented in about production method. The tribe of the industrial demand which it follows but initially in market three-dimensional production process being difficult and production cost increase etc. with the alternative where the converting technique is new it is caused by with the reason which is various and with 3D images it converts 2D images of existing. The research which it sees like this 3D converting technolog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chnique and 3D converting technology which are being scattered scholastically the concept and a production process of technique systematically it arranged actual production instance it led and 3D converting technology it understood positive meaning characteristic under materializing boil a production process. When it summarizes a research contents with afterwords it is same. Features of the method converting 2D images into 3D stereoscopic imag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ot so easy to automate that it is completely carried out manually. Second it tends to be more efficient when an entire movie is converted into 3D images. Third considera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hootings with special effect locations and movies. In addition the converting process of images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steps. First it changes the motion parallax into the view parallax. Second it cuts for each layer and moves it slightly. Third it uses a depth map as the displacement map. Fourth it is carried out by cross-projecting two 2D images into the 3D model of a scene. The 3D stereoscopic images would be utilized extensively in various ranges and provide opportunities that could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 visual industry.

      • KCI등재

        3D 입체영상의 제작단계별 작업공정에 관한 연구

        소요환(So Yo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재조명되는 3D 입체영상의 제작환경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작 분야별로 확인하고 기술적으로 진화된 영화 <아바타>의 3D 입체영상 제작기술에 근거한 효율적인 제작단계별 작업공정을 제시하고자한다. 제시된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제작 단계에서는 입체영상의 적합성 판정 입체효과를 살릴 수 있는 장르와 형식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스토리보드 작업 시 입체영상 제작에 맞는 동선과 움직임 화면 도구 등을 입체효과에 근거하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제작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촬영분야는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와 방향 입체의 기준점 깊이의 정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세팅이 이루어져야 하며 촬영 후에 입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확인하면서 보충 촬영이나 재 촬영여부를 결정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후반제작 단계 역시 많은 시간이 투자되는 부분으로 CG와의 합성된 영상을 확인하고 편집 색 보정 등이 요구된다. 특히 두 개의 서로 다른 렌즈에서 촬영된 영상의 색감 밝기 등의 보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효율적인 입체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제작 공정과 카메라 세팅 렌더링 작업 색감 및 밝기 보정 입체 영상 편집과 같은 또 다른 제작 시스템이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confirms the problem point which it follows with 3D stereoscopic image production environments which are again illuminated recently newly in it as a productionfield and it presents the production phased by work process which is efficient and of the movie which evolved with technique <Avatar> is based to 3D stereoscopic image production techniques character it does. When it summarizes the analytical contents which is presented with afterwords it is same first stereoscopic image compatibility decisions the style which is the possibility of saving a stereo effect and formal etc. must be considered from advance production phase with the copper wire which hits to story board work at the time of stereoscopic image productions moving screen tool etc. based on a stereo effect the work must become accomplished. Second most the photographing field which is important degree etc. of datum point and depth of distance and direction and solid between the camera lens considers the element which is various from production phase and the setting must become accomplished after photographing it uses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it confirms the solid feeling of image and must decide supplement photographing or a re-photographing yes or no. It confirms the image which with CG is synthesized in the part where the last latter half production phase as well many time is invested editing chromatic revision etc. it is demanded. The color feeling of the image which from the specially two each other is photographed different lens and revision of lucidity etc. must become accomplished. It says again in order to produce stereoscopic image where it is efficient it stands and in advance is thorough production process and camera setting compared to with ring work color feeling and lucidity revision and holography editing it is same also the different production system does to become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