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랩음악과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모바일러닝 애플리케이션의 효과성 평가

        소요환(주저자) ( Yo Hwan S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랩음악과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모바일기반의 역사학습교안 애플리케이션이 중학생들의 역사과목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모바일러닝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Y 중학교2학년 학생 총 119명을 선정하고, 최근 출시된 완자쏭이라는 역사과목 모바일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와 설문응답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랩음악과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모바일러닝 콘텐츠를 경험한 실험집단은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학습방법을 경험한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10%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랩음악과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모바일러닝 수용자의 유용성, 용이성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rap music and motion graphics utilizing the history of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are lesson plans and learning achievement of junior high school history courses empirically satisfaction and the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bile learning. To this end, Seoul Y Middle School sophomore has selected a total of 119 people. The latest release of wanjassong history subjects were analyzed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pre- and post- test and survey responses targeting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ap music and motion graphics experience for mobile content using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academic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text-based comparison group experienced a learning method is improved by more than 10%. In addition, rap music and motion graphics utilizing the usefulness of mobile learning audience, eas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3D 입체영화 수용자의 인식유형별 장르선호도와 품질평가

        소요환(주저자) ( Yo Hwan S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3D 입체영화 수용자의 인식유형에 따른 장르선호도와 장르별 품질평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3D 입체영화를 시청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장르선호도와 품질평가의 차이를 비교하고 인식유형이 프레즌스의 결정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D 입체영화를 시청한 피험자들의 장르선호도는 SF/판타지>액션>애니메이션 순으로 나타났고, 품질평가에서는 SF/판타지>액션>다큐멘터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이 기각된 미디어와의 사회적 관계 요인을 제외하면, 사실주의, 몰입경향, 그리고 공간적 실재감의 요인들은 각각의 인식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D 입체영화에 대한 수용자의 장르선호도, 품질평가, 그리고 장르별 프레즌스의 결정요인이 입체영상 제작관행과 장르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영화산업뿐만 아니라 방송현업과 관련산업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ype of 3D stereoscopic movie audience genre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quality assessment purpose is to verify empirically. For this purpose, 3D stereoscopic movie genre preference to target viewed by the experimenter and the quality rating and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s the presence of the determinants recognized by any type of impact are analyzed. Result of analysis, 3D stereoscopic movie genre preference of the subjects watched SF/Fantasy>Action>Anim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rdered SF/Fantasy>Action>Documentary. In addition, realism , immersive tendency, and spatial awareness reality factors influence each type of awareness except for the factor of social relations with med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udience for 3D stereoscopic movie genre preference , quality assessment, and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genre and form 3D stereoscopic image production practices that affect the broadcast industry, as well as in the movi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will have a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