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音聲的 요인에 기반한 通時的 音韻 變化의 發生 層位 -鼻母音化 및 鼻音性 消去를 중심으로-

        소신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level of occurrence of a phonological change. Most of the earlier studies interpreted a phonological change in terms of the change of a phonemic system. However, every phonological change cannot be explained from that point of view, since some of them occur at a phonetic level without being preceded by the change of a phonemic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will mention the limitation of the earlier studies which discussed the level of occurrence of a phonological change in terms of a phonemic system and it will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phonetic approach to a phonological change. In this paper, I will demonstrate phonological changes such as vowel nasalization and denasalization occur at a phonetic level and they are implemented in the gradual manner. In this case, the occurrence and process of the actual sound change cannot be described accurately without mentioning the phonetic level in which [] exists. Furthermore, I will claim that phonetically based changes will be explained more funda- mentally from the viewpoint of phonetically grounded constraints. 이 글은 音聲的 요인에 기반한 通時的 音韻 變化의 發生 層位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에는 대부분의 음운 변화가 음운 체계 변화의 관점에서 이해되었다. 그러나 실재하는 음운 변화 중에는 음운 체계의 변화가 선행되지 않은 채 音聲 層位에서 발생한 변화의 예들 또한 존재한다. 이에 본고는 체계 중심적 관점에서 음운 변화의 발생 층위를 논의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언급하고, 음성적 차원에서 음운 변화에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鼻母音化 및 鼻音性의 消去 현상을 중심으로, 音韻 變化는 音聲 層位에서 발생하여 漸進的으로 수행됨을 보일 것이다. 이 현상의 경우, []이 존재하는 음성 층위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는 실제 음변화의 발생과 진행 과정을 정확히 기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변화는 음성적 근거를 지닌 制約의 관점에서 보다 근본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의 ㅿ>ㅈ 변화에 대하여

        소신애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4

        In Middle Korean, the majority of words including /z/ underwent /z/>ø change, while in some words /z/ changed to /ʦ/. To date, /z/>/ʦ/ change has not been discussed thoroughly since it has been considered as a very exceptional chang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examples of z>ʦ change from written documents and dialects, and I attempted to clarify the motiva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change. The main points of my discussion are as below. First, the Middle Korean /z/ has been reflected as /s/, ø and /ʦ/ in various dialects. In fact, the examples of /z/>/ʦ/ are far more considerable than early studies mentioned. Second, the environment of /z/>/ʦ/ is not limited to between a nasal consonant and a vowel. Most examples of /z/>/ʦ/ are found between vowels. Third, /z/>/ʦ/ is the change actuated in the speech interpretation process. It is motivated by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z/ and /ʦ/. It is inferred that the change was implemented through a listener's misperception of /z/ or hyper-analysis. Fourth, there was a /z/>/s/ as a competing change with /z/>/ʦ/. It was also the change through phonological reinterpretation of a listener. 중세 국어의 ㅿ은 대부분 ㅿ>ø의 변화를 겪었으나, 일부 어사의 ㅿ는 ㅿ>ㅈ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런데 이제껏 ㅿ>ㅈ은 지극히 예외적인 변화로 간주되어 온 까닭에, 그에 대한 정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는 문헌 및 방언에 나타나는 ㅿ>ㅈ 변화의 예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변화의 동인과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 ㅿ 어사는 방언에 ㅅ형, ø형, ㅈ형으로 반사되어 있으며, ㅿ>ㅈ의 변화를 겪은 어사도 적지 않다. 둘째, ㅿ>ㅈ의 변화 환경은 비음과 모음 사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ㅿ이 ㅈ으로 변화된 예가 가장 일반적이다. 셋째, ㅿ>ㅈ 변화는 청자의 발화 해석 과정에서 촉발된 변화로서, 이는 유성음 환경의 ㅿ과 ㅈ의 음성적 유사성에 기인한다. ㅿ을 ㅈ으로 오지각하거나 과도 분석함으로써 ㅿ>ㅈ 방향의 재구조화가 초래되었다. 넷째, ㅿ>ㅈ과 더불어 ㅿ>ㅅ 또한 경쟁적 변화로 존재하였다. 이 또한 청자의 음운론적 재해석에 의한 변화이다.

      • KCI등재

        모음 간 ㄱ 약화・탈락에 대하여-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

        소신애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otivation, the mechanism and the process of the intervocalic lenition and deletion of /k/ in Korean. Considering a sound change is diffused gradually in the lexical, the regional and the social dimension over a long time span, it is also supposed that the intervocalic lenition and deletion of /k/ in Korean has been diffused gradually in each dialect. This view is supported by that some /k/-containing words in the written documents of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are reflected as /k/-lenited forms or /k/-deleted forms in the Contemporary Korean dialects. Moreover, we can observe that the same speaker shows the optional lenition and deletion of /k/ in the casual speech. In this context,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ly, the synchronic variation related to the intervocalic lenition and deletion of /k/ is observed in the Jeonnam dialect and the Kyeongnam dialect. Secondly, the conditional environment of the lenition and deletion of /k/ is "between voiced segments". Thirdly, the motivation of the change is 'ease of articula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change is 'intervocalic assimilation'. The speech tempo and the duration of the segments also seem to be involved in it. Fourthly, the subject of the intervocalic lenition and deletion is not limited to */g/ or */γ/ but */k/ might undergo the change as well. Fifthly, the lenition and deletion of /k/ as a diachronic change is gradually implemented in the lexical dimension and the phonetic dimension, showing the synchronic variation in the process of the change. 이 글은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모음 간 ㄱ 약화․탈락’ 현상의 동인과 기제 및 그 진행 과정에 대해 논의한다. 음변화가 비교적 긴 시간폭을 두고 지역에 따라, 화자에 따라, 어휘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산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국어의 ㄱ 약화․탈락 현상 또한 오랜 기간 동안 각 방언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세 및 근대 문헌상 ㄱ을 지닌 어사가 현대 방언에 ㄱ 약화형 혹은 ㄱ 탈락형으로 반사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하며, 일상적인 발화 내에서 동일 화자가 수의적으로 ㄱ 약화․탈락을 보여 주는 경우 또한 관찰되기 때문이다. 논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방언과 경남 방언에는 ‘모음 간 ㄱ 약화․탈락’과 연관된 공시적 변이가 존재한다. 둘째, 이 변화의 조건 환경은 ‘유성음 사이’이다. 셋째, 변화의 동인은 ‘조음 편이의 추구’이며, 변화의 기제는 ‘유성음 간 동화’이다. 여기에는 발화 속도와 분절음의 길이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ㄱ 약화․탈락의 변화 대상은 기원적인 */g/나 */γ/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원적인 */k/도 약화․탈락을 경험할 수 있다. 다섯째, 통시적 변화로서의 ㄱ 약화․탈락은 음성적으로나 어휘적으로나 점진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며, 그 중간 과정에서 공시적 변이를 보인다.

      • KCI등재

        중세 국어 음절말 유음의 음가와 그 변화 - 방언 자료와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소신애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er the phonetic value of the syllable final liquid(/ㄹ/) of Middle Korean and to discuss the process of its diachronic change. My argument will be based on the dialectal data of Contemporary Korean and the data from the written documents of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In this paper, special regard will be paid on the phonetic details from the written materials in which the Hambuk Yukjin dialect of the early 20th century has been narrowly transcribed. Besides, I will also examine the dialectal data which are recently collected in Central Asia and China. All this considered, it appears likely to us that the syllable final liquid of Korean underwent syllable final unreleasing([r]>[l]) when Middle Korean shifted to Modern Korean, and it is assumed that this change was implemented and diffused in the gradual manner.

      • KCI등재

        평양 지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소신애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5 No.-

        This paper discusses the vowel system, consonant system, and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Phyengyang subdialect after the mid-20th century. The properties of the Phyengyang subdialect identifi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to the six vowel system is almost complete. Second, /ʦ/ is mostly realized as alveolar allophone(=[ʦ]), but in front of /i/, palatal allophone(=[ʧ]) and an alveolar allophone coexist. Third, the palatalized forms and non-palatalized forms coexist. Fourth, vowel palatalization does not occur. 본고는 20세기 중엽 이후 평양 지역어의 모음 체계와 자음 체계, 그리고 관련 음운 현상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고에서 확인한 평양 지역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6모음 체계로의 변화가 거의 완료 단계에 이르렀다. 둘째, /ㅈ/은 대부분 치조 변이음(=[ʦ])으로 실현되나, /ㅣ/ 앞에서는 경구개 변이음(=[ʧ])과 치조 변이음이 공존한다. 셋째, 구개음화형과 비구개음화형이 공존한다. 넷째, 구개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 KCI등재

        황해도 방언의 자음 체계와 그 변화: 장연 지역어의 /ㅈ, ㅉ, ㅊ/을 중심으로

        소신애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3 언어와 정보 사회 Vol.48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onant system of the Hwanghay-to dialect and its diachronic chang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netic values of /ʦ, ʦ’, ʦʰ/ and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phonetic data of the Cangyen subdialect. First, the phonetic realization patterns of /ʦ, ʦ’, ʦʰ/ are examined.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onant system and the two phonological phenomena, that is, palatalization and vowel palatalization, is discussed. Based on this examination,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consonant system of the Hwanghay-to dialect is presented. 본고는 황해도 방언의 자음 체계와 그것의 통시적 변화에 대하여 논의한다. 특히 장연 지역어의 음성 자료를 중심으로 /ㅈ, ㅉ, ㅊ/의 음가 및 그와 관련된 음운 현상의 관계를 논의한다. 우선, /ㅈ, ㅉ, ㅊ/의 음성 실현 양상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자음 체계와 두 음운 현상 즉 구개음화, 구개모음화의 관계에 대해 각각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황해도 방언의 자음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과 그 흔적—함북 육진 방언을 중심으로—

        소신애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본고는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 후 그 흔적이 공시태 내에 잔존하는 현상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러한 흔적의 존재에 따른 음운론적 특이성을 발화 기반 이론 및 용례 기반 모형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19세기 이후 문헌 자료와 20세기 이후 함북 육진 방언 자료에는,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 후에도 이전의 곡용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예들이 존재한다. 이 같은 공시적 예외는 말음 ㅎ의 흔적(ø)이 잔존하는 데 기인한다. 발화 기반 이론 및 용례 기반 모형의 관점에서, 이러한 흔적의 잔존은 이전 시기의 발화형이 화자들의 어휘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ㅎ의 音價 變化 및 관련 음운 현상의 共時的 기술- ㅎ의 有氣性을 중심으로 -

        소신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2

        This paper points out some problems in describing the phonetic value of /h/ and some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from the synchronic perspective and it explains those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phonetic value of /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phonetic value of /h/ focusing on its aspiration, it clarifies whether Contemporary Korean /h/ is lax or aspirate and it suggests the ways of synchronic description of aspiration and intervocalic /h/ deletion.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ly, it is supposed that Middle Korean /h/ was aspirate with relatively stronger aspiration compared to Contemporary Korean /h/. Secondly, it is inferred that the phonetic value of /h/ has gradually changed since Middle Korean period and the direction of change has been the reduction of aspi -ration. Thirdly, Contemporary Korean /h/ is considered as aspirate from the phonological viewpoint but the degree of aspiration of /h/ is as weak as lax from the phonetic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h/ is regarded as aspirate from the phonological perspective because it still provides the phonological motivation of aspiration although it is in between lax and aspirate from the phonetic perspective. 본고는 共時的 관점에서 ㅎ의 音價 및 ㅎ 관련 음운 현상을 기술할 때 부딪히는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ㅎ이 겪은 通時的 음가 변화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ㅎ의 有氣性을 중심으로 ㅎ의 통시적 음가 변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현대 국어의 ㅎ이 평음인지 유기음인지를 구명하고, 이에 근거하여 ‘有氣音化’ 및 ‘有聲音 간 ㅎ 脫落 현상’의 공시적 기술 방안을 제안한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 국어의 ㅎ은 현대 국어의 ㅎ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유기성을 지닌 有氣音으로 실현되었을 것이다. 둘째, ㅎ의 음가는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그 변화의 방향은 ㅎ이 지닌 有氣性의 감소였을 것이다. 셋째, 현대 국어의 ㅎ은 음운론적으로 有氣音이되, 음성적으로는 그 유기성의 정도가 평음에 가까울 정도로 약하다. 즉, ㅎ은 음성적으로 유기음과 평음의 중간적 속성을 지니되, ㅎ은 여전히 유기음화의 음운론적 동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음운 체계상으로는 有氣音이라고 보는 것이다.

      • KCI등재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는 대학원생의 학사정보 도달과 학업계획 관리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소신애,김숙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불확실한 사회에서 직업능력 개발의 중요성은 커지고, 고용 불안정에 직장인들은 대학원으로 향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는 대학원생들은 바쁜 직장생활과 정보부족으로 대학원 진학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하는 대학원생의 학업생활에 대한 정성연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디자인 기회영역으로 삼아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진행은 직장을 병행하는 대학원생에 대한 문헌연구 후, 보다 심층적인 조사를 위해 정성조사로 사용자, 이해관계자, 온/오프라인 접접에 대한 관찰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정성조사를 토대로 주요 문제점인 정보전달 채널 혼재로 정보 찾기의 어려움, 차수별/수업별 상세한 정보획득의 어려움, 시기별 미리 대비하기 어려움 등을 도출하였다.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크게 3가지 테마로 구성된 서비스모델로서 ①학업계획 맞춤로드맵, ②콘텐츠별 리얼팁, ③로드맵기반 알림서비스을 제안하였다. 각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세부기능들을 정의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일하는 대학원생들이 학교로부터 케어받는 경험을 제공하여 학업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의 중심채널로서 클래스넷과 어플리케이션을 적극 활용하였고, 정보의 핵심관리자로 심화조교를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단절되어있던 대학원 정보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맵으로서 제안하였고, 시나리오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직장을 병행하는 대학원생들의 실정과 요구사항분석을 통해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 방법으로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재정의함으로서 조직간 사일로를 해결하고, 향후 일하는 대학원생 정보서비스의 관리 및 활용에 있어 총체적 관점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office workers who work and study at the same time is increasing. In an uncertain society, the importance of job development is growing, and workers are heading to graduate schools due to job instability. However, the survey found that graduate students who work and study at the same time had difficulty achieving their graduate goals due to their busy working life and lack of in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problem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of the academic life of a graduate student working and propose a service design using it as a design opportunity area. The research progress was followed by a literature study on postgraduate students working in parallel with their jobs, follow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s of users, stakeholders and on/offline contacts with a qualitative survey for more in-depth investigation. Based o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the mixing of information delivery channels, which is a major problem, resulted in difficulties in finding information, difficulty in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by order of difference/classes, and difficulty in preparing information in advance by tim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found, a service model consisting largely of three themes proposed a 1st-academic plan customized road map, real-tip by 2 contents, and a 3rd-road map based notification service. By defining detailed functions to implement each service, ultimately working graduate students wanted to improve their academic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m with the experience of receiving care from the school. In addition, the company actively utilized Classnet and applications as the central channel of service and proposed a deep-seated assistant as the core manager of information. The final disconnected graduate information service was proposed as a system map, and the scenario was specifi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ed active sol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requirements of postgraduate students working together, and redefining the role of various stakeholders as a method, thereby providing a direction for solving silos between organizations and moving forward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n managing and utilizing future graduate student information services.

      • KCI등재

        開音節 뒤의 ㄴ 揷入 現象에 대하여 -全南 方言을 중심으로-

        소신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n/-insertion after open syllables and to clarify its phonological motivation and mechanism. It will discuss the phenomenon focusing on the Jeonnam dialect, specifically the Jindo subdialect.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ly, the /n/-insertion after open syllables exists as well as the one after closed syllables. Secondly, this phenomenon is primarily attributable to the reaction against the /n/-deletion in the same environment. The /n/-insertion is the result of the hyper-analysis by the listeners. Thirdly, the secondary motivation of this phenomenon is the phonetic ambiguity of the nasalized forms. The phonetic ambiguity might induce the listener's misperception. Fourthly, the increase of discriminability through form- preservation might be another motivation of the /n/-insertion. If /n/, the unmarked segment in the relevant position, is inserted after an open syllable then the syllable contrac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syllable boundary will be clearer. 본고는 ‘개음절 뒤 ㄴ 삽입 현상’의 실제에 대해 기술하고, 그 현상의 음운론적 동인과 기제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全南 方言, 특히 珍島 地域語 資料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閉音節이 아닌 開音節 뒤의 i나 y 앞에도 ㄴ이 삽입되는 현상이 있다. 둘째, 이 현상의 일차적 동인은 같은 환경에서 일어나는 ㄴ 탈락 현상에 대한 反作用에 있다. 어중 ㄴ 탈락 현상에 유인되어, 청자의 기저형 복원 과정에서 ‘過度 分析’이 수행된 결과, ㄴ이 삽입된 기저형이 복원되었을 것이다. 셋째, 비모음화형이 지닌 音聲的 曖昧性에 이 현상의 이차적 동인이 있다. 애매한 음성형이 청자에 의해 誤知覺됨으로써, ㄴ이 삽입된 기저형이 복원된다. 넷째, 이 현상의 동인은 形態 保存을 통한 辨別力 增大의 측면에서도 찾을 수 있다. 화자의 발화 산출 과정에서 해당 환경의 무표적 분절음인 ㄴ을 삽입함으로써 음절 축약을 저지하고 각 음절의 경계를 분명히 나타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