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피해자의 헌법적 권리와적법절차를 통한 보장

        소병도 ( Byung Do S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2

        범죄피해자는 헌법상 구조청구권, 피해자진술권, 건강권에 근거한 ``범죄피해에서 회복될권리``와 ``형사절차에서 2차 피해를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이 권리들은 헌법 제10조를근거로 제37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의 정당성을 얻는다. 그러나 피해자진술권을 구체화한형사소송법 제294조의2는 피해자를 증인으로만 파악하여 기본권을 침해적·제한적으로 구체화 하고 있고, 건강권은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도 않은 실정이다. 피해자의 기본권은 당해사건의 형사절차에 참가하여 진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 헌법 제37조의 존재로 인하여 적법절차 조항인 제12조 제1항과 제3항은 절차적 적법절차만을 의미하고 신체의 자유에 국한되어 그 의미가 축소될 수밖에 없지만, 기본권 제한에대하여 상세하게 규정한 조항은 제12조 제1항과 제3항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동 조항들을``모든 기본권 제한에 대하여 적법한 절차가 마련되어야 함``을 천명한 규정으로 이해한다면여전히 그 의미를 가진다. 적법절차의 원리가 ``국가에 의한 기본권의 제한의 절차``에 관한 것이라면 여기에 피해자를 배제시킬 필요는 없다고 본다. 또한 형사절차에서 국가의 ``부작위``, 즉 형사절차에서 피해자를 배제시키는 것은 진정입법부작위에 의한 기본권 침해이므로 적법절차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한편 적법절차원리는 ``국가의 개인에 대한 처우``, 즉 인권보장의 관점에서 피해자의 권리가 적절하게 보호받아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절차적 적법절차의 목적은 국가작용의 결정과 집행과정에서 불이익을 받는 자에게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다. 참여란 ``청문``을 핵심으로 하며 ``고지``의 뒷받침을 받는다. 형사소송법상 피해자에 대한 고지와 청문을 달성할 수 있는 조항으로 제259조의2와 제294조의2 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규정들은 헌법상의 적법절차 원리와 피해자진술권을 충실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두 규정을 연결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할 것인데 의회가 제정한 법률도 적법절차의 원리를 준수해야 하므로 피해자진술권 규정의 개정은 정당성을 얻게 된다. Crime victims are eligible for the Constitutional right to claim for aid of criminal victims, right of statement, the right of recovery from damage based on the right to health and the right to avoid secondary damage in criminal procedure. These rights obtain their legitimacy of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37, Paragraph 1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rticle 294,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at gives a concrete definition of the right of statement identifies a victim as no more than a witness, which leads to a possible breach of the basic rights and does not stipulate on the right to health. The basic rights of a victim can be ultimately assured by having that victim engage in the criminal procedure and make his or her statement. Due to the presence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Article 12, Paragraph 1 and 3 mean not much more than the procedural due process of law and shrinks its meaning as it is restricted to the personal freedom but since Article 12, Paragraph 1 and 3 are the only provision that concretely stipulates on the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s, they are meaningful enough if they are understood as the provision that makes clear that ``any restriction to the basic rights must be accompanied by a legitimate procedure``. If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is about ``the procedure to restrict the basic rights``, there is no need to excluded victims from it. In addition, the ``omission`` of a country in criminal procedure, that is, excluding victims from criminal procedure corresponds to the breach of the basic rights truly based on legislative omission,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must apply. Meanwhil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also means that the right of victim must be prot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reatment of a country toward individuals``, in other words ``safeguard for human rights``. The purpose of the procedural due process of law is to ensure that a disadvantaged party is provided with a chance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and enforcement related to state actions. Participation must be implemented by ``hearing`` and supported by ``notification``. Article 259, 2 and 294,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may be presented as the provisions to achieve notification and hearing for victims. However, these provisions fail to adequately stipulate on the Constitutional right of statement and thus must be interpreted in combination instead of on a separate basi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needs revising, and the laws enacted by the Parliament must observ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which makes the revision of the right of statement provision all the more legitimate.

      • KCI등재

        영국의 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 도입에 대한 고찰

        소병도(So Byung-D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2

        영국의 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는 데이트관계에 있어 잠재적 피해자에게 잠재적 가해자의 전과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데이트범죄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정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살인 등 데이트범죄가 문제시 되는바, 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만하다. 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는 헌법과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정당화 될 수 있고 ‘개인정보보호법'과도 합치하는 면이 있기 때문에 우리 법체계에 도입의 토대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도입을 위해서는 우선 데이트폭력을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의 보호 범위에 두고, 미국 뉴저지주의 판결에 따라 데이트관계를 입증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구체적인 도입논의에 있어서는, ‘알 권리’에 기반한 정보공개는 전과자의 개인정보가 무차별적으로 조회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허용되기 어렵다 할 것이고 ‘문의할 권리'에 기반한 정보요청이 중심에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형 위험심사단계의 개발, 정보공개 여부를 결정할 기관의 선정, 공개되는 전과정보의 내용과 기간, 전과정보 남용의 책임, 전과자에 대한 통지의 문제도 다루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항들에 대한 논의를 내용으로 하며, 향후 축적될 연구성과와 입법안 등을 참고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한다. Domestic Violence Disclosure Scheme(DVDS) supports disclosure of criminal records of the potential assailant to the potential victim in a dating relationship and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prevent date crime. In Korea, date crime including murder has emerged as a problem so it is worth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DVDS. DVDS can be justifi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nd it coincide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some aspects, so it can be said that Korea’s legal system has the ground to introduce the law. In order to introduce the law, date crime should be put under the legal protection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rimes Of Domestic Violence, and ways to prove dating relationship should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court decision of New Jersey. As for the specific discussion on introducing the law, information disclosure based on the right to know will be hard to allow as there are concerns that personal information of ex-convicts will be indiscriminately checked, s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based on the right to ask should be the main focus. Also should be handled are issues such as development of Korean-version risk assessment stages, selection of agencies to decide whether to disclose information, the contents and disclosing period of criminal records, the responsibility for the abuse of criminal records, and announcing the ex-convicts. This study discusses these issues and will conduct follow-up studies referring to the research results and legislation bills.

      • KCI등재

        형사소송법상 피해자진술권의 한계와 강화방안

        소병도 ( Byung Do S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4

        W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einforcing the victim’s right of statement, a key element of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include interaction between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coherence with the current litigation structure and the substantiality of statement. The interaction refers to the act of having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of performing mutual supplementation while providing legitimacy and direction.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system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do not take participation into account, which raises a need to come up with the inclusive legislation that incorporates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into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The victim``s statement system should expand within the victim’s participation system, and as subsequent provisions, prote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What matters in reinforcing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is to ensure coherence with the current structure of criminal procedure. I find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in Japan coherent with our litigation structure. It should have consistency with our lawsuit structure and enable victims to make statements. For a victim to be able to substantially state his or her own interests and concerns, the victim should be able to make a statement as a ‘victim’, not as a witness. On top of it, a victim should be able to state his or her interests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penalty execution procedure as well. In conclusion,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should ensure coherence with our litigation structure with a proper support of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system while inducing active statements from a victim. On top of it, the substantial and procedur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victims to state their own interests should be created and its prevalence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무고죄 수사의 개선방안

        소병도 ( So Byung-d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홍익법학 Vol.18 No.2

        형법상 무고죄는 국가적 법익과 개인적 법익을 보호하는 법제도이다. 이러한 무고죄의 성질상 성폭력 범죄에 한하여 무고죄 적용을 배제하자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그러나 진술증거가 유일한 증거인 경우가 많은 성폭력의 혐의는 입증이 어려운 반면, 신고 내용과 피해자의 진술내용이 수사기관에 기록됨으로써 무고 혐의는 입증이 용이하고, 국가적·개인적 법익을 모두 보호하는 무고죄의 성질상 성폭력 피해자는 가해자와 수사기관의 문제제기에 의해 무고죄의 가해자 신분으로 뒤바뀔 가능성이 높다는 점, 피해자의 기억에 주로 의존하는 성폭력 수사는 그 과정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뒤바뀔 수 있어 그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받아 무고죄로 기소되는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성폭력에 대한 무고죄 수사는 피해자에게 불리한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검찰사건사무규칙 제70조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수사에서 무고죄의 수사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자신이 사실상 `피의자` 신분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무고죄의 수사를 받는 것은 방어권의 중대한 침해이다. 해결방안으로 `선(先) 성범죄, 후(後) 무고죄 판단`의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 방안으로 성폭력 유·무죄 판단 전에는 피해자의 무고혐의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의의가 있다. 나아가 무고죄의 보호법익을 분리하여 개인적 법익의 경우 친고죄로 규정하여 해당 법익의 침해에 대한 문제제기는 성폭력 피의자가 직접 하도록 하고, 국가적 법익의 경우 수사기관이 수사 중 피해자의 무고혐의를 인지하였다면 정식으로 피해자에게 출석을 통지하고 성폭력 범죄 수사 종결 후에 별개로 수사를 개시해야 할 것이다. 무고에 대한 공소제기와 관련하여서는 성폭력 가해자가 피해자의 무고에 의하여 개인적 법익을 침해받았다고 주장하든, 수사기관이 국가적 법익의 침해를 인지하든 무고혐의는 성폭력 사건과 별개로 1건으로 기소되는 것이 당연하다. Criminal law protects national and personal interests against calumny. In this respect, it is not right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calumny for sexual violence cr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e sexual assaults since testimonies are the only proof in many cases while calumny is easy to prove as reports and statements are record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Also, for the nature of calumny which protects national and personal interests, for the fact that victims of sexual violence can be charged with calumny, the fact that victims` statements can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sexual violence which resorts mainly to the victims` memories, and that there are cases their credibility is doubted and victims are indicted for calumny, investigations on calumny regarding sexual violence is naturally disadvantageous to victims. It is also a grav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defense, as the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and calumny proceed simultaneously, and the victim gets investigated without the awareness that he or she is actually seen as a `suspect`. As a s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dure for `judging sexual crime the first and calumny the second`. As a way to do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ct,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which bans judgment of calumny before judgment of sexual violence. Moreover,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should be separated for calumny. So for pers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antragsdelikt should be applied and the perpetrator of sexual violence should be made to raise issues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and for nati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if an investigator perceives the allegations of calumny while investigating, he or she should officially notify the attendance and start investigation on calumny after the investigation on sexual violence is finished. Concerning indictment for calumny, whether a perpetrator claims that their pers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are infringed or an investigation agency recognizes the infringement of nati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it is natural that it is treated as one case of indic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