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적 가치존중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사관생도를 중심으로

        송경재(Song, Kyung-Jae),김인찬(Kim, In-Chan),장유정(Jang, Yoo-Jeong),소경섭(So, Kyung-sub)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3 No.2

        본 연구는 사관생도를 대상으로 다문화적 가치존중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사관생도를 실험 집단(n=30), 비교 집단(n=30), 통제 집단(n=30)으로 구분하였으며, 세 집단 사관생도의 공감 능력, 다문화 수용성, 이중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감정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진행은 다문화 교육 전문가가 아닌 생도들의 훈육을 담당하는 훈육장교에 의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세 집단 간 평균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실험 집단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사관생도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지 못하였으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외국 이주민과 조기유학생,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외국 이주민과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감정 평가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교육 대상과 목적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을 차별적으로 개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기존의 “다문화(Multi culture)”는 “다양성(Diversity)”으로 이해해야 하며, 우리나라 특수적 다문화적 현상은 “이중문화(二重文化)” 즉 한국 문화와 외국 문화의 결합과 결합을 통한 상생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것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적 가치존중 인식 변화에 대해, 비전문가에 의한 교육프로그램 효과 확인, 교육 목적과 대상에 따른 차별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 multicultural value-respecting education program for cadets and verified their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cade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n=30), comparative group (n=30), and control group (n=30), and the effectiveness on empathy ability, multicultural availability, social distance and emotional evaluation of the three groups of cadres were measured.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by a discipline officer in charge of the discipline of cadets who was not expert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 co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program positively changed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firstly,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did not improve the empathy ability of cadres, but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ulticultural availability. Second, it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social distance for foreign immigrants, young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emotional evaluation of foreign immigra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argets. Also, it suggested that the existing “multicultural” should be understood as “diversity,” and that the special multicultural phenomenon of Korea should be understood as a dual culture, meaning coexistence through the combination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non-specialists o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value respect, and the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educational purpose and tar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