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人が抱く韓国の国、人、言葉に対するイメージ -日本の国、人、言葉に対するイメージとの比較を通して-

        세키자키 히로노리,김경분,최재영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Korea in an attempt to obtain an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relationship. For this aim, the features of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the Korean country, people and language are described through comparison to the images about themselv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required to freely descri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Japanese people have relatively more negative images than positive toward Korea considering that the numbers of images against Korea was fewer than tha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e result of coding and text analysis showed that Japanese people tend to have images such as “clear assertion” and “strong patriotism”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in common. Moreover, these image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at the same time. As for language, it was found that <sound/hearing impressions> and <sense in common> are typical images on the one hand, while language system, including grammar and vocabulary, was rare on the other hand. In particular, the tendency of holding negative <sound/hearing impressions> toward the Korean language is suggested to be influenced by negative images toward the country and people. It is discussed that the Japanese images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are strongly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familiarity, media, or frequency and experience of contact with Korean people. Besides, the images about the Korean language are considered to be brought by little knowledge, information or study experience.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같은 축으로 두고 서로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해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일본인이 한국에 대해 갖는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자국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그 특징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혔다. 조사는 이미지를 실태에 맞춰 파악하기 위해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의 기입란을 각각 설정하여 자유 기입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자국)에 대한 이미지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나쁜 이미지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코딩 및 텍스트 분석 결과,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서는 확실한 자기 주장, 강한 애국심 등의 공통된 이미지를 갖고 있었고 그것들은 좋은 이미지이기도 하고 나쁜 이미지이기도 했다. 한국어에 대해서는 <발음/청각적 인상>, <감각 일반(언어)>가 많은 반면, 한국어라는 언어 체계에 관한 이미지는 적었다. 그 중에서 나쁜 이미지로서의 < 발음/ 청각적 인상>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나쁜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여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는 친밀함, 미디어, 한국인과의 접촉 빈도나 경험 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에는 지식이나 정보, 학습 경험 등이 적은 점이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시사했다.

      • KCI등재

        日本人が抱く韓国の国、人、言葉に対するイメージ

        ?崎博紀(세키자키 히로노리),金庚芬(김경분),崔宰?(최재영)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같은 축으로 두고 서로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해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일본인이 한국에 대해 갖는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자국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그 특징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혔다. 조사는 이미지를 실태에 맞춰 파악하기 위해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의 기입란을 각각 설정하여 자유 기입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자국)에 대한 이미지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나쁜 이미지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코딩 및 텍스트 분석 결과,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서는 확실한 자기 주장, 강한 애국심 등의 공통된 이미지를 갖고 있었고 그것들은 좋은 이미지이기도 하고 나쁜 이미지이기도 했다. 한국어에 대해서는 <발음/청각적 인상>, <감각 일반(언어)>가 많은 반면, 한국어라는 언어 체계에 관한 이미지는 적었다. 그 중에서 나쁜 이미지로서의 < 발음/ 청각적 인상>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나쁜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여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는 친밀함, 미디어, 한국인과의 접촉 빈도나 경험 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에는 지식이나 정보, 학습 경험 등이 적은 점이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시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Korea in an attempt to obtain an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relationship. For this aim, the features of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the Korean country, people and language are described through comparison to the images about themselv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required to freely descri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Japanese people have relatively more negative images than positive toward Korea considering that the numbers of images against Korea was fewer than tha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e result of coding and text analysis showed that Japanese people tend to have images such as “clear assertion” and “strong patriotism”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in common. Moreover, these image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at the same time. As for language, it was found that <sound/hearing impressions> and <sense in common> are typical images on the one hand, while language system, including grammar and vocabulary, was rare on the other hand. In particular, the tendency of holding negative <sound/hearing impressions> toward the Korean language is suggested to be influenced by negative images toward the country and people. It is discussed that the Japanese images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are strongly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familiarity, media, or frequency and experience of contact with Korean people. Besides, the images about the Korean language are considered to be brought by little knowledge, information or study experience.

      • KCI등재

        肯定的/否定的評価場面での言語表現の日韓中比較分析 − 相手が親友の場合 −

        자오하이청,김경분,세키자키 히로노리 한국일본어학회 2022 日本語學硏究 Vol.- No.71

        This study examin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regarding positive/negative evaluating expressions between close friends. The social norms and rules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are also consider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Korea, Japan, and China,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In all three languages, except in the cleaning scene, the mention rate of positive evalua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negative evaluations. In negative evaluations, evaluating expressions decreased, and the use of other expression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ntion r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arget. In positive evaluations, all three languages appeared in the order of hairstyle ≧ grades > cleaning > iPad > family relationship. 2) In Korean,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rate of mention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nd there was a tendency to clearly mention the good points and hesitate to mention the bad points. In addition, expressions other than evaluation were used together to show a sense of solidarity with others (termed empathy type). 3) In Japanese, there were only references to facts, actions, and situations, and these can be viewed as evaluations. Even if the interlocutor was a close friend, they avoided deep involvement and expressed evaluations briefly (termed dispassionate type). 4) There were many evaluative expressions in Chinese, and especially in negative evaluations, people tried to correct the other person's behavior through caution and advice. They tended to actively engage with close friends (termed interventional type).

      • KCI등재

        日本と韓国の相手国·人·ことばに対する好感度及び形成要因について

        金庚芬(김경분),崔宰?(최재영),?崎博紀(세키자키 히로노리),姜錫祐(강석우),梁吉錫(양길석),國生和美(고쿠쇼 카즈미),金志?(김지희)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3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여러 세대 총 2,964명을 대상으로 앙케트 조사를 실시하여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호감도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흥미/관심 요인에서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관심은 일본보다 한국이 더 많았고, 특히 양국의 대학생들이 높은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으로는 대중 문화나 여행등의 분야에 관심이 많았고 한국의 젊은 세대들은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게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경험 요인에서 상대국 방문 경험은 한국이 일본보다 많았다. 상대국 언어 학습 경험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본이 약 10%에 지나지 않는 데 비해 한국에서는 약 50%였고 또 미학습자의 학습 의지도 한국이 높았다. 정보 관련 요인에서 한일 모두 국내 TV, 인터넷에서 상대국에 대한 정보를 얻으며 특히 일본은 TV, 한국은 인터넷이 가장 유력한 정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의 상대국 관련 정보는 부정적인 기사가 많은 것도 공통된 경향이었다.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호감도에서 일본은 좋거나 싫다고 확실히 나타내지 않는 소극적인 이미지가 많았다. 한편 한국은 일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줄고 일본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2,964 people from Korea and Japan,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images and the degree of their preference for country, people and language. The results show: 1. From the viewpoint of consciousness, Korean showed more interest in Japan, than Japanese did in Korea. Specifically, Japanese and Korean were equally interested in each other’s pop cultures and travel each other’s countries. The Korean younger generation showed high interest in Japanese animations and games. 2. From the viewpoint of experience, Koreans were more likely to visit Japan than Japanese to visit Korea. And, 50% of Koreans surveyed have learned the Japanese language, while only 10% of Japanese who was surveyed have learned the Korean language. 3.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both Korean and Japanese obtained information about each other’s country on domestic TV and the Internet. In particular, TV is the most powerful source of information in Japan, whereas the Internet is in Korea. 4. The Japanese tended not to make an expression that they like or dislike Korea,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s tended to have negative impressions of Japan, and to show less negative impressions of Japanes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